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한국판 중용(中庸)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Zhongyong Questionnai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236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describes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Zhongyong Questionnaire(ZQ), a self-report instrument for measuring Zhongyong attitude. Theoretically, Zhongyong includes three aspects: (a) dialectic thinking and cognitive flexibility; (b) emotion regulation and balanced affect; (c)internal motive to consistently choose Zhongyong behavior. In study 1, thirty-seven out of 99 preliminary items were selected by six scholars studying Confucianism and Zhongyong for the face validity and the 37-item ZQ was administered to 352 college students. Data suggest that the ZQ consists of 19-item with three-factor structure. In study 2, 368 people participated to investigate the instrument’s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the relations between the ZQ and related scales. Results from two studies indicate that the 19-item Zhongyong Questionnaire has a three-factor structure(harmony/regulation, balance/stability, empathy/ tolerance), good internal consistency and 2-week test-retest reliability. The ZQ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ther measures of cognitive flexibility, dichotomous thinking, emotion regulation and dysregulation, and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confirming the scale’s convergent construct validity. The concurrent construct validity of the ZQ was demonstrated by its correlation with the Zhong-yong Thinking Style Scale.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ge and Zyongyong attitude. When controlling for ag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Zhongyong attitudes based on marital status and relig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Zhongyong attitude can be developed through diverse experience. In the discussion sect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번역하기

      This article describes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Zhongyong Questionnaire(ZQ), a self-report instrument for measuring Zhongyong attitude. Theoretically, Zhongyong includes three aspects: (a) dialectic thinking and cognitive flexibility; (b)...

      This article describes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Zhongyong Questionnaire(ZQ), a self-report instrument for measuring Zhongyong attitude. Theoretically, Zhongyong includes three aspects: (a) dialectic thinking and cognitive flexibility; (b) emotion regulation and balanced affect; (c)internal motive to consistently choose Zhongyong behavior. In study 1, thirty-seven out of 99 preliminary items were selected by six scholars studying Confucianism and Zhongyong for the face validity and the 37-item ZQ was administered to 352 college students. Data suggest that the ZQ consists of 19-item with three-factor structure. In study 2, 368 people participated to investigate the instrument’s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the relations between the ZQ and related scales. Results from two studies indicate that the 19-item Zhongyong Questionnaire has a three-factor structure(harmony/regulation, balance/stability, empathy/ tolerance), good internal consistency and 2-week test-retest reliability. The ZQ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ther measures of cognitive flexibility, dichotomous thinking, emotion regulation and dysregulation, and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confirming the scale’s convergent construct validity. The concurrent construct validity of the ZQ was demonstrated by its correlation with the Zhong-yong Thinking Style Scale.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ge and Zyongyong attitude. When controlling for ag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Zhongyong attitudes based on marital status and relig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Zhongyong attitude can be developed through diverse experience. In the discussion sect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중용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중용은 삶속에서 역동적인 조화와 균형을 이루려는 태도로 인지, 정서 및 동기적 측면에서 정리하면 중용은 인지적인 유연성과 적응적인 정서 조절 및 균형적이고 안정된 정서 상태, 그리고 자발적으로 중용 행동을 지속적으로 선택하고자 하는 태도다. 연구 1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이론적 접근과 경험적 접근을 사용하여 수집하고 인지, 정서 및 동기로 구분한 중용의 내용을 바탕으로 99개의 예비 문항을 마련하였고, 중용을 연구한 전문가 6인에게 평정을 요청한 뒤 선택한 37문항을 대학생 352명에게 실시하였다. 그 결과 조화/조절, 균형/안정 및 공감/포용의 3요인, 19문항으로 이루어진 중용 척도를 개발하였다. 연구 2에서는 일반인 368명을 대상으로 중용 척도와 관련 변인들을 측정하였고, 이중 57명에게 검사-재검사를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중용 척도가 3요인으로 이루어져있음을 재확인하였고, 검사-재검사 신뢰도가 수용 가능한 수준임을 밝혔다. 인구통계학적 변인과의 관계에서 중용은 연령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으며, 연령 변인을 통제한 뒤에도 결혼 상태 및 종교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어 중용이 삶의 다양한 경험을 통해 축적되어 가는 태도라고 해석할 수 있었다. 또한, 인지적 유연성, 정서 조절 및 내적 동기와 관련된 기본 심리적 욕구들과 상관이 있음이 확인되어 중용 척도의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한편, 중용 척도는 사회적 바람직성 요인과도 상관을 보였는데, 그 이유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사회적 바람직성은 자기기만적 측면으로써 방어적 속성과 함께 사회적으로 적응적 측면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일 것으로 보았다. 마지막으로, 대만에서 개발된 중용적 사고척도와의 비교를 통해 공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를 위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중용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중용은 삶속에서 역동적인 조화와 균형을 이루려는 태도로 인지, 정서 및 동기적 측면에서 정리하면 중용은 인지적인 유연성과 적응적...

      본 연구에서는 중용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중용은 삶속에서 역동적인 조화와 균형을 이루려는 태도로 인지, 정서 및 동기적 측면에서 정리하면 중용은 인지적인 유연성과 적응적인 정서 조절 및 균형적이고 안정된 정서 상태, 그리고 자발적으로 중용 행동을 지속적으로 선택하고자 하는 태도다. 연구 1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이론적 접근과 경험적 접근을 사용하여 수집하고 인지, 정서 및 동기로 구분한 중용의 내용을 바탕으로 99개의 예비 문항을 마련하였고, 중용을 연구한 전문가 6인에게 평정을 요청한 뒤 선택한 37문항을 대학생 352명에게 실시하였다. 그 결과 조화/조절, 균형/안정 및 공감/포용의 3요인, 19문항으로 이루어진 중용 척도를 개발하였다. 연구 2에서는 일반인 368명을 대상으로 중용 척도와 관련 변인들을 측정하였고, 이중 57명에게 검사-재검사를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중용 척도가 3요인으로 이루어져있음을 재확인하였고, 검사-재검사 신뢰도가 수용 가능한 수준임을 밝혔다. 인구통계학적 변인과의 관계에서 중용은 연령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으며, 연령 변인을 통제한 뒤에도 결혼 상태 및 종교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어 중용이 삶의 다양한 경험을 통해 축적되어 가는 태도라고 해석할 수 있었다. 또한, 인지적 유연성, 정서 조절 및 내적 동기와 관련된 기본 심리적 욕구들과 상관이 있음이 확인되어 중용 척도의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한편, 중용 척도는 사회적 바람직성 요인과도 상관을 보였는데, 그 이유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사회적 바람직성은 자기기만적 측면으로써 방어적 속성과 함께 사회적으로 적응적 측면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일 것으로 보았다. 마지막으로, 대만에서 개발된 중용적 사고척도와의 비교를 통해 공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를 위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성백효, "현토완역(懸吐完譯) 대학(大學)․중용집주(中庸集註) 개정증보판" 전통문화연구회 2013

      2 김종서, "현대 종교다원주의와 그 한국적 독특성 연구" 19 : 33-48, 2000

      3 김민희, "한국판 지혜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 30 (30): 1231-1253, 2011

      4 한덕웅, "한국유학심리학" 시그마프레스(주) 2003

      5 최경숙, "한국 개화기의 종교관" 한중인문학회 (37) : 297-321, 2012

      6 김민희, "지혜의 연령차와 중노년기 심리적 적응과의 상관" 한국노년학회 30 (30): 947-971, 2010

      7 김용옥, "중용한글역주" 통나무 2011

      8 이수원, "중용의 심리학적 탐구" 1997

      9 장승구, "중용의 덕과 합리성" 청계 2004

      10 김용옥, "중용, 인간의 맛" 통나무 2011

      1 성백효, "현토완역(懸吐完譯) 대학(大學)․중용집주(中庸集註) 개정증보판" 전통문화연구회 2013

      2 김종서, "현대 종교다원주의와 그 한국적 독특성 연구" 19 : 33-48, 2000

      3 김민희, "한국판 지혜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 30 (30): 1231-1253, 2011

      4 한덕웅, "한국유학심리학" 시그마프레스(주) 2003

      5 최경숙, "한국 개화기의 종교관" 한중인문학회 (37) : 297-321, 2012

      6 김민희, "지혜의 연령차와 중노년기 심리적 적응과의 상관" 한국노년학회 30 (30): 947-971, 2010

      7 김용옥, "중용한글역주" 통나무 2011

      8 이수원, "중용의 심리학적 탐구" 1997

      9 장승구, "중용의 덕과 합리성" 청계 2004

      10 김용옥, "중용, 인간의 맛" 통나무 2011

      11 금장태, "중용(中庸)의 원리와 성(誠)의실현: 다산(茶山)과 오규 소라이(荻生徂徠)의『중용』해석" 49 : 43-83, 2003

      12 박종덕, "중용(中庸)의 도덕교육이론(道德敎育理論) : 인간 형성(人間 形成)의 논리(論理). 한국도덕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49-72, 2005

      13 황성훈, "정신병리에서 이분법적 사고의 역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14 조용래, "정서조절곤란의 평가: 한국판 척도의 심리측정적 속성" 한국임상심리학회 26 (26): 1015-1038, 2007

      15 최해연, "자기기만적 고양의 방어성 논의"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3 (23): 63-79, 2009

      16 이은하, "자기결정성이론을 적용한 동기강화 프로그램의 건강행위유지 효과 : 고혈압 전단계 노인을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1

      17 이명희, "자기결정성이론에 근거한 한국형 기본 심리 욕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18 권석만, "임상심리학에서의 비교문화적연구: 정신병리에 나타난 한국문화와 한국인의 특성" 105-132, 1997

      19 안도연, "유학적 개념과 일상에서의 경험 조사를 통한 중용(中庸)의 심리학적 정의 도출:예비연구" 한국심리학회 35 (35): 309-326, 2016

      20 심경섭, "유교가치관 척도 개발연구" 한국심리학회 31 (31): 465-491, 2012

      21 김시천, "왜 다시 유교인가? 아시아적 가치와 현대 사회" 18 : 91-114, 2016

      22 허심양, "완벽주의와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역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23 정보라, "사회적 바람직성의 구인 탐색"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24 장승민, "리커트 척도 개발을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의 사용" 한국임상심리학회 34 (34): 1079-1100, 2015

      25 김문준, "동양철학과 심리학 융합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한국사상문화학회 (67) : 157-188, 2013

      26 최상진, "동양심리학" 지식산업사 1999

      27 조긍호, "동아시아 집단주의의 유학사상적배경: 심리학적 접근" 지식산업사 2007

      28 최영진, "동서사상의 대비적 조명"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994

      29 이기동, "대학․중용강설"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0

      30 한소영, "내담자의 기본 심리적 욕구 만족과 상담성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0

      31 김계수, "구조방적식모형 분석" 한나래 2007

      32 홍세희,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19 (19): 161-177, 2000

      33 김종서, "광복 이후 한국종교의 정체성" 종교문제연구소 (25) : 1-25, 2013

      34 오가휘, "中庸思維量表的編製" 24 : 247-300, 2005

      35 오하마 아키라, "中國古代思想論" 勁草書房 1977

      36 이수정, "Trait Meta-Mood Scale의타당화에 관한 연구: 정서지능의 하위요인에 대한 탐색" 11 (11): 95-116, 1997

      37 Deci, E. L., "The"what"and"why"of goal pursuits : Human needs and the self determination of behavior" 11 : 227-268, 2000

      38 Cole, P. M., "The development of emotion regulation. Biological and behavioral considerations, In The development of emotion regulation. Biological and behavioral considerations" 59 : 73-100, 1994

      39 Dennis, J. P., "The cognitive flexibility inventory : Instrument development and estimate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34 : 241-253, 2010

      40 Browne, M. W.,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Sage 136-162, 1993

      41 Hooper, D.,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 Guidelines for Determining Model Fit" 6 (6): 53-60, 2008

      42 Deci, E. L.,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basic need satisfaction : Understanding human development in positive psychology" 27 : 17-34, 2004

      43 Ryan, R. M.,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wellbeing, Wellbeing in Developing Countries Research Review 1" Centre for Development Studies, University of Bath 2009

      44 Ryan, R. M.,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physical activity : The dynamics of motivation in development and wellness" 6 : 107-124, 2009

      45 Kline, R. 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Guilford Press 2011

      46 Gratz, K. I.,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emotion regulation and dysregulation : Development, factor structure,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26 : 41-54, 2004

      47 Yao, X., "Moderating effect of Zhong Yo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innovation behavior" 13 : 53-57, 2010

      48 Ryan, R. M.,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 Classic definitions and new directions" 25 : 54-67, 2000

      49 Martin, M. M., "Development of a communication flexibility scale" 59 : 171-178, 1994

      50 Paulhus, D. L., "Assessing self-deception and impression management in self-reports: The Balanced Inventory of Desirable Responding, Manual"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198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6-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1 1.31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3 2.1 2.669 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