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台湾当代文学历史叙事的新转折 —平路与陈耀昌小说中十七世纪台湾史料的再现与思索 = New Transition of Historical Narratives in Taiwanese Contemporary Literature: The Reproduction of Taiwanese Historical Records of the 17th Century and Contemplation of Culture in the Novels of Ping Lu and Chen Yao-cha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367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21st century, there was a boom of research in the field of Taiwanese historical narrative on Netherland’s colonial rule of Taiwan in the 17th century. Such trend expanded to the literature field, and creations were made using the forgotten historical material. Representative works are 《婆 娑之島》 and 《福爾摩沙三族記》, written by Ping Lu and Chen Yao-chang. By analyzing these texts, this study studies what kind of a message the author presents through the literary form, and what his view is on the present and the future. In 《婆娑之島》, Ping Lu presents the fate of Taiwan being in the midst of imperialism for 400 years, and points out the betrayal of imperialism on Taiwan. Ping Lu argues that in order for Taiwan to evade from such situation, the future of Taiwan should be discussed in the global context, outside of the limited perspective of “China/Taiwan”. Chen Yao-chang established the Tiwanese identity based on the multiple history narrative, by referencing to the spacial identity instead of the innate kinship. Such establishment of identity gave a breakthrough to the identity politics in Taiwan. Amidst the rapidly changing world politics and economy, it is essential for Taiwan to reestablish the cultural identity for itself for its development. What is more important is that the multiple history narrative maintains openness of history and communicates with the grand narrative to prevent history from being baised.
      번역하기

      In the 21st century, there was a boom of research in the field of Taiwanese historical narrative on Netherland’s colonial rule of Taiwan in the 17th century. Such trend expanded to the literature field, and creations were made using the forgotten hi...

      In the 21st century, there was a boom of research in the field of Taiwanese historical narrative on Netherland’s colonial rule of Taiwan in the 17th century. Such trend expanded to the literature field, and creations were made using the forgotten historical material. Representative works are 《婆 娑之島》 and 《福爾摩沙三族記》, written by Ping Lu and Chen Yao-chang. By analyzing these texts, this study studies what kind of a message the author presents through the literary form, and what his view is on the present and the future. In 《婆娑之島》, Ping Lu presents the fate of Taiwan being in the midst of imperialism for 400 years, and points out the betrayal of imperialism on Taiwan. Ping Lu argues that in order for Taiwan to evade from such situation, the future of Taiwan should be discussed in the global context, outside of the limited perspective of “China/Taiwan”. Chen Yao-chang established the Tiwanese identity based on the multiple history narrative, by referencing to the spacial identity instead of the innate kinship. Such establishment of identity gave a breakthrough to the identity politics in Taiwan. Amidst the rapidly changing world politics and economy, it is essential for Taiwan to reestablish the cultural identity for itself for its development. What is more important is that the multiple history narrative maintains openness of history and communicates with the grand narrative to prevent history from being bai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1세기에 들어서, 대만 역사 서술에 있어 17세기 네덜란드의 대만 통치에 관한 연구 열풍이 일어났고, 문학 범주에서도 이러한 망각된 역사 소재로 창작하는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평로(平路)와 진요창(陳耀昌)의 《婆娑之島》와 《福爾摩沙三族記》가 바로 그 대표적인 작품이다. 본 연구는 이들 텍스트를 분석대상로 삼아, 작가가 문학형식을 통하여 어떤 메시지를던지며, 현실과 미래에 대하여 어떠한 사색을 하고 있는지에 초점을 두고 서술하였다. 《婆娑 之島》에서 평로는 대만이 4백 년 전부터 줄곧 제국주의 세력 사이에 처하고 있는 운명을 보여주면서 제국의 대만 배신을 지적하였다. 이를 통해 평로는 대만이 이러한 곤경에서 벗어나려면 ‘중국/대만'이라는 국한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세계적인 관점에서 대만의 미래를 고민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진요창은 다원적 사관을 기초로 하여 태생적 혈연이 아닌 대만이라는공간에 대한 신념으로 대만 정체성을 구축하였다. 이러한 정체성의 구축은 대만 정체성 정치에 있어서 새로운 돌파구를 제시하였다. 21세기 세계 정치 경제가 급변하는 가운데, 대만이자신의 문화 정체성을 재정립하는 것은 앞으로의 발전을 위해 필수적이다. 더 중요한 것은다원적 역사 서사가 개방성을 유지하며 역사 대서사(grand narrative)와 대화하여 역사서술이편향되는 것을 견제하는 것이다.
      번역하기

      21세기에 들어서, 대만 역사 서술에 있어 17세기 네덜란드의 대만 통치에 관한 연구 열풍이 일어났고, 문학 범주에서도 이러한 망각된 역사 소재로 창작하는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평로(...

      21세기에 들어서, 대만 역사 서술에 있어 17세기 네덜란드의 대만 통치에 관한 연구 열풍이 일어났고, 문학 범주에서도 이러한 망각된 역사 소재로 창작하는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평로(平路)와 진요창(陳耀昌)의 《婆娑之島》와 《福爾摩沙三族記》가 바로 그 대표적인 작품이다. 본 연구는 이들 텍스트를 분석대상로 삼아, 작가가 문학형식을 통하여 어떤 메시지를던지며, 현실과 미래에 대하여 어떠한 사색을 하고 있는지에 초점을 두고 서술하였다. 《婆娑 之島》에서 평로는 대만이 4백 년 전부터 줄곧 제국주의 세력 사이에 처하고 있는 운명을 보여주면서 제국의 대만 배신을 지적하였다. 이를 통해 평로는 대만이 이러한 곤경에서 벗어나려면 ‘중국/대만'이라는 국한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세계적인 관점에서 대만의 미래를 고민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진요창은 다원적 사관을 기초로 하여 태생적 혈연이 아닌 대만이라는공간에 대한 신념으로 대만 정체성을 구축하였다. 이러한 정체성의 구축은 대만 정체성 정치에 있어서 새로운 돌파구를 제시하였다. 21세기 세계 정치 경제가 급변하는 가운데, 대만이자신의 문화 정체성을 재정립하는 것은 앞으로의 발전을 위해 필수적이다. 더 중요한 것은다원적 역사 서사가 개방성을 유지하며 역사 대서사(grand narrative)와 대화하여 역사서술이편향되는 것을 견제하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高致华, "郑成功信仰在台湾―异文化之各自表述" 东吴大学外语学院 (22) : 2006

      2 江仁杰, "解构郑成功―英雄、神话与形象的历史" 三民书局 2006

      3 林野文, "被遗误的台湾: 荷郑台江决战始末" 前卫出版社 2012

      4 翁佳音, "荷兰时代台湾史的连续性问题" 稻香出版社 2008

      5 江宜桦, "自由民主体制下的国家认同" 台湾社会研究杂志社 (25) : 1997

      6 陈耀昌, "福尔摩沙三族记" 远流出版社 2012

      7 江宜桦, "当前台湾国家认同论述之反省" 台湾社会研究杂志社 (29) : 1998

      8 苏惠昭, "干细胞专家陈耀昌的福尔摩沙梦" 光华画报杂志社 35 (35): 2012

      9 村上直次郎, "巴达维亚城日记 第一册" 台湾省文献委员会 1970

      10 平路, "婆娑之岛" 商周出版社 2012

      1 高致华, "郑成功信仰在台湾―异文化之各自表述" 东吴大学外语学院 (22) : 2006

      2 江仁杰, "解构郑成功―英雄、神话与形象的历史" 三民书局 2006

      3 林野文, "被遗误的台湾: 荷郑台江决战始末" 前卫出版社 2012

      4 翁佳音, "荷兰时代台湾史的连续性问题" 稻香出版社 2008

      5 江宜桦, "自由民主体制下的国家认同" 台湾社会研究杂志社 (25) : 1997

      6 陈耀昌, "福尔摩沙三族记" 远流出版社 2012

      7 江宜桦, "当前台湾国家认同论述之反省" 台湾社会研究杂志社 (29) : 1998

      8 苏惠昭, "干细胞专家陈耀昌的福尔摩沙梦" 光华画报杂志社 35 (35): 2012

      9 村上直次郎, "巴达维亚城日记 第一册" 台湾省文献委员会 1970

      10 平路, "婆娑之岛" 商周出版社 2012

      11 蔡友月, "基因科学与认同政治―原住民DNA、台湾人起源生物多元文化主义的兴起" 中央研究院社会科学研究所 (28) : 2014

      12 張期玲, "国家認同的塑造: 以國中的歷史教科書為焦點(1950-2000)" 淡江大學 2004

      13 王韶君, "台湾海洋文学中的文化视野" 文学台湾杂志社 (62) : 2007

      14 宋佩芬, "台湾史的诠释转变:国族历史与国家认同教育的省思" 台湾师范大学研究发展处 55 (55): 2010

      15 史明, "台湾人四百年史" 蓬岛文化 1980

      16 殷允芃, "发现台湾" 天下杂志 1992

      17 余英时, "发现台湾" 天下杂志 1992

      18 吴信宏, "再现、认同、族群关系―以 『土地的灵魂』、『倒风内海』、『余生』为研究对象" 成功大学 2007

      19 陈丽华, "传统的重塑与再现:延平郡王祠与台南地方社会" 国立台湾历史博物馆 (5) : 2013

      20 Berton, "专访陈耀昌⋅陈郁秀: 重新在世界地图上找到台湾的位置" ONION

      21 国立编译馆, "《认识台湾》历史篇" 1997

      22 国立编译馆, "《历史》第一册" 1997

      23 徐秀琴, "〈「中国本位」與「台湾本位」意識型態形成制度過程的衝突與調和: 以國民中學納入 「認識台灣」課程為例" 東海大學 2000

      24 陈耀昌, "DNA 尋根記—追求族群共 「榮」" GENE ONLIN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6 0.26 0.2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8 0.32 0.635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