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식기반적 방법을 활용한 저서생태계 평가의 유효 조사정점 개수 산정 = A Knowledge-based Approach for the Estimation of Effective Sampling Station Frequencies in Benthic Ecological Assessm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8262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환경영향평가와 해역이용협의의 의사결정은 보고서에 기초하는 것이며, 이는 자연 서식처에 대한 구체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필요로 한다. 생태학적 질과 상태에 대한 보고가 갖는 높은 중...

      환경영향평가와 해역이용협의의 의사결정은 보고서에 기초하는 것이며, 이는 자연 서식처에 대한 구체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필요로 한다. 생태학적 질과 상태에 대한 보고가 갖는 높은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생태학 분야의 축적된 연구 지식과 최근 기술(즉 연구 사례나 지시자/지표 기술의 활용 등) 등은 평가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지 않으며, 환경영향평가서 조차 보존과 개발의 여부를 판단하는 데에 활용 가능한 정보를 담아내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현장에서 행해지는 채집 노력량은 매우 제한적이며, 해역이용협의의 경우, 대부분의 사례가 2개 이상의 소수 표본만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문가 검토나 의사 결정에 활용될 중요한 생태학적 정보의 이해와 전달을 어렵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보다 정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효율적인 채집 정점 수의 설정이 우선 해결되어야 할 문제인 것으로 인식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대형저서동물 조사에서 채집 정점 수를 결정할 수 있는 몇 가지 통계 기법을 소개하였다. 그러나 이 기법들은 반드시 예비 조사를 통한 정보를 필요로 하므로 국내에서의 활용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과학적 저널에 보고된 연구의 정점 배치가 환경영향평가 또는 해역이용협의 등에서 활용될 수 있는 생태학적 현상을 성공적으로 이해한 데에 기여한 것으로 볼 수 있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19개의 기존 연구에서 활용된 정점 배치 사례(총 19개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로부터 추정된 정점 간 거리와 $4{\times}4$ km의 단위면적 내 정점수를 계산하였고, 각각의 중위수는 2.3 km, 3개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는 각 사례별 단위면적 내 정점수(NSSU)와 총 조사 정점수(TNSS)를 이용하여 어림 조사지역 면적 (ASA, $km^2$)을 계산하고, 적절한 규모의 ASA 또는 NSSU/TNSS의 예측에 활용하기 위해 ASA와 조사 목적 그리고 NSSU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함수 관계를 추정하고,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경험적 접근 방식에 의한 추정은 환경영향평가와 해역이용협의 현장 조사 시 채집 노력량을 늘리고 타당한 자료와 정보를 근거로 의사를 교환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ecision making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and Consultation on the Coastal Area Utilization (CCAU) is footing on the survey reports, thus requires concrete and accurate information on the natural habitats.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r...

      Decision making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and Consultation on the Coastal Area Utilization (CCAU) is footing on the survey reports, thus requires concrete and accurate information on the natural habitats.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reporting the ecological quality and status of habitats, the accumulated knowledge and recent techniques in ecology such as the use of investigated cases and indicators/indices have not been utilized in evaluation processes. Even the EIA report does not contain sufficient information required in a decision making process for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In addition, for CCAU, sampling efforts were so limited that only two or a few stations were set in most study cases. This hampers transferring key ecological information to both specialist review and decision making processes. Hence, setting the effective number of sampling stations can be said as a prior step for better assessment. We introduced a few statistical techniques to determine the number of sampling stations in macrobenthos surveys. However, the application of the techniques requires a preliminary study that cannot be performed under the current assessment frame. An analysis of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sampling stations from 19 previous studies was carried out as an alternative approach,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ose configurations reported in scientific journal contribute to successful understanding of the ecological phenomena. The distance between stations and number of sampling stations in a $4{\times}4$ km unit area were calculated, and the medians of each parameter were 2.3 km, and 3, respectively. For each study, approximated survey area (ASA, $km^2$) was obtained by using the number of sampling stations in a unit area (NSSU) and total number of sampling stations (TNSS). To predict either appropriate ASA or NSSU/TNSS, we found and sugges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functional relationship among ASA, survey purpose and NSSU. This empirical approach will contribute to increasing sampling effort in a field survey and communicating with reasonable data and information in EIA and CCAU.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재상, "황해 대청도 옥죽포의 외해로 노출된 모래 갯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대상분포" 5 : 146-156, 2000

      2 윤성순, "해양환경영향평가센터의 발전을 위한 과제" 279 : 18-24, 2007

      3 해양수산부, "해양생태계 기본조사(37o 아산만-38o 최북단)" 국립수산과학원 687-, 2006

      4 국토해양부, "해양생태계 기본조사(35.5o 곰소만 입구-37o 아 산만)" 국립수산과학원 861-, 2007

      5 임현식, "해양 저서동물 군집을 이용한 진해만의 환 경 평가-종별 개체수 분포 특성에 따른 그래프 분석기법의 적용" 27 : 659-672, 1994

      6 맹준호, "해안개발사업 환경영향평가 영향예측 결과에 근거한 해양동식물상 조사정점 선정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97-, 2010

      7 임현식, "한국 서남해역 함평만 조하대의 가을철 저서동물 군집구조" 34 : 327-339, 2001

      8 박흥식, "천수만 조하대 연성저질에 서식하는 저서동물 우점종의 분포 양상과 저서 환경" 39 : 214-222, 2006

      9 이재학, "저서오염지수(BPI)를 이용한 시화호 환경평가" 한국해양연구원 25 (25): 183-200, 2003

      10 고병설, "인천연안역 저서동물군집의 시공간 적 분포 양상" 2 : 31-41, 1997

      1 홍재상, "황해 대청도 옥죽포의 외해로 노출된 모래 갯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대상분포" 5 : 146-156, 2000

      2 윤성순, "해양환경영향평가센터의 발전을 위한 과제" 279 : 18-24, 2007

      3 해양수산부, "해양생태계 기본조사(37o 아산만-38o 최북단)" 국립수산과학원 687-, 2006

      4 국토해양부, "해양생태계 기본조사(35.5o 곰소만 입구-37o 아 산만)" 국립수산과학원 861-, 2007

      5 임현식, "해양 저서동물 군집을 이용한 진해만의 환 경 평가-종별 개체수 분포 특성에 따른 그래프 분석기법의 적용" 27 : 659-672, 1994

      6 맹준호, "해안개발사업 환경영향평가 영향예측 결과에 근거한 해양동식물상 조사정점 선정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97-, 2010

      7 임현식, "한국 서남해역 함평만 조하대의 가을철 저서동물 군집구조" 34 : 327-339, 2001

      8 박흥식, "천수만 조하대 연성저질에 서식하는 저서동물 우점종의 분포 양상과 저서 환경" 39 : 214-222, 2006

      9 이재학, "저서오염지수(BPI)를 이용한 시화호 환경평가" 한국해양연구원 25 (25): 183-200, 2003

      10 고병설, "인천연안역 저서동물군집의 시공간 적 분포 양상" 2 : 31-41, 1997

      11 윤상필, "울산만의 저서환경 구배에 따른 저서동물군집 구조" 한국해양학회 14 (14): 102-117, 2009

      12 임현식, "영암호 저서동물군집에 미친 하구둑 건설의 영향" 한국수산과학회 38 (38): 172-183, 2005

      13 홍재상, "시화방조 제의 건설은 저서동물군집의 시공간 분포에 어떠한 영향을 미 쳤는가?" 30 : 882-895, 1997

      14 고철환, "송도 갯벌과 영일만 조하대 저서 동물의 군집조사를 위한 적정 채집면적의 결정" 4 : 63-70, 1999

      15 유재원, "새만금 외해역에서 대형 저서동물 군집 조사를 위한 적정 채집기의 선택" 한국해양학회 8 (8): 7-294, 2003

      16 안순모, "새만금 방조제공사로 인한 조하대 환경과 저서동물 군집 변화" 한국해양연구원 28 (28): 369-383, 2006

      17 최진우, "마산만 저서생태계를 중심으로 연안해역 건강성 평가를 위한 저서생물지수의 적용" 한국해양연구원 29 (29): 339-348, 2007

      18 마채우, "득량만의 저서동물 분포" 28 : 503-516, 1995

      19 최진우, "동해 강릉 연안의 사질 퇴적물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무척추동물의 분포양상" 5 : 346-356, 2000

      20 임현식, "대부도와 탄도 주변 갯벌의 저서동물 군집" 20 : 121-130, 1998

      21 임현식, "남해안 소리도 주변 연성저질 해역의 저 서동물 분포" 34 : 225-237, 2001

      22 정래홍, "남해안 가두리 양식장 밀집해역의 대형서동물 군집에 대한 구" 7 : 235-246, 2002

      23 이형곤, "낙동강 하구역 주변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공간 특성" 한국해양연구원 27 (27): 135-148, 2005

      24 윤상필, "굴 양식장 밀집해역인 거제한산만의 저서동물군집 구조와 저서환경의 시·공간적 변동" 한국해양학회 14 (14): 213-228, 2009

      25 유옥환, "경기만에서 해사채취가 대형저서동물 군집구조에 미치는 영향" 한국해양연구원 28 (28): 129-144, 2006

      26 임현식, "경기만 대부도 주변 조하대 해역의 저서동물 군집" 31 : 453-462, 1998

      27 Yoo,J.W.,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long-term variation of macrofaunal communities on macrotidal flats in the West Central Coast of Korea" Inha University 1998

      28 Andrews,B., "Techniques for spatial analysis and visualizationof benthic mapping data - final report" Science Applications International Corporation 28-, 2003

      29 Nelson, J.D, "Statistical considerations and sampling techniques for ground-water quality monitoring" 19 : 617-625, 1981

      30 Reynolds, J.F, "Statistical Ecology, A Primer On Methods And Computing" John Wiley and Sons 337-, 1988

      31 Frey, R.W, "Sediment and sedimentary sequences on a modern macrotidal flat, Inchon, Korea" 59 : 28-44, 1989

      32 최진우, "Sea Prince호 유류유출 후의 남해안 소리도-금오도 주변 연성퇴적물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 39 (39): 151-164, 2006

      33 Cochran,W.G., "Sampling techniques" John Wiley and Sons, Inc 1977

      34 Koh, C.H, "Sample size determination for the estimation of population density of marine benthos on a tidal flat and a subtidal area, Korea" 33 : 113-122, 1998

      35 Hong, J.S, "Salinity and sediment types as sources of variability in the distribution of the benthic macrofauna in Han Estuary and Kyonggi Bay, Korea" 31 : 217-231, 1996

      36 Hong, J.S, "Revisit on zonal macrobenthic communities in Chokchon tidal flat, Incheon, Korea, after the survey in 1986" 36 : 83-92, 2001

      37 Choi, J.W, "Macrobenthos community in Keum- Mankyung-Dongjin Estuaries and its adjacent coastal region, Korea" 29 : 304-318, 1994

      38 Pearson, T.H, "Macrobenthic succession in relation to organic enrichment and pollution of themarine environment" 16 : 229-311, 1978

      39 Hong, J.S, "Macrobenthic communities on the tidal flats around Yongjong and Yongyu Islands, Inchon, Korea" 34 : 220-230, 1999

      40 Matalas, N.C, "Information content of the mean" 67 : 3441-3448, 1962

      41 Jae-Won Yoo, "Inference Models for Tidal Flat Elevation and Sediment Grain Size: A Preliminary Approach on Tidal Flat Macrobenthic Community" 한국해양연구원 42 (42): 69-79, 2007

      42 Thrush, S.F, "Functional role of large organisms in intertidal communities: community effects and ecosystem function" 9 : 1029-1040, 2006

      43 Yoo, J.W, "Environmental quality of Korean coasts as determined by modified Shannon-Wiener evenness proportion" 170 : 141-157, 2010

      44 Gray,J.S., "Detecting pollution induced changes in communities using the log-normal distribution of individuals among species" 12 : 173-176, 1981

      45 Somerfield, P.J, "Community structure of the benthos in Scottish sea-lochs" 136 : 1133-1145, 2000

      46 Whittaker,R.H., "Communities and ecosystems,2nd edition.Macmillan,New York,385 pp" Macmillan, New York 385-, 1975

      47 Diaz, R.J, "A review of approaches for classifying benthic habitats and evaluating habitat quality" 73 : 165-181,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9-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 바다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9 0.933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