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문학에서 詩人의 개념과 역사 —杜甫를 중심으로 = The Concept and History of Poet in Chinese Literature: Focused on Du F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367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문학에서 ‘詩人’은 원래 《詩經》의 작가라는 집단적이고 고상한 의미였기에 후대에 일반적 시의 작가를 시인이라고 부르는 것을 주저하게 만들었다. 또한 〈離騷〉의 작가를 가리키는 ‘騷人’이라는 용어도 시인을 지칭할 때 쓰였기에 ‘시인’은 《시경》 작가의 기풍에 屈原의충정까지 겸비한 사람이라는 의미를 더하게 되었다. 建安시기부터 曹操 부자를 중심으로 구체적인 시의 작가가 대거 등장하고 五言詩를 중심으로 시체가 틀을 갖추면서 六朝시기에는시의 작가들에 대한 전문 평론서인 《詩品》이 출현하였다. 이는 중국시가사에서 ‘시인’이라는범주가 독립적으로 사유된 시작점으로 볼 수 있다. 그래서 예전의 辭賦나 산문 작가 위주의‘文人’에서 악부시나 오언시 등도 창작하는 문인으로 변화하고, 나아가 시의 비중이 점점 커짐에 따라 문인보다 좁은 의미의 ‘시인’으로 부를 가능성이 생겼다. 이로 인해 《시품》에서 陶 淵明을 ‘隱逸詩人’이라 부른 것처럼 《시경》의 시인과는 다른 일반적 시인이라는 개념이 등장하였다. 일반적인 시의 작가를 가리키는 ‘시인’이라는 말은 남북조시기에는 거의 쓰이지 않다가 唐代 이후에 이르러 점차적으로 사용되었다. 初盛唐代에는 그러한 시인 용어의 사용이 드물다가 中晩唐代에 차츰 증가되었으며 宋代 이후에 보편화되었다. 이런 흐름 속에서 元稹이杜甫를 평하며 “시인이 있은 이래로 두보와 같은 사람은 없었다(詩人以來, 未有如子美者)”라고 한 것은 의미심장하다. 두보는 시 창작의 전문성의 면에서 돋보이는 시인이다. 이를 바탕으로 두보가 이룬 집대성과 창신의 성취는 그의 생전의 지명도에 도리어 악영향을 미쳤다.
      그래서 두보는 보편적인 시인의 전형이라기보다는 최고점에 있는 시인의 典範에 가깝다. 중국문학사에서 시인은 매우 흔한 듯 하지만 전적으로 몰입한 시인은 드물었는데 두보는 그러한 드문 시인이다.
      번역하기

      중국문학에서 ‘詩人’은 원래 《詩經》의 작가라는 집단적이고 고상한 의미였기에 후대에 일반적 시의 작가를 시인이라고 부르는 것을 주저하게 만들었다. 또한 〈離騷〉의 작가를 가리...

      중국문학에서 ‘詩人’은 원래 《詩經》의 작가라는 집단적이고 고상한 의미였기에 후대에 일반적 시의 작가를 시인이라고 부르는 것을 주저하게 만들었다. 또한 〈離騷〉의 작가를 가리키는 ‘騷人’이라는 용어도 시인을 지칭할 때 쓰였기에 ‘시인’은 《시경》 작가의 기풍에 屈原의충정까지 겸비한 사람이라는 의미를 더하게 되었다. 建安시기부터 曹操 부자를 중심으로 구체적인 시의 작가가 대거 등장하고 五言詩를 중심으로 시체가 틀을 갖추면서 六朝시기에는시의 작가들에 대한 전문 평론서인 《詩品》이 출현하였다. 이는 중국시가사에서 ‘시인’이라는범주가 독립적으로 사유된 시작점으로 볼 수 있다. 그래서 예전의 辭賦나 산문 작가 위주의‘文人’에서 악부시나 오언시 등도 창작하는 문인으로 변화하고, 나아가 시의 비중이 점점 커짐에 따라 문인보다 좁은 의미의 ‘시인’으로 부를 가능성이 생겼다. 이로 인해 《시품》에서 陶 淵明을 ‘隱逸詩人’이라 부른 것처럼 《시경》의 시인과는 다른 일반적 시인이라는 개념이 등장하였다. 일반적인 시의 작가를 가리키는 ‘시인’이라는 말은 남북조시기에는 거의 쓰이지 않다가 唐代 이후에 이르러 점차적으로 사용되었다. 初盛唐代에는 그러한 시인 용어의 사용이 드물다가 中晩唐代에 차츰 증가되었으며 宋代 이후에 보편화되었다. 이런 흐름 속에서 元稹이杜甫를 평하며 “시인이 있은 이래로 두보와 같은 사람은 없었다(詩人以來, 未有如子美者)”라고 한 것은 의미심장하다. 두보는 시 창작의 전문성의 면에서 돋보이는 시인이다. 이를 바탕으로 두보가 이룬 집대성과 창신의 성취는 그의 생전의 지명도에 도리어 악영향을 미쳤다.
      그래서 두보는 보편적인 시인의 전형이라기보다는 최고점에 있는 시인의 典範에 가깝다. 중국문학사에서 시인은 매우 흔한 듯 하지만 전적으로 몰입한 시인은 드물었는데 두보는 그러한 드문 시인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盧暻熙, "六朝文人論의 源流와 展開에 대한 詩論" 7 : 1984

      2 魯迅, "魯迅全集 제3권" 人民文學出版社 1956

      3 김학주, "중국문학사론" 서울대출판부 2001

      4 김학주, "중국문학사" 신아사 2013

      5 서경호, "중국 문학의 발생과 그 변화의 궤적" 문학과지성사 2003

      6 鍾嶸, "역주시품" ㈜창비 2007

      7 박지현, "당대(唐代) 정치 문인의 등장과 소설적 글쓰기" 한국중국소설학회 (30) : 105-120, 2009

      8 錢志熙, "魏晉詩歌藝術原論" 北京大學出版社 2005

      9 傅剛, "魏晉南北朝詩歌史論" 商務印書館 2017

      10 韓愈, "韓昌黎全集" 新文豐出版公司 1977

      1 盧暻熙, "六朝文人論의 源流와 展開에 대한 詩論" 7 : 1984

      2 魯迅, "魯迅全集 제3권" 人民文學出版社 1956

      3 김학주, "중국문학사론" 서울대출판부 2001

      4 김학주, "중국문학사" 신아사 2013

      5 서경호, "중국 문학의 발생과 그 변화의 궤적" 문학과지성사 2003

      6 鍾嶸, "역주시품" ㈜창비 2007

      7 박지현, "당대(唐代) 정치 문인의 등장과 소설적 글쓰기" 한국중국소설학회 (30) : 105-120, 2009

      8 錢志熙, "魏晉詩歌藝術原論" 北京大學出版社 2005

      9 傅剛, "魏晉南北朝詩歌史論" 商務印書館 2017

      10 韓愈, "韓昌黎全集" 新文豐出版公司 1977

      11 陶潛, "陶淵明集校箋" 上海古籍出版社 1999

      12 浦起龍, "讀杜心解" 中華書局 2000

      13 成百曉, "詩經集傳 上下" 傳統文化硏究會 1993

      14 黃瑄周, "盛唐人의 杜詩觀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5

      15 白居易, "白居易集箋校" 上海古籍出版社 2003

      16 王維, "王維集校注" 中華書局 1997

      17 洪尙勳, "漢代 文人의 形成에 대한 고찰 -漢賦와 《論衡》을 중심으로-" 35 : 2001

      18 楊倫, "杜詩鏡銓" 上海古籍出版社 1998

      19 錢謙益, "杜詩錢注" 世界書局 1970

      20 仇兆鰲, "杜詩詳註" 中華書局 1995

      21 王嗣奭, "杜臆" 上海古籍出版社 1983

      22 강민호, "杜甫 詩의 典範化 양상과 영향 -詩聖說․詩史說․集大成說의 부정적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중국어문학회 61 : 53-93, 2009

      23 王琦, "李太白全集" 華正書局 1991

      24 이남종, "孟浩然 詩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25 陳伯海, "唐詩論評類編" 山東敎育出版社 1992

      26 傅璇琮, "唐代科擧與文學" 陜西人民出版社 1986

      27 "全唐詩" 中華書局出版 1992

      28 傅璇琮, "中國詩學大詞典" 浙江敎育出版社 1999

      29 陸侃如, "中國詩史" 百花文藝出版社 2002

      30 "中國文學發達史" 臺灣中華書局 1978

      31 袁行霈, "中國文學史 第1,2卷" 高等敎育出版社 1999

      32 葉慶炳, "中國文學史" 臺灣學生書局 1986

      33 金觀淘, "中國史의 시스템理論的 分析" 도서출판 新書苑 1995

      34 傅亞庶, "三曹詩文全集譯注" 吉林問話出版社 1997

      35 "《舊唐書》, 文淵閣四庫全書 電子版"

      36 張靜宇, "“屈原否定論”論爭研究" 漳州師范學院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6 0.26 0.2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8 0.32 0.635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