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한주민의 상속에 관한 제문제 - 대법원 2013. 7. 25. 선고 2011므3105 판결을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425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들어 북한 주민과 남한 주민간의 상봉행사가 실시되고, 북한을 이탈하여 대한민국으로 입국하는 사람의 수가 증가하게 되자, 남한에서 살다가 사망한 피상속인의 재산을 북한 주민이나 탈북자가 상속하게 되는 경우가 증가하였다. 그리하여 북한 주민의상속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남북 주민 사이의 가족관계와 상속 등에 관한 특례법」이 2012년에 제정되어 시행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 법률의 내용이 자세하지 못하여 북한 주민의 상속과 관련된 법적 쟁점을 충분히 규율하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북한 주민의 상속과 관련된 대법원 판결은 현재까지 공식적으로 공개된 것이 없지만,2013. 7. 25. 선고된 2011므3105 판결에서는 북한 주민의 상속과 관련된 다양한 쟁점을 제시하고 있다. 그 가운데에는 대한민국 법원에 관할권이 있는지, 준거법은 어떻게 결정해야 하는지와 같은 절차법적인 문제 외에 상속회복청구권을 행사할 기간을 정하고있는 민법의 규정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 등과 같은 실체법상의 문제도 있다. 나아가북한 주민을 포함한 공동상속인을 어떻게 결정해야 하며, 북한 주민에 대한 대습상속 및 유증에 관한 문제와 북한 주민이 상속받게 되는 재산의 관리에 관한 문제들이 발생한다. 이 글에서는 실체법적인 문제로서 북한 주민을 포함한 공동상속인은 정함에 있어서 생존한 사실은 확인되지만, 상속개시 당시 상속인으로서의 지위를 갖지 못한 북한 주민은상속인에 포함되기 어렵다는 결론을 제시하였고, 대습상속이나 유증의 경우에는 대습상속인이나 수유자의 신원을 파악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 이에 대비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으며, 상속회복을 청구할 수 있는 기간은 합리적으로제한해야 할 것이고, 북한 주민이 상속받은 재산이 보다 안정적으로 관리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이 글은 현재 제기되고 있는 북한 주민의 상속에 관한 문제에 대한 최종적인 해결책을제시한 것이라기보다는 문제해결을 위한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지만, 앞으로의 연구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기를 희망한다.


      번역하기

      최근 들어 북한 주민과 남한 주민간의 상봉행사가 실시되고, 북한을 이탈하여 대한민국으로 입국하는 사람의 수가 증가하게 되자, 남한에서 살다가 사망한 피상속인의 재산을 북한 주민이...

      최근 들어 북한 주민과 남한 주민간의 상봉행사가 실시되고, 북한을 이탈하여 대한민국으로 입국하는 사람의 수가 증가하게 되자, 남한에서 살다가 사망한 피상속인의 재산을 북한 주민이나 탈북자가 상속하게 되는 경우가 증가하였다. 그리하여 북한 주민의상속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남북 주민 사이의 가족관계와 상속 등에 관한 특례법」이 2012년에 제정되어 시행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 법률의 내용이 자세하지 못하여 북한 주민의 상속과 관련된 법적 쟁점을 충분히 규율하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북한 주민의 상속과 관련된 대법원 판결은 현재까지 공식적으로 공개된 것이 없지만,2013. 7. 25. 선고된 2011므3105 판결에서는 북한 주민의 상속과 관련된 다양한 쟁점을 제시하고 있다. 그 가운데에는 대한민국 법원에 관할권이 있는지, 준거법은 어떻게 결정해야 하는지와 같은 절차법적인 문제 외에 상속회복청구권을 행사할 기간을 정하고있는 민법의 규정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 등과 같은 실체법상의 문제도 있다. 나아가북한 주민을 포함한 공동상속인을 어떻게 결정해야 하며, 북한 주민에 대한 대습상속 및 유증에 관한 문제와 북한 주민이 상속받게 되는 재산의 관리에 관한 문제들이 발생한다. 이 글에서는 실체법적인 문제로서 북한 주민을 포함한 공동상속인은 정함에 있어서 생존한 사실은 확인되지만, 상속개시 당시 상속인으로서의 지위를 갖지 못한 북한 주민은상속인에 포함되기 어렵다는 결론을 제시하였고, 대습상속이나 유증의 경우에는 대습상속인이나 수유자의 신원을 파악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 이에 대비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으며, 상속회복을 청구할 수 있는 기간은 합리적으로제한해야 할 것이고, 북한 주민이 상속받은 재산이 보다 안정적으로 관리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이 글은 현재 제기되고 있는 북한 주민의 상속에 관한 문제에 대한 최종적인 해결책을제시한 것이라기보다는 문제해결을 위한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지만, 앞으로의 연구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기를 희망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North Korean meet South Korean and Residents escaping from North Korea entered Republic of Korea. Therefore the Inheritance from ancestor who lived in South Korea to North Korean or Residents escaping from North Korea are increased. So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Family Relationships, Inheritance, etc. between Residents in South and North Korea」 legislated in 2012. While Supreme Court pronounced inheritance case between North Korean and successors who live in South Korea. (Supreme Court Decision 2011me3105 Decided July 25, 2013) North Korean claim Seeking Recognition of Affiliation and Supreme Court admitted claim of plaintiffs. In this case Supreme Court declared several issues. The issues are does South Korean court have Jurisdiction, how decide on applicable law, how interpret provisions about expiration of the claim for recovery of inheritance. And the other issues are exist that how decide the successors including North Korean, problems about Inheritance by Representation and Renunciation of Testamentary Gift, problems about Management of Property inherited by or Bequeathed to North Koreans, etc. In this article I bring up conclusions each issues, and I hope this article become an opportunity to beginning of additional researches.


      번역하기

      Recently, North Korean meet South Korean and Residents escaping from North Korea entered Republic of Korea. Therefore the Inheritance from ancestor who lived in South Korea to North Korean or Residents escaping from North Korea are increased. So 「Ac...

      Recently, North Korean meet South Korean and Residents escaping from North Korea entered Republic of Korea. Therefore the Inheritance from ancestor who lived in South Korea to North Korean or Residents escaping from North Korea are increased. So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Family Relationships, Inheritance, etc. between Residents in South and North Korea」 legislated in 2012. While Supreme Court pronounced inheritance case between North Korean and successors who live in South Korea. (Supreme Court Decision 2011me3105 Decided July 25, 2013) North Korean claim Seeking Recognition of Affiliation and Supreme Court admitted claim of plaintiffs. In this case Supreme Court declared several issues. The issues are does South Korean court have Jurisdiction, how decide on applicable law, how interpret provisions about expiration of the claim for recovery of inheritance. And the other issues are exist that how decide the successors including North Korean, problems about Inheritance by Representation and Renunciation of Testamentary Gift, problems about Management of Property inherited by or Bequeathed to North Koreans, etc. In this article I bring up conclusions each issues, and I hope this article become an opportunity to beginning of additional research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I. 들어가는 말
      • II. 대상판결의 정리
      • III. 대상판결에 대한 검토
      • IV. 맺는 말
      • 【국문초록】
      • I. 들어가는 말
      • II. 대상판결의 정리
      • III. 대상판결에 대한 검토
      • IV. 맺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창우, "판례실무연구[XI](하)" 사법발전재단 2014

      2 신진화, "통일 전후의 신분법제 정비방안-혼인과 이혼, 부모와 자, 부양의무자, 상속을 중심으로-" 법원행정처 1 : 2006

      3 김상용, "친족상속법" 법문사 2013

      4 정구태, "북한주민의 혼인․친자․상속관계소송에 관한 諸問題" 법학연구원 (70) : 279-328, 2013

      5 이은정, "북한주민의 상속권 ―특별법 제정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법학회 24 (24): 149-178, 2010

      6 이시윤, "북한주민 100억대 상속 소송" 북한연구소 2011

      7 정구태, "북한 주민의 상속회복청구권 행사와 제척기간 -서울남부지방법원 2014. 1. 21. 선고, 2011가단83213 판결-" 법학연구소 8 (8): 221-254, 2014

      8 이인호, "북한 거주 상속인에게 상속회복청구권 제척기간의 연장특례를 인정하는 것에 대한 헌법적 평가" 법무부 통일법무과 (8) : 2011

      9 임복규, "남북한 주민 사이의 상속문제 해결방안" 법원행정처 2 : 2008

      10 임성권, "남북한 주민 사이의 가족법적 문제" 한국비교사법학회 8 (8): 2001

      1 홍창우, "판례실무연구[XI](하)" 사법발전재단 2014

      2 신진화, "통일 전후의 신분법제 정비방안-혼인과 이혼, 부모와 자, 부양의무자, 상속을 중심으로-" 법원행정처 1 : 2006

      3 김상용, "친족상속법" 법문사 2013

      4 정구태, "북한주민의 혼인․친자․상속관계소송에 관한 諸問題" 법학연구원 (70) : 279-328, 2013

      5 이은정, "북한주민의 상속권 ―특별법 제정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법학회 24 (24): 149-178, 2010

      6 이시윤, "북한주민 100억대 상속 소송" 북한연구소 2011

      7 정구태, "북한 주민의 상속회복청구권 행사와 제척기간 -서울남부지방법원 2014. 1. 21. 선고, 2011가단83213 판결-" 법학연구소 8 (8): 221-254, 2014

      8 이인호, "북한 거주 상속인에게 상속회복청구권 제척기간의 연장특례를 인정하는 것에 대한 헌법적 평가" 법무부 통일법무과 (8) : 2011

      9 임복규, "남북한 주민 사이의 상속문제 해결방안" 법원행정처 2 : 2008

      10 임성권, "남북한 주민 사이의 가족법적 문제" 한국비교사법학회 8 (8): 2001

      11 권순한, "남북한 가족법의 통합과 법률문제" 연세법학회 7 (7): 2000

      12 최성경, "남북주민의 가족관계와 상속 —「남북 주민 사이의 가족관계와 상속 등에 관한 특례법」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법학회 26 (26): 171-208, 2012

      13 신영호, "남북이산가족의 왕래와 재결합에 관한 법령정비방안"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34 : 1998

      14 하철영, "남북이산가족과 관련한 법률상의 혼란과 문제점" 동의대학교 법정대학 지역사회개발연구소 (17) : 2001

      15 이형택, "남북 주민 사이의 가족관계 상속 등 관련 법적 쟁점과 특별법 제정을 통한 해결 방안" 법무부 2011

      16 소재선, "남ㆍ북이산가족의 상봉(1-3차)에 따른 가족법상의 제문제" 한국가족법학회 15 (15): 2001

      17 임복규, ""남북 주민 사이의 가족관계와 상속 등에 관한 특례법"중 상속관련 규정에 대한 고찰" 법원행정처 1 :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1 0.71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6 0.679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