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세월호 사고 이후 새로운 재난관리시스템에 구축에 대한 다양한 전문가 의견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양한 재난관리 분야 전문가들이 제시하고 있는 의견의 주안점은 무엇...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세월호 사고 이후 새로운 재난관리시스템에 구축에 대한 다양한 전문가 의견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양한 재난관리 분야 전문가들이 제시하고 있는 의견의 주안점은 무엇...
본 연구는 세월호 사고 이후 새로운 재난관리시스템에 구축에 대한 다양한 전문가 의견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양한 재난관리 분야 전문가들이 제시하고 있는 의견의 주안점은 무엇이고 또 제시된 의견들의 문제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 분석을 위해 세월호 사고 이후 4월 22일부터 5월 23일 32일까지 주요 인터넷 포털에 게재된 전문가 의견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3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대부분의 전문가 의견은 재난관리 프로세스인 예방, 대비, 대응, 복구단계 중 대응 분야에 집중된 면을 보이고 있다. 둘째, 전문가 의견은 재난관리시스템의 기능 개선과 관계되는 소프트웨어적 측면 보다는 새로운 재난대응조직 신설이라는 하드웨어적 개선 방안에 중점을 두고 있다. 셋째, 지방 중심의 현장 컨트롤타워 보다 중앙의 컨트롤타워 기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ntent of this study is to analyze various opinions of experts regarding building a new disaster management system after Sewol Ferry Disaster. Its goal is to review what are the main points of opinions of the experts in various disaster management...
The intent of this study is to analyze various opinions of experts regarding building a new disaster management system after Sewol Ferry Disaster. Its goal is to review what are the main points of opinions of the experts in various disaster management fields and problems of such opinions. For analysis,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expert opinions posted at major internet portal sites from April 22 to May 23, for 32 days after Sewol Ferry Disaster. The results are as follow: 1) Most of expert opinions are focused on response phase among disaster management processes including prevention, preparation, response, and recovery. 2) Expert opinions are centered more on improving hardware, adopting new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 rather than on software aspect related to improving functions of disaster management system. 3) Directions of discussions are toward reinforcing control tower function of the central government rather than that of the field in local area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화재소방학회, "효율적인 재난대응의 소방정책과 정부조직법 대토론회(6, 20, 화보협회 대강당)"
2 임송태, "재난종합관리체제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996
3 이호동, "재난관리 관련법령 및 관련기금 운용의 효율화 방안" 희망제작소 2007
4 소방방재청, "재난관리 60년사" 소방방재청 2009
5 소방방재청, "소방방재청 개청백서" 소방방재청 2004
6 대한민국 국회, "세월호 참사 이후 정부조직 졸속 개편, 무엇이 문제인가? 토론회 6, 23"
7 대한민국 국회, "세월호 대참사와 재난안전 문제에 대한 심층 토론회, 5, 22"
8 하규만, "미국의 국가 재난관리 체제가 한국에 주는 함의" 정부학연구소 14 (14): 37-60, 2008
9 "다음(Daum)홈페이지"
10 "네이버(Naver)홈페이지"
1 한국화재소방학회, "효율적인 재난대응의 소방정책과 정부조직법 대토론회(6, 20, 화보협회 대강당)"
2 임송태, "재난종합관리체제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996
3 이호동, "재난관리 관련법령 및 관련기금 운용의 효율화 방안" 희망제작소 2007
4 소방방재청, "재난관리 60년사" 소방방재청 2009
5 소방방재청, "소방방재청 개청백서" 소방방재청 2004
6 대한민국 국회, "세월호 참사 이후 정부조직 졸속 개편, 무엇이 문제인가? 토론회 6, 23"
7 대한민국 국회, "세월호 대참사와 재난안전 문제에 대한 심층 토론회, 5, 22"
8 하규만, "미국의 국가 재난관리 체제가 한국에 주는 함의" 정부학연구소 14 (14): 37-60, 2008
9 "다음(Daum)홈페이지"
10 "네이버(Naver)홈페이지"
11 Meo, Mark., "The Tulsa Turnaround : from Disaster to Sustainability" 5 (5): 1-9, 2004
12 Perry, R. W.,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Emergency Operating Centers" 4 (4): 37-41, 1995
13 Prater, Carla., "The Politics of Hazard Mitigation" 4 (4): 73-82, 2000
14 "Texas Engineering Extension Service(TEEX)"
15 uarantelli, E. L., "Studies in Disaster Response and Planning" Disaster Research Center. University of Delaware 1979
16 Godschalk, David R., "Public Participation in Natural Hazard Mitigation Policy Formation" 46 (46): 733-754, 2003
17 Quarantelli, E. L., "Problems and Difficulties in the Use of Local EOC's in Natural Disasters" Disaster Research Center, Ohio State University 1972
18 "New York City Fire Department"
19 FEMA., "National Incident Management System Student Manual"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04
20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National Incident Management System"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2008
21 Drabek, Thomas E., "Managing the Emergency Response" 45 (45): 85-92, 1985
22 "Los Angeles Fire Department"
23 Lindell, M. K., "Introduction to Emergency Management" John Wiley & Sons. Inc 2007
24 Phillips, B. D., "Introduction to Emergency Management" CRC Press 2012
25 Texas Engineering Extension Service(TEEX)., "ICS-100: Introduction to ICS–Student Manual"
26 FEMA., "Getting started with the Mitigation Planning Process, Including Important Considerations for How You Can Organize Your Efforts to Develop an Effective Mitigation Plan" FEMA Publication 386-381, 2009
27 Perry, R. W., "Emergency Operations Centres in an Era of Terrorism : Policy and Management Functions" 11 : 151-159, 2003
28 Pisaniello, John D., "Effectively Involving an Australian Rural Community in a Risk Management Process" 17 (17): 30-30, 2002
29 Mileti, D. S., "Disaster by Design : A Reassessment of Natural Hazards in the United State" Joseph Henry Press 1999
30 "DMA(The Disaster Mitigation Act of 2000). Public Low 106-390"
31 Perry, R. W., "Comprehensive Emergency Management: Evacuating Threatened Populations" JAI 1985
32 "College Station Fire Department(Texas State)"
33 Geis, D. E., "By Design : The Disaster Resistant and Quility-of-Life Community" 1 (1): 151-160, 2000
34 "Bryan City Fire Department(Texas State)"
35 National Governors Association(NGA)., "1978 Emergency Preparedness Project : Final Report" Defense Civil Preparedness Agency 1979
XP-SWMM 모형을 이용한 단위유량도 변화에 따른 유출량 산정
물티슈의 안전한 소비를 위한 개선방안 연구 - 소비자의 주관적 안전성 평가 및 표시실태를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9-2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12-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위기관리논집 -> Crisisonomy외국어명 : Korean Review of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 Crisisonomy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4 | 0.84 | 0.8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5 | 0.86 | 1.09 | 0.29 |
재난관리 리더십과 재난대응 협업 (Disaster Management Leadership and Collaboration for Disaster Response)
K-MOOC 국가민방위재난안전교육원 NDTI International Cooperation Team재난관리 리더십과 재난대응 협업 (Disaster Management Leadership and Collaboration for Disaster Response)
K-MOOC 국가민방위재난안전교육원 NDTI International Cooperation Team한국의 재난관리체계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Korea)
K-MOOC 국가민방위재난안전교육원 NDTI Int'l Cooperation Team한국의 재난관리체계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Korea)
K-MOOC 국가민방위재난안전교육원 NDTI Int'l Cooperation Team한국의 재난관리체계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Korea)
K-MOOC 국가민방위재난안전교육원 NDTI Int'l Cooperation Te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