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인 아빠의 ‘다문화아동 외가 방문 지원사업’ 참여 경험의 의미 = The meaning of Korean fathers’ experience participating in 'The supporting project to visit maternal homes of multicultural childr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604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of Korean fa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ject of visiting their multicultural children’s maternal home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8 parents and 6 children from 11 m...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of Korean fa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ject of visiting their multicultural children’s maternal home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8 parents and 6 children from 11 multicultural familie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Korean fathers’ experiences were related to raise understanding of children's maternal homes family, recognize their role of childhood education as a main agents, and expand the scope of family. Raising an understanding of a child's maternal homes family included ‘trying to understand the child's maternal home’s culture,’ and ‘understanding the wife's position.’ Recognizing their role of childhood education as a main agents included ‘pay attention to his child’, and ‘recognizing and practicing the need for a child's bilingual education.’ Expanding the scope of family included ‘accepting wife's family like his family members’ and ‘forming Korean father's solidarit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uggest that the project of supporting Korean fathers’ visit to maternal homes of multicultural children should contribute to support the role of father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form multicultural ident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외가방문 지원사업에 참여했던 다문화가정 한국인 아빠들의 경험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한 연구로, 2016-2018년에 외가방문 지원사업에 참여했던 11 가족의 부모 8명, 자...

      본 연구는 외가방문 지원사업에 참여했던 다문화가정 한국인 아빠들의 경험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한 연구로, 2016-2018년에 외가방문 지원사업에 참여했던 11 가족의 부모 8명, 자녀 6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고,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했다. 연구결과, 다문화가정의 한국인 아빠들이 가족들과 자녀의 외가를 방문했던 경험은 자녀의 외가 가족에 대한 이해 높이기, 자녀교육 주체로서의 역할을 인식하기, 가족의 범위를 넓히기의 의미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외가 가족에 대한 이해 높이기는 ‘자녀의 외가 문화를 이해하려 노력하기’와 ‘자녀의 외가에서 부인의 입장 이해하기’로, 자녀교육 주체로서의 역할을 인식하기는 ‘자녀에게 관심을 기울이기’와 ‘자녀 이중언어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실천하기’로, 가족의 범위 넓히기는 ‘부인의 가족을 나의 가족으로 받아들이기’와 ‘한국인 아빠들 간 연대 형성하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결혼이민자의 모국 방문 지원사업들이 다문화가정의 아빠 역할을 지원하고, 다문화적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기여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석환, "현대차, 다문화가정 고향방문 지원"

      2 이예린, "한국-베트남 다문화가정 어린이들의 그림에 나타난 외갓집 방문 체험" 교육과학연구소 46 (46): 1-24, 2015

      3 박종대, "한국 다문화정책의 분석과 발전 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8 (28): 35-63, 2014

      4 김순양, "한국 다문화사회의 이방인" 집문당 2013

      5 홍용희, "캄보디아 다문화가정 부모의 캄보디아어 교육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다문화교육학회 10 (10): 85-126, 2017

      6 김정남,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 지지와 자아정체감과의 관계" 13 (13): 124-136, 2002

      7 행정자치부, "지방자체단체 외국인주민 현황 조사결과"

      8 홍용희, "자녀의 외가방문에 대한 베트남 결혼이민여성의 요구 조사" 한국다문화교육학회 10 (10): 55-84, 2017

      9 강명수, "익산시, 다문화가족 고향 나들이 지원사업 참가자 모집"

      10 권순희, "이중언어교육의 필요성과 정책 제안" 국어교육학회 (34) : 57-115, 2009

      1 최석환, "현대차, 다문화가정 고향방문 지원"

      2 이예린, "한국-베트남 다문화가정 어린이들의 그림에 나타난 외갓집 방문 체험" 교육과학연구소 46 (46): 1-24, 2015

      3 박종대, "한국 다문화정책의 분석과 발전 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8 (28): 35-63, 2014

      4 김순양, "한국 다문화사회의 이방인" 집문당 2013

      5 홍용희, "캄보디아 다문화가정 부모의 캄보디아어 교육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다문화교육학회 10 (10): 85-126, 2017

      6 김정남,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 지지와 자아정체감과의 관계" 13 (13): 124-136, 2002

      7 행정자치부, "지방자체단체 외국인주민 현황 조사결과"

      8 홍용희, "자녀의 외가방문에 대한 베트남 결혼이민여성의 요구 조사" 한국다문화교육학회 10 (10): 55-84, 2017

      9 강명수, "익산시, 다문화가족 고향 나들이 지원사업 참가자 모집"

      10 권순희, "이중언어교육의 필요성과 정책 제안" 국어교육학회 (34) : 57-115, 2009

      11 김낙흥, "영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아버지의 양육태도 및 양육참여, 양육효능감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121-138, 2012

      12 김연수, "영아기 어머니의 언어적 반응성 및 영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능력과 아동 초기 언어능력 간의 관계" 한국인간발달학회 17 (17): 191-207, 2010

      13 장유경, "영아, 어머니, 가정의 사회경제적 특성이 24개월 영아의 표현어휘 습득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4 (24): 137-154, 2011

      14 하현정, "여주시 다문화가족 고향방문 신청자 모집"

      15 고혜원, "여성결혼이민자의 취업 지원 방안: 언어, 문화 자원 활용분야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0

      16 전영자,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한 고정관념과 감정이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19 (19): 1-13, 2010

      17 이은경, "어머니의 언어사용 환경에 따른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양상"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7 (17): 177-205, 2012

      18 이혜련, "아동의 초기 언어발달과 어머니의 언어적 입력간의 관계:동사와 명사를 중심으로" 한국아동학회 26 (26): 205-216, 2005

      19 연합뉴스, "식 올렸더니 유부녀 '날벼락'…사기 국제결혼 피해 속출"

      20 연합뉴스, "설 앞두고 결혼이주여성 ‘고향방문’ 후원 잇따라"

      21 정혜영, "베트남여성결혼이민자 가족의 문화적응과정에서 나타나는 갈등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2 (62): 29-55, 2010

      22 김혜전, "베트남 결혼이민여성 유아기 자녀의 다중정체성에 관한 질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23 이영남,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여성결혼이민자의 부모역할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1

      24 장남혁, "모국방문 프로그램을 통한 한필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문화정체성 형성" 한국선교신학회 (42) : 217-247, 2016

      25 변수정, "동아시아 국가의 다문화가족 현황 및 정책 비교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26 허청아, "동남아출신 다문화가족의 이중언어사회화가 어머니나라 문화에 대한 자녀의 태도 및 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27 송원익, "도시근로자의 여가참여형태 및 제약이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28 이동건, "대한항공, 제주 다문화가정 고향 방문 항공권 지원"

      29 김이선, "다민족 다문화 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 패러다임 구축(Ⅳ): 다문화가족의 언어, 문화사용 및 세대 간 전수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2010

      30 김현철, "다문화청소년 종단조사 및 정책방안 연구 Ⅲ: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31 김이선, "다문화가족의 자녀 교육 역량 분석 및 지원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09

      32 김승희, "다문화가족 자녀의 정체성 문제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가족학회 23 (23): 25-61, 2011

      33 서문희, "다문화가족 자녀양육지원 방안" 여성가족부, 육아정책연구소 2010

      34 여성가족부, "다문화가족 관련 연도별 통계"

      35 여성가족부, "다문화가족 관련 연도별 통계"

      36 우인혜, "다문화가정의 정체성문제 해결방안 연구-다문화자녀의 2중 언어 문화교육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1 (11): 107-134, 2014

      37 신혜정,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38 한혜성, "다문화가정 자녀의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39 김선정, "다문화가정 자녀 실태 및 다문화교육의 추진 방향" 외국어교육연구소 24 (24): 21-46, 2010

      40 최현욱,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한국어능력이 자녀의 한국어능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0 (10): 315-329, 2009

      41 성미영, "다문화가정 유아의 언어능력과 가정문해환경" 한국아동교육학회 19 (19): 33-47, 2010

      42 우현경,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능력과 유아기 자녀의 언어발달" 한국아동학회 30 (30): 23-36, 2009

      43 서현, "다문화 관련 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89-116, 2009

      44 박복덕, "다문화 가정의 이중 언어사용에 관한 고찰― 일본, 필리핀출신 이주여성을 중심으로 ―" 일본연구소 (28) : 47-66, 2010

      45 봉진영, "다문화 가정 어머니의 자녀양육 경험에 대한 탐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383-405, 2012

      46 방혜경, "그림책 읽기 활동의 참여과정에서 나타난 베트남 다문화가정 부부들의 교육경험 분석" 열린부모교육학회 8 (8): 159-180, 2016

      47 홍달아기, "국제결혼부부의 가치관 및 의사소통유형과 갈등과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 16 (16): 56-68, 2007

      48 이영주, "국제 결혼한 여성의 자녀에 대한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심리학회 12 (12): 83-105, 2007

      49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분석자료집. 유, 초, 중등 교육통계편"

      50 한국여성재단, "결혼이민여성과 가족들의 친정방문 날자 프로젝트 보고서" 2012

      51 지영숙, "가족여가 유형이 가족체계 역동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자녀교육기의 도시가정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20 (20): 189-196, 2002

      52 박재철, "“다문화가족 고향 다녀오세요” 정읍시, 모국여행 지원"

      53 Roccas, S., "Social identity complexity" 6 (6): 88-106, 2002

      54 Creswell, J. W., "Research design: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 methods approaches" Sigmapress 2011

      55 Merriam, S. B.,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to design and implementation" Jossey-Bass 2009

      56 Patton, M.,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 Sage Publication 2002

      57 Merriam, S. B.,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in education" Kyowoo 2005

      58 Merriam, S. B.,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Jossey-Bass Publishers 1998

      59 Cresswell, J. W., "Qualitative inquiry & research design" Sage Publication 2007

      60 Miles, M. B., "Qualitative data analysis" Sage Publication 1994

      61 Lincoln, Y. S., "Naturalistic inquiry" Sage 1985

      62 최원태, "LG전자 노동조합 창원1지부 다문화가족 항공권 지원"

      63 Hof, E., "How children use input to acquire a lexicon" 73 : 418-433, 2002

      64 Hatch, J. A., "Doing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 setting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02

      65 Hsu, N., "Diversity matters : Parent input predicts toddler verb production" 44 (44): 63-86, 2017

      66 Diener, E., "Cross cultural correlates of life satisfaction and self esteem" 68 (68): 653-663, 1995

      67 Anderson, M., "Children in-between: Constructing identities in the bicultural family" 13-26, 1999

      68 Yin, R. K., "Case study research" Sage Publication 2003

      69 한국여성재단, "2016 한국-캄보디아 다문화가정 자녀 외가방문 지원사업 프로그램 효과 및 성과 연구" 2016

      70 법무부 출입국, 외국인정책본부 이민정보과, "2015 출입국, 외국인 정책 통계연보"

      71 여성가족부, "2012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2012-59"

      72 연합뉴스, "19살 차 국제결혼 부부 7년 만에 파경…책임은 누구에게?"

      73 하밍타잉, "1992년 이후 한국과 베트남 사이의 국제결혼에 대한 연구 : 베트남 여성의 문화적 적응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4 1.74 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1 1.84 1.857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