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은퇴 이후 노년의 삶을 위해 계획 이주를 하는 경향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기도 N시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과 이용하지 않는 노인들의 상황과 욕구, 그리고 복지관 역...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553547
2018
Korean
학술저널
322-338(1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은퇴 이후 노년의 삶을 위해 계획 이주를 하는 경향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기도 N시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과 이용하지 않는 노인들의 상황과 욕구, 그리고 복지관 역...
본 연구에서는 은퇴 이후 노년의 삶을 위해 계획 이주를 하는 경향이 상대적으로 높은 경기도 N시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과 이용하지 않는 노인들의 상황과 욕구, 그리고 복지관 역할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노인의 복지관 이용에 대한 영향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개인 단위의 자기기입식 설문조사 방식으로, 2017년 10월 11일부터 11월 01일까지 공휴일을 포함하여 총 22일간 실시되었다. 설문조사의 조사대상은 N시 노인복지관 인근 5개의 읍면동에서 거주하는 60세 이상 성인 남녀를 모집단으로 하여, 거주 읍면동 및 성별 할당표본 추출 후 총 400사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은 기술통계와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라 남자에 비해 여자가, 대졸 이상의 학력 소유자의 복지관 이용 확률이 높았다. 주거현황으로는 전세로 사는 노인이 상대적으로 복지관 이용률이 높았고, 월세로 사는 노인은 상대적으로 복지관 이용률이 낮다는 것도 확인되었다. 수입은 100만원 이상의 경우, 복지관 이용 확률이 낮았다. 직계가족과 친밀함을 느끼는 경우, 복지관 이용률은 높았다. 그리고 복지관 역할을 교육·여가·문화 및 사회참여로 인식하거나 재가복지 및 취약계층지원으로 인식하는 노인의 복지관 이용률이 더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성교제에 대한 인식이나 경제활동을 희망하는 경우, 이웃, 친구와 친밀함을 느끼는 것은 복지관 이용률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뿐만 아니라 복지관의 역할을 지역사회문제해결 및 정책제언으로 인식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복지관 이용률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못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노인복지관이 법정 사업을 수행하고 취약계층을 위한 복지 서비스 및 여가문화 프로그램 제공기관으로서의 정체성을 뛰어 넘어 노인복지의 공공성과 노인의 경제활동을 통한 사회참여 및 시민의식 고양을 위한 노인의 전인적인 삶을 이끌어 가는 전문기관으로서의 역할 확장을 제언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노인의 당뇨관련 입원현황과 관련요인
맞춤형 사례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장기요양시설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