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 정신건강과 삶의 질 =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in Ag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0092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노인의 정신건강, 사회적 지지, 그리고 삶의 만족에 초점을 둔 전반적인 삶의 질이 어떤 수준인가를 살펴보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둔 기술적 연구이다. 즉, 우리나라 노인들의 음주...

      본 연구는 노인의 정신건강, 사회적 지지, 그리고 삶의 만족에 초점을 둔 전반적인 삶의 질이 어떤 수준인가를 살펴보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둔 기술적 연구이다. 즉, 우리나라 노인들의 음주패턴과 우울상태에 관해 그 심각성의 정도를 파악하는 임상적 고찰을 하고,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에 관해 종류, 내용 그리고 정도를 파악한다. 또한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속에서 음주패턴 및 우울상태가 어떻게 설명되는지 상호관련성을 알아보고, 궁극적으로 이 현상들과 다양한 차원의 삶의 만족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의의는 향후 노인인구의 삶의 질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두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들이었으며, 이 중 13%인 26명은 시설거주자들이었다. 노인들의 특성상 비확률표집을 하였으며, 자료수집을 위하여는 노년기우울척도(GDS), 사회적지지척도(SSS), 삶의 만족척도(LSRS) 등으로 이루어진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조사대상자의 평균나이는 73.02세였으며, 73.5%가 여성이었다. 조사결과, 노인들의 30%가 우울증세를 보였으며 심각한 문제음주패턴을 보였다. 이들은 자신들의 삶에 별로 만족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특히 하루일과와 여가활용 영역에서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노인들의 사회지지체계는 꽤 작은 편이어서 자신의 지지망에 4∼5명을 갖고 있었으며, 대부분의 노인들이 가족으로부터 지지를 받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친구, 이웃의 순이었다. 그러나 이들이 친구나 이웃으로부터 지지를 많이 받는다고 생각할수록 이들의 삶의 만족 정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는 노인들의 정신건강관련 문제들을 예방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인들에게 사회적 지지체계를 개발하고, 유지하며,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회복지차원의 서비스를 개발해야 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an exploratory study describing quality of life in elderly population, focusing on the dimensions of mental health,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The study was designed to find out the levels of mental health including depression and ...

      This is an exploratory study describing quality of life in elderly population, focusing on the dimensions of mental health,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The study was designed to find out the levels of mental health including depression and the drinking patterns,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aspects of social support, the levels of satisfaction with life in general, and the relationship of mental health and social support with life satisfaction.
      The subject was 200 elderly people, including 26 people (13%) residing in either institutions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by a survey questionnaire consisting of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Social Support Scale, Life Satisfaction self?Rating Scale, and a series of questions on drinking patterns.
      The mean age of the respondents was 73.02 years, and the female took 73.5% of the sample.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elderly respondents were quite depressed (30% were depressed) and having problematic drinking patterns. The elderly people said that they were not much satisfied to their life, especially on daily living and recreational activity. Their social support system looked very small, having only 4?5 people in the network. Most of them got their functional support from their family members and friends respectively. And when they got more support from their friends and neighbors, they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life on daily living, recreational activity, and general life.
      Based on those results, the study would conclude that the social services should be developed to serve this population on developing and keeping and utilizing the social support system to prevent mental health related problems and to enhance quality of lif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1. 개념
      • 2. 선행연구
      • Ⅲ. 연구방법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1. 개념
      • 2. 선행연구
      • Ⅲ. 연구방법
      • 1. 조사대상
      • 2. 조사방법
      • 3. 조사도구
      • Ⅳ. 결과
      • 1. 정신건강상태
      • 1) 우울
      • 2) 음주패턴
      • 2. 사회적 지지정도
      • 1)구조적 지지
      • 2) 기능적 지지
      • 3. 삶의 만족도
      • 4. 집단간 비교 분석
      • 1) 정신건강과 사회적 지지의 비교
      • 2) 정신건강 및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의 비교
      • Ⅴ. 분석 및 고찰
      • 1. 정신건강
      • 2. 사회적 지지
      • 3. 삶의 만족도
      • 4. 비교분석
      • Ⅵ. 결론 및 제언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