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 17 서론 : 반복과 차이 1절 반복과 일반성 : 첫 번째 구별(행동의 관점에서) = 25 일반성의 두 질서 : 유사성과 동등성 = 29 반복과 일반성 : 두 번째 구별(법칙의 관점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25907
2004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머리말 = 17 서론 : 반복과 차이 1절 반복과 일반성 : 첫 번째 구별(행동의 관점에서) = 25 일반성의 두 질서 : 유사성과 동등성 = 29 반복과 일반성 : 두 번째 구별(법칙의 관점에...
머리말 = 17
서론 : 반복과 차이
1절
반복과 일반성 : 첫 번째 구별(행동의 관점에서) = 25
일반성의 두 질서 : 유사성과 동등성 = 29
반복과 일반성 : 두 번째 구별(법칙의 관점에서) = 31
반복, 자연법칙, 도덕법칙 = 32
2절
반복 철학의 프로그램 : 키에르케고르, 니체, 페기 = 34
참된 운동, 연극, 그리고 재현 = 41
3절
반복과 일반성 : 세 번째 구별(개념의 관점에서) = 47
개념의 내포와 '봉쇄' 현상 = 49
자연적 봉쇄의 세 경우와 반복 : 명목적 개념, 자연의 개념, 자유의 개념 = 50
4절
반복은 개념의 동일성이나 부정적 조건으로만 설명되지 않는다 = 56
'죽음본능'의 기능들 : 실증적 원리를 요구하는 반복(자유의 개념을 사례로) = 58
5절
두 가지 반복 : 개념의 동일성과 부정적 조건에 의한 반복, 이념 안의 차이와 과잉에 의한 반복(자연적 개념과 명목적 개념을 사례로) = 65
헐벗은 반복과 옷 입은 반복 = 73
6절
개념적 차이와 개념 없는 차이 = 79
차이의 개념(이념)은 개념적 차이로, 반복의 적극적 본질은 개념 없는 차이로 환원되지 않는다 = 82
1 차이 그 자체
1절
차이와 어두운 바탕 = 85
재현의 네 측면(4중의 뿌리, 행복한 국면, 큰 차이와 작은 차이) = 88
2절
개념적 차이 : 가장 크고 가장 완전한 차이 = 90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른 차이의 논리학 : 차이의 개념과 개념적 차이의 혼동 = 92
종적 차이와 유적 차이 = 95
재현의 네 측면 : 개념의 동일성, 판단의 유비, 술어들의 대립, 지각된 것의 유사성 = 96
차이와 유기적 재현 = 98
3절
일의성과 차이 = 101
분배의 두 유형 = 103
일의성과 유비의 화해 불가능성 = 106
일의성의 역사적 단계들 : 둔스 스코투스, 스피노자, 니체 = 109
영원회귀 안의 반복은 존재의 일의성을 정의한다 = 112
4절
차이와 망아적 재현 : 무한대와 무한소 = 115
이유로서의 근거 = 116
헤겔에 따른 차이의 논리학과 존재론 : 모순 = 120
라이프니츠에 따른 차이의 논리학과 존재론 : 부차모순(연속성과 식별 불가능자들) = 124
망아적 재현 혹은 무한한 재현의 불충분성 = 129
5절
차이, 긍정, 부정 = 132
가상으로서의 부정적 사태 = 136
부정적인 것의 배제와 영원회귀 = 140
6절
플라톤에 따른 차이의 논리학과 존재론 = 149
나눔의 방법에 등장하는 것들 : 지망자와 근거의 시험, 물음과 문제, (비)-존재와 부정적인 것 = 151
7절
차이의 문제에서 결정적인 것 : 허상과 허상의 저항 = 162
2 대자적 반복
1절
반복 : 무엇인가 변하고 있다 = 169
시간의 첫번째 종합 : 살아 있는 현재 = 172
습관, 수동적 종합, 수축, 응시 = 175
습관의 문제 = 180
2절
시간의 두 번째 종합 : 순수 과거 = 188
기억, 순수 과거, 현재들의 재현 = 189
과거의 네 가지 역설 = 193
물질적 반복과 정신적 반복 = 198
3절
데카르트적 코기토와 칸트적 코기토 : 규정되지 않은 것, 규정, 규정 가능한 것 = 202
균열된 나, 수동적 자아, 시간의 텅 빈 형식 = 204
기억의 불충분성 : 시간의 세 번째 종합 = 206
시간의 형식, 순서, 집합, 계열 = 208
세 번째 종합 안의 반복 : 결핍에 의한 조건, 변신의 주체, 무제약적 특성 = 211
영원회귀의 관점에서 본 비극, 희극, 역사, 신앙 = 216
4절
반복과 무의식 : "쾌락원칙을 넘어서" = 220
첫 번째 종합과 묶기 : 하비투스 = 222
두 번째 종합 : 잠재적 대상들과 과거 = 226
에로스와 므네모시네 = 235
반복, 전치, 위장 : 차이 = 235
무의식의 본성에 대한 귀결들 : 무의식은 계열적이고 미분적이며 물음을 던진다 = 242
세 번째 종합 혹은 세 번째의 '넘어서' : 나르키소스적 자아, 죽음본능, 시간의 텅 빈 형식 = 249
죽음본능, 대립, 물질적 반복 = 251
죽음본능과 영원회귀 안의 반복 = 254
5절
유사성과 차이 = 262
체계란 무엇인가 = 264
어두운 전조와 '분화소' = 268
문학 체계 = 272
6절
플라톤주의의 참된 동기는 허상의 문제에 있다 = 283
3 사유의 이미지
1절
철학과 전제들의 문제 = 289
첫 번째 공준 : 보편적 본성의 사유라는 원리 = 293
2절
두 번째 공준 : 공통감의 이상 = 296
사유와 독사 = 298
세 번째 공준 : 재인의 모델 = 301
칸트적 비판의 애매성 = 305
네 번째 공준 : 재현의 요소 = 307
3절
차이론적 인식능력 이론 = 309
인식능력들의 불화적 사용 : 폭력과 각 인식능력의 한계 = 311
플라톤주의의 애매성 = 315
사유하기 : 사유 안에서 사유하기가 발생하는 과정 = 318
4절
다섯 번째 공준 : '부정적인 것'으로서의 오류 = 329
어리석음의 문제 = 333
5절
여섯 번째 공준 : 지칭의 특권 = 338
의미의 역설들 = 344
의미와 문제 = 346
일곱 번째 공준 : 해의 양상들 = 349
진리론과 해들의 가상 = 352
문제 범주의 존재론적 의미와 인식론적 중요성 = 357
6절
여덟 번째 공준 : 결과로서의 앎 = 362
배움의 의미 = 363
공준들의 요약 : 차이와 반복의 철학을 가로막는 장애물로서의 공준들 = 367
4 차이의 이념적 종합
1절
이념 : 문제제기의 심급 = 369
차이 : 미규정성, 규정 가능성, 규정성 = 372
2절
미분 = 374
양화 가능성과 규정 가능성의 원리 = 375
질화 가능성과 상호적 규정의 원리 = 378
잠재력과 완결된 규정의 원리(계열 혹은 급수의 형식) = 382
3절
미분법과 무한소의 무용성 = 386
미분적인 것과 문제제기적인 것 = 393
문제 이론 : 변증법과 과학 = 395
4절
이념과 다양체 = 397
구조들 : 구조들의 기준들, 이념들의 유형들 = 402
부차모순의 절차 : 독특한 것과 규칙적인 것, 특이한 것과 평범한 것 = 412
5절
이념과 미분적 인식능력 이론 = 415
문제와 물음 = 422
명법들과 놀이 = 427
6절
이념과 반복 = 433
반복, 특이한 것, 평범한 것 = 435
부정적인 것이라는 가상 = 437
차이, 부정, 대립 = 439
부정적인 것의 발생 = 444
7절
이념과 잠재성 = 449
잠재적인 것의 실재성 : ens omni modo…… = 451
미분화와 분화 : 대상의 두 반쪽 = 453
반쪽들 각각의 두 측면 = 455
잠재적인 것과 가능한 것의 구별 = 456
미분적 무의식 : 판명-애매 = 458
8절
분화 : 이념의 현실화 과정 = 460
역동성 혹은 드라마들 = 464
극화의 보편성 = 469
복합 개념 미/분화 = 472
5 감성적인 것의 비대칭적 종합
1절
차이와 잡다 = 475
차이와 강도 = 476
2절
차이의 소멸 = 478
양식과 공통감 = 480
차이와 역설 = 485
3절
강도, 질, 외연 : 소멸의 가상 = 488
깊이 혹은 공-간 = 492
4절
강도의 첫 번째 특성 : 즉자적 비동등 = 496
수에서 비동등한 것이 떠맡는 역할 = 498
강도의 두 번째 특성 : 차이를 긍정하기 = 500
부정적인 것의 가상성 = 502
감성적인 것의 존재 = 504
강도의 세 번째 특성 : 함축 혹은 안-주름운동 = 506
본성상의 차이와 정도상의 차이 = 509
에너지와 영원회귀 = 513
영원회귀 안의 반복은 질적이거나 외연적이지 않고 다만 강도적이다 = 515
5절
강도와 미분 = 521
이념의 현실화에서 개체화가 떠맡는 역할 = 523
개체화와 분화 = 525
개체화는 강도적이다 = 527
개체적 차이와 개체화하는 차이 = 532
막-주름운동, 밖-주름운동, 안-주름운동 = 534
6절
체계의 진화 = 540
봉인의 중심들 = 542
개체화 요인들, 나, 자아 = 543
심리적 체계들 안에서 타인이 지닌 본성과 기능 = 549
결론 : 차이와 반복
1절
재현에 대한 비판 = 553
유한-무한 양자택일의 무용성 = 556
동일성, 유사성, 대립, 유비는 어떻게 차이를 왜곡하는가 : 4중의 가상 = 560
하지만 동일성, 유사성, 대립, 유비는 또한 어떻게 반복을 왜곡하는가 = 567
2절
이유로서의 근거 : 근거의 세 가지 의미 = 571
근거에서 무-바탕으로 = 575
비인격적 개체화와 전-개체적 독특성 = 580
3절
허상들 = 582
이념 이론과 문제 이론 = 584
타인 = 588
두 유형의 놀이와 그 특성들 = 590
범주들에 대한 비판 = 595
4절
반복, 동일자, 부정적인 것 = 597
두 가지 반복 = 600
병리학과 예술, 상동증과 후렴 : 모든 반복들이 공존하는 예술 = 605
세 번째 반복, 존재론적 반복을 향하여 = 610
5절
시간의 형식과 세 가지 반복 = 614
세 번째 반복의 선별력 : 영원회귀와 니체(허상들) = 617
다시 돌아오지 않는 것 = 620
같음의 세 가지 의미 : 존재론, 가상, 오류 = 626
존재의 유비와 재현, 존재의 일의성과 반복 = 630
참고 문헌 = 635
들뢰즈 연보 = 653
옮긴이 해제 - 들뢰즈 존재론의 기본 구도 = 659
찾아보기 = 689
(출처: KERIS, http://www.riss.kr/link?id=M10939783)
국문 초록 (Abstract)
본 자료는 최종결과물(결과보고서)의 원자료이다. 들뢰즈의 ‘되기’ 이론을 적용하여 권진규의 조형물을 재해석하고자 토대가 된 들뢰즈의 주 저작으로, 본 자료(김상환 옮김 2004)는 ...
본 자료는 최종결과물(결과보고서)의 원자료이다.
들뢰즈의 ‘되기’ 이론을 적용하여 권진규의 조형물을 재해석하고자 토대가 된 들뢰즈의 주 저작으로, 본 자료(김상환 옮김 2004)는 핵심자료로서 활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