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모바일 광고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 = 광고브랜드의 친숙성 및 관련성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8570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 expansion in smartphone market has resulted in strong growth of mobile advertising market. Mobile advertisements are useful marketing and promotion tools since they enable marketers to provide personalized and ubiquitous services to customers. In particular, as considerable number of companies develop and distribute their own mobile applications, inserting mobile advertisements into mobile applications has become popular mobile advertising tool. Here, we examine how mobile advertisements placed in a mobile application affect the evaluation about mobile application service providers. Specifically, the interaction effects of advertising brand`s familiarity, contextual relevance of an advertisement, and application provider`s familiarity are investigated. Drawing from spillover effects, advertising intrusiveness theory, and contextual advertising theory, six hypotheses are proposed and tested in two experimental settings. The results show a negative spillover effect from the advertising brands` familiarity to the application provider. That is, the loyalty and usage intention toward the application provider are higher when the application hosts an advertisement of little-known brand than that of well-known. Moreover, the attitude toward mobile application provider is more positive when it hosts contextual advertisements (when there is contextual relevance between contents and advertising brand). And little-known mobile applications get more benefit by hosting contextual advertisements than do well-known mobile applications.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implications to academics studying mobile advertising and sheds some light on how mobile application providers could effectively manage advertisements placed in their applications.
      번역하기

      Recent expansion in smartphone market has resulted in strong growth of mobile advertising market. Mobile advertisements are useful marketing and promotion tools since they enable marketers to provide personalized and ubiquitous services to customers. ...

      Recent expansion in smartphone market has resulted in strong growth of mobile advertising market. Mobile advertisements are useful marketing and promotion tools since they enable marketers to provide personalized and ubiquitous services to customers. In particular, as considerable number of companies develop and distribute their own mobile applications, inserting mobile advertisements into mobile applications has become popular mobile advertising tool. Here, we examine how mobile advertisements placed in a mobile application affect the evaluation about mobile application service providers. Specifically, the interaction effects of advertising brand`s familiarity, contextual relevance of an advertisement, and application provider`s familiarity are investigated. Drawing from spillover effects, advertising intrusiveness theory, and contextual advertising theory, six hypotheses are proposed and tested in two experimental settings. The results show a negative spillover effect from the advertising brands` familiarity to the application provider. That is, the loyalty and usage intention toward the application provider are higher when the application hosts an advertisement of little-known brand than that of well-known. Moreover, the attitude toward mobile application provider is more positive when it hosts contextual advertisements (when there is contextual relevance between contents and advertising brand). And little-known mobile applications get more benefit by hosting contextual advertisements than do well-known mobile applications.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implications to academics studying mobile advertising and sheds some light on how mobile application providers could effectively manage advertisements placed in their applicatio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유명, "패밀리 레스토랑의 브랜드 에쿼티가 브랜드 친숙성, 고객의 지각된 가치, 만족 및 신뢰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3

      2 박철우, "정보 가치 관점에서 바라본 모바일 광고 가치의 설명 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경영정보학회 8 (8): 29-49, 2006

      3 김재휘, "인터넷광고의침입성과관여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광고공사 60 (60): 7-35, 2003

      4 이경렬, "인터넷 문맥광고(contextual ad)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21 (21): 176-216, 2007

      5 김규훈, "인터넷 광고의 국어교육적 활용 -인터넷 문맥광고의 수용과 생산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학회 (38) : 71-97, 2010

      6 김재휘, "인터넷 광고 혼잡도가 광고효과에미치는 영향 : 배너광고의 수와 침입성을 중심으로" 12 (12): 97-114, 2001

      7 김상훈, "스마트폰에서 구현되는 모바일 광고의 수용자 태도에 관한 연구 : PC에서 구현되는 웹 광고와의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23 (23): 253-279, 2012

      8 유승엽,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광고회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광고태도, 지각된 침입성, 매체 노출량 및 매체이용동기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24 (24): 125-143, 2013

      9 정동훈, "스마트 미디어 기반 광고전략 연구" 한국언론진흥재단 2011

      10 이재영, "스마트 기기의 온라인 광고 시장 영향과 시사점" 2010

      1 전유명, "패밀리 레스토랑의 브랜드 에쿼티가 브랜드 친숙성, 고객의 지각된 가치, 만족 및 신뢰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3

      2 박철우, "정보 가치 관점에서 바라본 모바일 광고 가치의 설명 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경영정보학회 8 (8): 29-49, 2006

      3 김재휘, "인터넷광고의침입성과관여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광고공사 60 (60): 7-35, 2003

      4 이경렬, "인터넷 문맥광고(contextual ad)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21 (21): 176-216, 2007

      5 김규훈, "인터넷 광고의 국어교육적 활용 -인터넷 문맥광고의 수용과 생산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학회 (38) : 71-97, 2010

      6 김재휘, "인터넷 광고 혼잡도가 광고효과에미치는 영향 : 배너광고의 수와 침입성을 중심으로" 12 (12): 97-114, 2001

      7 김상훈, "스마트폰에서 구현되는 모바일 광고의 수용자 태도에 관한 연구 : PC에서 구현되는 웹 광고와의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23 (23): 253-279, 2012

      8 유승엽,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디스플레이 광고회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광고태도, 지각된 침입성, 매체 노출량 및 매체이용동기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24 (24): 125-143, 2013

      9 정동훈, "스마트 미디어 기반 광고전략 연구" 한국언론진흥재단 2011

      10 이재영, "스마트 기기의 온라인 광고 시장 영향과 시사점" 2010

      11 김영진, "상황 관련성이 모바일 광고의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 연구"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09

      12 지준형, "브랜드 연상 네트워크의 도출 방법과 연구 과제에 대한 고찰" 한국광고홍보학회 12 (12): 128-151, 2010

      13 김진아, "배너광고의 브랜드와 배너광고를 호스트하는 웹사이트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국제e-비즈니스학회 11 (11): 3-18, 2010

      14 천광연, "배너 광고의 복잡성에 따른 인터넷 문맥광고의 효과성"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0

      15 정만수, "미디어 인게이지먼트와 제품관여도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23 (23): 201-227, 2012

      16 유제국, "모바일광고의현황과시사점" 13 (13): 27-43, 2001

      17 신현신, "모바일 미디어의 이용특성이 모바일 광고에 대한 인식과 수용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2

      18 남기화, "모바일 광고의 단계별 수용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자학회 22 (22): 1-28, 2011

      19 류지원, "모바일 광고 유형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11

      20 홍준, "모바일 광고 연간 30% 상승. 광고 도달률 90%"

      21 유재미, "개별브랜드 간 위기정보의 파급효과 : 주요브랜드 위기정보와 일반브랜드 위기정보가 상대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영향 비교" 한국마케팅학회 26 (26): 1-22, 2011

      22 Hairong, Li., "The Role of Virtual Experience in Consumer Learning" Michigan State University 2002

      23 John, Deborah Roedder, "The Negative Impact of Extensions: Can Flagship Products Be Diluted?" 62 : 19-32, 1998

      24 Ahluwalia, Rohini, "The Moderating Role of Commitment on the Spillover Effect of Marketing Communications" 38 (38): 458-470, 2001

      25 Grewal, "The Effect of Store Name, Brand Name and Price Discounts on Consumers’ Evaluations and Purchase Intentions" 74 (74): 331-352, 1998

      26 Zeithaml, V. A., "Services Marketing" McGraw-Hill 1996

      27 Ephron, Dan, "Power Play" 232 (232): 2005

      28 Lei, Jing, "Negative Spillover in Brand Portfolios: Exploring the Antecedents of Asymmetric Effects" 72 : 111-123, 2008

      29 Anderson, R., "Mobile Advertising and Marketing" 2011

      30 Li, H., "Measuring the Intrusiveness of Advertisements :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31 (31): 37-47, 2002

      31 Thota, S. C., "Is a website known by the banner ads it hosts?: Assessing forward and reciprocal spillover effects of banner ads and host websites" 31 (31): 877-905, 2012

      32 Vespe, F., "High-tech Billboards : The same old litter on a stick" 16 (16): 176-179, 1997

      33 Okazaki, S., "Has the Time Finally Come for the Medium of the Future? Research on Mobile Advertising" 51 : 59-72, 2011

      34 Edwards, S. M., "Forced exposure and psychological reactance :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the perceived intrusiveness of pop-up ads" 31 (31): 83-95, 2002

      35 Furnham, Gunster, "Effects of Product-Program Congruity and Viewer Involvement on Memory for Televised Advertisements" 32 (32): 124-141, 2002

      36 Bettman, James R., "Effects of Framing on Evaluation of Comparable and Noncomparable Alternatives by Expert and Novice Consumers" 14 (14): 141-154, 1987

      37 Rust, R., "E-service and the Customer" 5 (5): 85-101, 1999

      38 Tsang, M., "Consumer attitudes toward mobile advertising : An empirical study" 8 : 65-78, 2004

      39 MSI, "Can marketers move the dial on mobile-ad attitudes?"

      40 Moore, R. S., "Banner Advertiser Web-Site Context Congruity and Color Effects on Attention and Attitudes" 34 (34): 71-84, 2005

      41 Mackenzi, "An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Structural Antecedents of Attitude toward the Ad in an Advertising Pretesting Context" 53 : 48-65, 1989

      42 Collins, Allan M., "A Spreading Activation Theory of Semantic Processing" 82 (82): 407-428, 1975

      43 미래에셋증권보고서, "2013년전망보고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5 1.45 1.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4 1.69 2.793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