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령화 사회 대비 효과적 고용정책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토대연구: 연령대별 인식차이를 바탕으로 = A Study on Issues Related to Employing the Aged to Develop Effective Communication Campaign in Aging Society of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70265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designed to study the issu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 for employment policies in the aging society. It analyzed each age category`s views and behaviors on individual life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each age category`s point of view about labor and especially labor of the old. The survey had been conducted in October, 2006 for 600 people in Seoul, and the age group is divided from twenties to sixties conducting each group of 120 people. The total respondents used for this study are 587 people excepting 25 respondents of poor answers among 612 respondents of the total. The result of analysis is as following: Regarding the aspects on the cognitive differences of age group, all age groups think career success or self-realization in a hierarchy of needs are more important than basic needs, and the degree of needs is much higher as a hierarchy of needs goes up. Regarding the aspects on the cognitive differences of age group between age and occupation, people do not consider age important. Related to the aspects on the cognitive differences of age group about middle and old age engaged in a service industry, there is negative perception about fifties and sixties engaged in a service industry. Finally,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physical and psychological values with ages in the cognition on the value of work. Especially, forties, fifties and sixties think tha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ing to twenties. Besides, preference for stable occupation is high as people gets older, and also all age groups consider working condition after their sixties negative. Suggestions are discussed based on these findings for accomplishing the effective employment policy in aging society of Korea.
      번역하기

      This study is designed to study the issu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 for employment policies in the aging society. It analyzed each age category`s views and behaviors on individual life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each age category`s point...

      This study is designed to study the issu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 for employment policies in the aging society. It analyzed each age category`s views and behaviors on individual life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each age category`s point of view about labor and especially labor of the old. The survey had been conducted in October, 2006 for 600 people in Seoul, and the age group is divided from twenties to sixties conducting each group of 120 people. The total respondents used for this study are 587 people excepting 25 respondents of poor answers among 612 respondents of the total. The result of analysis is as following: Regarding the aspects on the cognitive differences of age group, all age groups think career success or self-realization in a hierarchy of needs are more important than basic needs, and the degree of needs is much higher as a hierarchy of needs goes up. Regarding the aspects on the cognitive differences of age group between age and occupation, people do not consider age important. Related to the aspects on the cognitive differences of age group about middle and old age engaged in a service industry, there is negative perception about fifties and sixties engaged in a service industry. Finally,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physical and psychological values with ages in the cognition on the value of work. Especially, forties, fifties and sixties think that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ing to twenties. Besides, preference for stable occupation is high as people gets older, and also all age groups consider working condition after their sixties negative. Suggestions are discussed based on these findings for accomplishing the effective employment policy in aging society of Kore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희섭, "현대 한국인의 시민적 공동체의식" 71-76, 1986

      2 최준식, "현대 한국사회의 이중가치체계" 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 2001

      3 박광배, "한국청소년의 집단주의적 가치체계-가족관을 중심으로" 6 (6): 62-75, 1992

      4 김명소, "한국인의 행복한 삶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분석" 한국심리학회 22 (22): 1-33, 2003

      5 김기연, "한국인의 세대별 가치관과 생활행동" 한국가정관리학회 21 (21): 87-99, 2003

      6 한규석, "한국인의 선호가치 변화-수직적 집단주의에서 수평적 개인주의로" 13 (13): 293-310, 1999

      7 이종한, "한국인의 대인관계의 심리사회적 특성: 집단주의적 서향과 개인주의적 성향으로의 변화" 6 (6): 201-219, 2000

      8 한규석, "한국인의 고과 사의 영역: 공적과 인정의 갈등" 6 (6): 39-63, 2000

      9 조성남, "한국의 세대관련 연구에 나타난 세대개념의 구분과 세대갈등을 이해하는 방법에 관한 일 고찰" (9) : 39-68, 2002

      10 임희섭, "한국의 사회변동과 가치관" 나남 1994

      1 임희섭, "현대 한국인의 시민적 공동체의식" 71-76, 1986

      2 최준식, "현대 한국사회의 이중가치체계" 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 2001

      3 박광배, "한국청소년의 집단주의적 가치체계-가족관을 중심으로" 6 (6): 62-75, 1992

      4 김명소, "한국인의 행복한 삶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분석" 한국심리학회 22 (22): 1-33, 2003

      5 김기연, "한국인의 세대별 가치관과 생활행동" 한국가정관리학회 21 (21): 87-99, 2003

      6 한규석, "한국인의 선호가치 변화-수직적 집단주의에서 수평적 개인주의로" 13 (13): 293-310, 1999

      7 이종한, "한국인의 대인관계의 심리사회적 특성: 집단주의적 서향과 개인주의적 성향으로의 변화" 6 (6): 201-219, 2000

      8 한규석, "한국인의 고과 사의 영역: 공적과 인정의 갈등" 6 (6): 39-63, 2000

      9 조성남, "한국의 세대관련 연구에 나타난 세대개념의 구분과 세대갈등을 이해하는 방법에 관한 일 고찰" (9) : 39-68, 2002

      10 임희섭, "한국의 사회변동과 가치관" 나남 1994

      11 김명수, "한국 성인의 행복한 삶의 구성요인 탐색 및 척도개발" 한국건강심리학회 8 (8): 415-442, 2003

      12 나은영, "한국 문화의 이중성과 세대차의 근원에 관한 이론적 고찰 및 기존 조사자료 재해석" 4 (4): 75-93, 1998

      13 김윤정, "청소년의 노인에 대한 태도: 노인에 대한 인식과 행동간의 관계 규명을 중심으로" 19 (19): 173-183, 2001

      14 김명언, "청소년과 성인간의 세대차이와 유사성" 6 (6): 181-204, 2000

      15 한정란, "청소년과 노년 세대간 태도 분석: 상호지향성 및 중요도-실행도 분석모형을 기초로" 한국노년학회 26 (26): 381-402, 2006

      16 김윤정, "청년 중년 노년세대별 노인에 대한 태도" 한국가정관리학회 22 (22): 65-75, 2004

      17 Maslow, A., "존재심리학" 이대출판부 1982

      18 김은경, "조부모 관련 변인이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23 (23): 63-77, 2003

      19 신호창, "정부의 홍보 정책에 대한 고찰 및 발전적 국정홍보 모델의 제시" (3) : 84-108, 1999

      20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결과"

      21 이금룡, "연령별 노인에 대한 태도 비교를 통한 세대통합 프로그램의 전략적 방안모색" 한국노인복지학회 (26) : 143-164, 2004

      22 박재흥, "세대 개념에 관한 연구 코호트적 시각에서" 한국사회학회 37 (37): 1-23, 2003

      23 정순둘, "사례관리 대상노인의 미 충족 욕구 사정: 욕구사정도구를 활용한 탐색적 연구" 23 (23): 99-112, 2003

      24 김명소, "대학생이 생각하는“바람직한 삶”의 구성요인 탐색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분석" 725-731, 2002

      25 한정란, "대학생들의 노화에 관한 지식 및 노인에 대한 태도" 한국직업교육학회 26 (26): 121-139, 2007

      26 한정란, "대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20 (20): 115-127, 2000

      27 정태연, "대학생 자녀와 그 부모가 평가한 세대간 차이점과 유사점" 7 (7): 1-19, 2001

      28 김명언, "기업조직에서의 세대격차" 13 (13): 115-157, 2000

      29 구자숙, "기업조직에서의 세대 격차: 세대간 상호지각을 중심으로" 14 (14): 1-19, 2000

      30 박재흥, "기성세대의 생애사와 세대차이 인지에 관한 연구: 질적 접근" 33 : 651-296, 1999

      31 김주섭, "고령화에 대비한 평생학습 정책과제" 16-26, 2005

      32 이정재, "고령화 시대의 인적자원 관리" 현대경제연구소 2006

      33 이은미, "고령화 시대 도래의 경제적 의미와 대책" 삼성경제연구소 2002

      34 김호식, "고령화 사회의 노인문제에 대한 세대간 해결방안" 한국정책과학학회 9 (9): 73-93, 2005

      35 양해림, "고령화 사회에서 노동의 소외는 극복될 수 있는가" 한국동서철학회 (43) : 147-174, 2007

      36 최병권, "고령 인력에 대한 잘못된 선입견. in: LG경제주간" LG경제연구소 2005

      37 임영신, "간호사들의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 한국노년학회 22 (22): 31-46, 2002

      38 김철민, "가치관 연구에 관한 비판적 고찰: 개념 정의, 가치요소와 측정 방법을 중심으로" 6 : 53-78, 1999

      39 Becci Newton, "What employers look for when recruiting the Unemployed and inactive: skills, characterstics and qualifications" 2006

      40 Han, Jumgran, "Undergraduate Students’ Attitude toward Older Persons in Korea" 9 (9): 44-49, 2002

      41 Diener, E., "The independence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47 : 1105-1117, 1984

      42 Campbell, A., "The Sense of Well-Being in American: Recent patterns and trends" McGraw Hill 1981

      43 Hilary Metcalf with Pamela Meadows, "Survey of employers’ policies, practices and preferences relating to age" 2006

      44 Diener, E., "Subjective well-being" 95 : 542-575, 1984

      45 Ware, J. E., "Standards for validating Health measures: definition and content" 40 : 473-480, 1987

      46 McClelland, K. A., "Self-conception and satisfaction: integrating aged sub-culture and activity theory" 36 : 723-732, 1982

      47 Kendall, R., "Public relations campaign strategies: Planning for implementation" Harper Collins 1996

      48 박성호, "PR 캠페인" 한울아카데미 2001

      49 Inglehart, R., "Modenization and postmodernization: Cultural, economic, ad political change in societi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7

      50 Mannell, R. C., "Life satisfaction" Academic Press (2) : 59-64, 1996

      51 Ryff, C. D.,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57 : 1069-1081, 1989

      52 Carol Goldstone Associates, "Executive Summary: Review of age Products Report" Age Partnership Group and Department for Work and Pensions 2004

      53 Caspi, A., "Contact hypothesis and inner-age attitudes: A field study of across-age contact" 47 : 47-80, 1984

      54 Nash, L. L., "Concepts of existence: Greek origins of generational thought" 107 : 1-21, 1978

      55 Bales, S. S., "Children’s Perceptions of elders before and after a school-based intergenerational program" 26 : 677-689, 2000

      56 Chapbell, A., "Aging and social care, Handbook of aging and social sciences (2nd ed.)" Van Nostrand Reinhold 1990

      57 김미애, "60세 이상 인구의 명칭에 대한 대학생의 평가적 태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노년학회 24 (24): 149-167, 2004

      58 정태연, "20대가 지각한 청소년과 성인과의 세대차이" 21 (21): 1-14, 2001

      59 나은영, "1970년대와 1990년대 간 한국인의 가치관 변화와 세대차증감" 13 (13): 29-52,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4 1.04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1.04 1.477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