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지리과 교육과정 목표 설정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establishing the curriculum objectives for geography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450037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교과 교육과정 구성은 교육 목표 및 이에 따른 교육 내용 선정과 조직, 그리고 평가라는 일련의 체제 속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처럼 교과 교육과정 구성에서 교육 목표는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지리과 교육과정 개정은 이에 대한 면밀한 검토에 소홀하였음을 부인할 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개정된 우리나라 지리과 교육과정을 교과의 정체성·기대되는 인간상·교육과정 목표 및 구성 체제 측면에서 분석한 후, 향후 지리과 교육과정 목표 설정에서 고려되어야 할 중요 요소들을 목표 설정 원리로 제시하였다. 먼저 교과의 정체성 측면에서는 학문적 측면보다는 학습자 측면의 강조를, 삶과 관계 되는 목표 도출 측면에서는 기능 중심에서 의미 중심으로의 변환을, 인간상 정립 측면에서는 지리교육받은 사람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교육과정 목표 구성 체제 측면에서는 지금까지의 포괄적 측면에서 구체성을 띤 교과 교육 과정 목표가 도출되어 교사들에게 교수-학습의 기준을 제시할 수 있는 목표가 제시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번역하기

      교과 교육과정 구성은 교육 목표 및 이에 따른 교육 내용 선정과 조직, 그리고 평가라는 일련의 체제 속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처럼 교과 교육과정 구성에서 교육 목표는 매우 중요한 위치...

      교과 교육과정 구성은 교육 목표 및 이에 따른 교육 내용 선정과 조직, 그리고 평가라는 일련의 체제 속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처럼 교과 교육과정 구성에서 교육 목표는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지리과 교육과정 개정은 이에 대한 면밀한 검토에 소홀하였음을 부인할 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개정된 우리나라 지리과 교육과정을 교과의 정체성·기대되는 인간상·교육과정 목표 및 구성 체제 측면에서 분석한 후, 향후 지리과 교육과정 목표 설정에서 고려되어야 할 중요 요소들을 목표 설정 원리로 제시하였다. 먼저 교과의 정체성 측면에서는 학문적 측면보다는 학습자 측면의 강조를, 삶과 관계 되는 목표 도출 측면에서는 기능 중심에서 의미 중심으로의 변환을, 인간상 정립 측면에서는 지리교육받은 사람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교육과정 목표 구성 체제 측면에서는 지금까지의 포괄적 측면에서 구체성을 띤 교과 교육 과정 목표가 도출되어 교사들에게 교수-학습의 기준을 제시할 수 있는 목표가 제시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curriculum should be established in a series of objectives, the scope and sequences, and assessments. We can not deny that we haven't think a lot of the objectives in the curriculum, although we know the objectives are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components in the curriculum for geography.
      The following study suggests the four principles for establishment of curriculum objectives for geography which we need to consider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geography in aspect of subject identity, the model of human nature that we expect, the objectives and the composition of the curriculum At first, it is more focused on the students-based principle, not on the knowledge-based one. Then, it especially centers on the transformation from function-based to meaning-based in the construction on the objective related into students' real life. With regard to the matter of the model of the human nature, it also concerns a modification to the geography educated person. Finally, it deals with the importance of objectives that are able to give to teachers a curriculum objective in detail in the construction of curriculum objectives.
      번역하기

      A curriculum should be established in a series of objectives, the scope and sequences, and assessments. We can not deny that we haven't think a lot of the objectives in the curriculum, although we know the objectives are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

      A curriculum should be established in a series of objectives, the scope and sequences, and assessments. We can not deny that we haven't think a lot of the objectives in the curriculum, although we know the objectives are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components in the curriculum for geography.
      The following study suggests the four principles for establishment of curriculum objectives for geography which we need to consider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geography in aspect of subject identity, the model of human nature that we expect, the objectives and the composition of the curriculum At first, it is more focused on the students-based principle, not on the knowledge-based one. Then, it especially centers on the transformation from function-based to meaning-based in the construction on the objective related into students' real life. With regard to the matter of the model of the human nature, it also concerns a modification to the geography educated person. Finally, it deals with the importance of objectives that are able to give to teachers a curriculum objective in detail in the construction of curriculum objectiv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내용요약
      • Ⅰ. 서론
      • Ⅱ. 우리나라 지리과 교육과정 목표와 구성 체제
      • Ⅲ. 우리나라 지리과 교육과정 목표 설정
      • Ⅳ. 요약 및 제언
      • 내용요약
      • Ⅰ. 서론
      • Ⅱ. 우리나라 지리과 교육과정 목표와 구성 체제
      • Ⅲ. 우리나라 지리과 교육과정 목표 설정
      • Ⅳ. 요약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지리 교육 목표의 분류학적 연구" 경북대학교 2000

      2 "한국교과교육과정의 변천: 고등학교"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0

      3 "한국 지리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10 (10): 2002

      4 "한국 사회과 목표의 근본 문제" (2호) : 1995

      5 "초ㆍ중등 지리 교육과정 개발과정의 평가." 10 (10): 2002

      6 "지역과 학교에서의 국가수준 교육과정 재구성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2001

      7 "지리 교육과정 및 교수의 기본 원리.지리환경교육 1(1" 서태열 1993

      8 "일상 생활에 근거한 지리 교과의 재개념화" 한국교원대학교 2000

      9 "서울 시내 고등학생의 지리 교과 및 지리 내용에 대한 인식" 고려대학교 2000

      10 "사회과교육과정"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7

      1 "한국지리 교육 목표의 분류학적 연구" 경북대학교 2000

      2 "한국교과교육과정의 변천: 고등학교"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0

      3 "한국 지리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10 (10): 2002

      4 "한국 사회과 목표의 근본 문제" (2호) : 1995

      5 "초ㆍ중등 지리 교육과정 개발과정의 평가." 10 (10): 2002

      6 "지역과 학교에서의 국가수준 교육과정 재구성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2001

      7 "지리 교육과정 및 교수의 기본 원리.지리환경교육 1(1" 서태열 1993

      8 "일상 생활에 근거한 지리 교과의 재개념화" 한국교원대학교 2000

      9 "서울 시내 고등학생의 지리 교과 및 지리 내용에 대한 인식" 고려대학교 2000

      10 "사회과교육과정"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7

      11 "사이버공간에서의 청소년 행동특성연구, 지식기반확충 조사연구"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2000

      12 "국가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기준 및 도구 개발 연구:고등학교 공통사회"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8

      13 "교육목표의 개념 분석" 1981

      14 "교육과정 개발 접근 방식별 교육 내용 선정 준거 고찰" 한국교원대학교 1996

      15 "교과 교육과정(각록) 개발 지침" 교육부 1997

      16 "21세기 삶의 질과 한국 지리학의 과제." 35 (35):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21 1.269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