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상고기 신라의 동해안지역 경영 = A Study on the East Sea Coastal Area Management of Silla in the Early Ancient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956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3세기 후반∼6세기 전반 신라의 동해안지역 진출과 경영에 대하여 살핀 것이다. 신라는 3세기 후반에 동해안지역으로 진출하여 濊族의 읍락과 취락들을 복속시켰으며, 전략적 요충지...

      본고는 3세기 후반∼6세기 전반 신라의 동해안지역 진출과 경영에 대하여 살핀 것이다. 신라는 3세기 후반에 동해안지역으로 진출하여 濊族의 읍락과 취락들을 복속시켰으며, 전략적 요충지에 城을 쌓거나 軍鎭을 설치하고, 거기에 城主 또는 鎭主를 파견하여 왜나 말갈(동예)의 침략에 대비하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예족을 지배·통제하도록 하였다. 400년에서 450년대까지 고구려가 포항 이북의 동해안지역을 지배하였고, 450년대에 신라가 동해안지역을 다시 차지한 다음, 예족의 읍락을 행정촌으로 편제하는 사업을 전개하였다. 신라는 510년대까지 행정촌의 지배자에게 어느 정도 자치를 보장해주다가 520년 무렵에 촌의 지배층 모두에게 外位를 수여하면서 그들에 대한 통제와 관리를 더 강화하였다. 5세기 이전에 신라는 동해안방면에서 침략하는 왜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또는 언어와 생활풍속이 다른 濊族이 신라에 叛旗를 들 수 있는 가능성이 常存하였기 때문에 예족의 전통적인 지배기반을 최대한 보장해주면서 그들을 간접적으로 지배·통제한 것으로 보인다. 5세기 중반 이후 신라는 동해안지역을 영역화하는 과정에서 먼저 친신라적인 예족을 일반 公民으로, 반신라적인 성향의 濊族을 집단적으로 奴人으로 규정하여 차별 대우한 다음, 그 후에 다시 노인을 公民의 신분으로 상승시키는 작업을 추진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nvestigated the East Sea coastal area expansion and management of the Silla in the late 3rd∼early 6th century. Yejok(Ye-ethnic group) lived in the East Sea coastal area was ruled by Silla having made inroad to there in the late 3rd cen...

      This article investigated the East Sea coastal area expansion and management of the Silla in the late 3rd∼early 6th century. Yejok(Ye-ethnic group) lived in the East Sea coastal area was ruled by Silla having made inroad to there in the late 3rd century. Silla built a castle and installed a military quarters to the strategic point, and then the lord of castle and the military base commander was dispatched there. They are tasked to prepare for the invasion of Whae and Malgal(Dongye), as well as they have been given a mission to dominate, control Yejok. Goguryeo dominated the East Sea coastal region north of Pohang from 400 years to 450's. After having occupied the east coast area again from Goguryeo in 450's, Silla government set to promote the operations that the town of Yejok restructured the administrative village. For a while guaranteeing a certain degree of the leader of the administrative village autonomy, Silla had been to further strengthen the control on them by granting the local government officials rank to the village ruling class in 520 years. Prior to the 5th century, to effectively respond to the invasion of Whae from the east coast toward, and because there was always likely to go Yejok using different language and being different living traditions revolt against Sllla, it dominated, controled indirectly Yejok by ensuring as far as possible with their traditional ruling foundation. Since the middle of the 5th century, having defined a pro-Silla Yejok as general citizens and an anti-Silla Yejok as Noin in the course of setting to promote the operations that the eastern coastal areas restructured the Silla's territory, Silla, the former and the latter were discriminated against, and after that Silla promoted to the Noin to rise to the status of a general citize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동해안지역의 領域化
      • Ⅲ. 3∼4세기 동해안지역 진출과 지배방식
      • Ⅳ. 동해안지역 경영의 역사적 성격
      • Ⅴ. 맺음말
      • Ⅰ. 머리말
      • Ⅱ. 동해안지역의 領域化
      • Ⅲ. 3∼4세기 동해안지역 진출과 지배방식
      • Ⅳ. 동해안지역 경영의 역사적 성격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국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병도, "臨屯郡考, In 한국고대사연구" 박영사 1976

      2 이영호, "한국고대사회와 울진지방, In 한국고대사회와 울진지방" 한국고대사학회 1999

      3 황종현, "포항지역 횡혈식석실묘의 성격과 그 의미, In 한국 동남해안의 선사와 고대문화" 2012

      4 김수태, "포항중성리신라비에 보이는 신라의 지방통치" 8 : 2011

      5 이상화, "포항 북부지역의 고고학적 발굴유적과 그 성과, In 신라 최고의 금석문 포항중성리비와 냉수리비" 주류성 2012

      6 차용걸, "진천대모산성지표조사보고" 1996

      7 장창은, "중원고구려비의 연구동향과 주요 쟁점" 189 : 2006

      8 篠原啓方, "중원고구려비의 釋讀과 내용의 의의" 51 : 2000

      9 고석규, "장보고시대의 포구조사" 재단법인 해상왕장보고기념사업회 2005

      10 강종훈, "울진봉평신라비의 재검토" 국학연구원 (148) : 1-50, 2009

      1 이병도, "臨屯郡考, In 한국고대사연구" 박영사 1976

      2 이영호, "한국고대사회와 울진지방, In 한국고대사회와 울진지방" 한국고대사학회 1999

      3 황종현, "포항지역 횡혈식석실묘의 성격과 그 의미, In 한국 동남해안의 선사와 고대문화" 2012

      4 김수태, "포항중성리신라비에 보이는 신라의 지방통치" 8 : 2011

      5 이상화, "포항 북부지역의 고고학적 발굴유적과 그 성과, In 신라 최고의 금석문 포항중성리비와 냉수리비" 주류성 2012

      6 차용걸, "진천대모산성지표조사보고" 1996

      7 장창은, "중원고구려비의 연구동향과 주요 쟁점" 189 : 2006

      8 篠原啓方, "중원고구려비의 釋讀과 내용의 의의" 51 : 2000

      9 고석규, "장보고시대의 포구조사" 재단법인 해상왕장보고기념사업회 2005

      10 강종훈, "울진봉평신라비의 재검토" 국학연구원 (148) : 1-50, 2009

      11 조법종, "울진봉평신라비에 나타난 ‘奴人’의 성격 검토-신라의 대복속민 파악방식의 내용을 중심으로-" 13 : 1996

      12 이우태, "울진봉평신라비를 통해 본 신라의 지방통치체제" 2 : 1989

      13 김재홍, "울진봉평리신라비와 한국고대금석문, In 울진봉평리신라비와 한국고대금석문" 한국고대사학회 2011

      14 주보돈, "울진봉평리신라비와 신라의 동해안 경영, In 울진봉평리신라비와 한국고대금석문" 한국고대사학회 2011

      15 이기동, "우로전설의 세계, In 신라사회사연구" 일조각 1997

      16 박방룡, "신증동국여지승람 권21 경주부 역주-山川~橋梁-" 13 : 1996

      17 김창겸, "신라의 東北方 진출과 異斯夫의 于山國 정복 출항지" 한국사학회 (101) : 45-80, 2011

      18 주보돈, "신라 지방통치체제의 정비과정과 촌락" 신서원 1998

      19 전덕재, "신라 중고기 주의 성격 변화와 군주" 40 : 2001

      20 전덕재, "신라 율령 반포의 배경과 의의" 역사교육연구회 (119) : 57-90, 2011

      21 朴方龍, "신라 도성 연구"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8

      22 민덕식, "신라 대모산성의 분석적 연구" 29 : 1990

      23 김호동, "삼국시대 신라의 동해안 제해권 확보의 의미" 65 : 2001

      24 노태돈, "삼국사기 신라본기의 고구려 관계 기사 검토" 16 : 1997

      25 서영일, "사로국의 실직국 병합과 동해 해상권의 장악" 21 : 2003

      26 이한상, "동해안 지역의 5~6세기대 신라분묘 확산양상" 영남고고학회 32 : 35-59, 2003

      27 박종기, "고려시대부곡제연구" 서울대 출판부 1990

      28 이경섭, "고대 동해안 지역의 정치적 동향과 우산국" 신라문화연구소 (39) : 33-63, 2012

      29 김현숙, "고구려의 영역지배방식 연구" 모시는 사람들 2005

      30 심현용, "고고자료로 본 5~6세기 신라의 강릉지역 지배방식" 국립문화재연구소 42 (42): 4-24, 2009

      31 박종기, "韓國 古代의 奴人과 部曲" 한국고대사학회 (43) : 129-168, 2006

      32 李成市, "蔚珍鳳坪新羅碑の基礎的硏究, In 古代東アジアの民族と國家" 岩波書店 1998

      33 李成市, "穢族の生業と民族, In 古代東アジアの民族と國家" 岩波書店 1998

      34 김창석, "新羅의 于山國 복속과 異斯夫" 역사교육연구회 (111) : 105-133, 2009

      35 前間恭作, "新羅王の世次と其の名について, In 半島上代の人文" 松浦書店 1938

      36 전덕재, "新羅 州郡制의 成立背景硏究" 서울대 국사학과 22 : 1990

      37 김철준, "新羅 上古世系와 그 紀年, In 한국고대사회연구" 서울대 출판부 1990

      38 津田左右吉, "好太王征服地域考, In 津田左右吉全集 제11권" 岩波書店 1964

      39 中田勳, "古代日韓航路考, In 古代日韓交涉史斷片考" 創文社 1956

      40 末松保和, "任那興亡史" 吉川弘文館 1949

      41 崔鍾圭, "中期古墳의 性格에 대한 약간의 고찰" 7 : 1983

      42 김기문, "[단행본] 慶州 風物地理誌" 경주문화원 2006

      43 전덕재, "6세기 금석문을 통해 본 신라 관등제의 정비과정" 5 : 2010

      44 강봉룡, "5세기 이전 신라의 동해안방면 진출과 ‘東海岸路’" 한국고대사학회 (63) : 115-145, 2011

      45 김태식, "5~6세기 고구려와 가야의 관계" 11 : 2006

      46 이희준, "4~5세기 창녕 지역 정치체의 읍락 구성과 동향" 영남고고학회 (37) : 5-42, 2005

      47 余昊奎, "1-4세기 고구려 政治體制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외대사학 -> 역사문화연구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6 0.49 1.216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