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가습기 살균제로 인해 임산부와 어린이들이 연이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고 이어 가습기 살균제에서 문제가 되었던 성분이 물티슈에서도 검출되면서 물티슈의 위해성에 대한 논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157803
201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81-97(17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2011년 가습기 살균제로 인해 임산부와 어린이들이 연이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고 이어 가습기 살균제에서 문제가 되었던 성분이 물티슈에서도 검출되면서 물티슈의 위해성에 대한 논란...
2011년 가습기 살균제로 인해 임산부와 어린이들이 연이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고 이어 가습기 살균제에서 문제가 되었던 성분이 물티슈에서도 검출되면서 물티슈의 위해성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소비자들은 물티슈의 위해성을 인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물티슈의 사용량을 줄이는 대신 보다 안전한 물티슈를 구매하려 노력하는 등으로 일반적이지 못한 소비자행동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물티슈에 대한 소비자의 주관적 안전성 평가 및 행동, 정보신뢰성, 선호 정보원, 실제 물티슈의 표시실태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소비자의 안전한 물티슈의 사용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는 제품의 안전성 관리․감독을 보다 적극적으로 수행하여 장기적으로 소비자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둘째, 유해물질에 대한 적극적 홍보와 안전제품 공개 등으로 소비자가 위해를 수용하기 보다는 회피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셋째, 물티슈 표시정보기준을 품명, 모델명 표시통일, 감전, 알러지 등 사용상 주의사항 추가, 권장유통기한 표시, 수입 물티슈에 대한 표시를 한국어 사용, 국내 표시기준 적용, 포장 전면에 주요 표시사항 제시, 주요 안전정보는 그림과 문자를 활용하여 소비자의 가독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isk of wet tissues has been a subject of controversy since a series of deaths of pregnant women and children due to the humidifier disinfectant in the spring of 2011 and the detection of the problematic humidifier disinfectant in wet tissues. Alt...
The risk of wet tissues has been a subject of controversy since a series of deaths of pregnant women and children due to the humidifier disinfectant in the spring of 2011 and the detection of the problematic humidifier disinfectant in wet tissues. Although consumers are aware of the risk of wet tissues, they show behavior different from the common consumer behavior such as trying to purchase safer wet tissues instead of reducing their usage. This study thus set out to investigate consumers' subjective safety evaluation and information reliability of wet tissues, preferred source of information, and actual labeling of wet tissues and propose improvement measure for consumers' safe uses of wet tissues.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government should be more active with its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product safety and try to restore consumer reliability in a long term. Secondly, measures should be taken so that consumers can use wet tissues safely such as active promotions of harmful substances and disclosure of safe products. Finally, there is a need to reinforce the labeling information criteria for wet tissues. The labeling criteria should be especially reinforced around the unification of product and model names, addition of cautions with usage including electric shock and allergy, indication of the recommended expiration date, usage of Korean and application of the Korean labeling criteria for imported wet tissues, provision of the major labeling information on the front of the package, and increased readability of major safety information through pictures and letters for consumer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유현정, "한·중·미 대학생 소비자의 정보신뢰성이 식품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식품소비를 중심으로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9 (9): 101-120, 2013
2 Peters, P. H., "위험보도와 매스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3 유현정, "영유아대상 물티슈 소비자 이용행태. 환경독성보건학회" 614-614, 2013
4 유현정, "식품안전에 대한 소비자체감도가 식품안전지향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구조모형 분석"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8 (8): 49-70, 2012
5 송유진, "식품구매시 소비자의 지각된 위험이 안전의식과 안전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의 구조모형분석 - 서울과 상해소비자를 중심으로 -" 한국소비자학회 19 (19): 215-244, 2008
6 이기춘, "소비자의 안전의식과 안전추구행동" 36 (36): 1-14, 1998
7 박지연, "소비자의 식품안전 인지도와 안전행동 평가"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4 (24): 1-11, 2009
8 김성숙, "소비자의 쇠고기 안전관련 표시 이용 행동" 한국소비자원 4 (4): 47-71, 2010
9 배순영, "소비자안전체감지수의 개발 및 산출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자원 2006
10 배순영, "소비자안전체감지수의 개발 및 산출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자보호원 2006
1 유현정, "한·중·미 대학생 소비자의 정보신뢰성이 식품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식품소비를 중심으로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9 (9): 101-120, 2013
2 Peters, P. H., "위험보도와 매스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3 유현정, "영유아대상 물티슈 소비자 이용행태. 환경독성보건학회" 614-614, 2013
4 유현정, "식품안전에 대한 소비자체감도가 식품안전지향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구조모형 분석"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8 (8): 49-70, 2012
5 송유진, "식품구매시 소비자의 지각된 위험이 안전의식과 안전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의 구조모형분석 - 서울과 상해소비자를 중심으로 -" 한국소비자학회 19 (19): 215-244, 2008
6 이기춘, "소비자의 안전의식과 안전추구행동" 36 (36): 1-14, 1998
7 박지연, "소비자의 식품안전 인지도와 안전행동 평가"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4 (24): 1-11, 2009
8 김성숙, "소비자의 쇠고기 안전관련 표시 이용 행동" 한국소비자원 4 (4): 47-71, 2010
9 배순영, "소비자안전체감지수의 개발 및 산출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자원 2006
10 배순영, "소비자안전체감지수의 개발 및 산출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자보호원 2006
11 이지은, "서울시 주부소비자의 안전추구행동에 관한 연구" 17 (17): 37-48, 1992
12 김성숙, "상품 안전정보에 관한 소비자행동 연구" 11 (11): 85-100, 2000
13 파이낸셜뉴스, "베베숲 물티슈는 안전하다. 입소문타고 인기"
14 시사데일리즈, "물티슈서 유해성물 검출…엄마들만 또 우왕좌왕?"
15 주간한국, "물티슈 유해성분, 겨우 20번만 접촉해도…경악"
16 베이비뉴스, "물티슈 안전기준 화장품 관리수준으로 강화"
17 김서용, "농민의 농약사용 안전행동 결정요인 분석 : 근인과 원인의 효과검증" 10 : 89-89, 2013
18 나우뉴스, "끝나지 않은 물티슈 안전성 논란 속, 믿을 만한 제품은?"
19 Frewer, Lynn J., "What Determines Trust in Information about Food-related Risks? Underlying Psychological Consturct" 16 (16): 473-486, 1996
20 Graham, Dan J., "Eye Tracking and Nutrition Label Use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commendations for Label Enhancement" 37 : 378-382, 2012
21 Komelis, Marcel., "COnsumer Selection of Food Safety Information Source" 27 (27): 327-335, 2007
세월호 여객선 재난 이후 재난관리시스템 개선에 관한 연구
XP-SWMM 모형을 이용한 단위유량도 변화에 따른 유출량 산정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9-2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12-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위기관리논집 -> Crisisonomy외국어명 : Korean Review of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 Crisisonomy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4 | 0.84 | 0.8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5 | 0.86 | 1.09 | 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