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제강점기 전북의 無盡業 = Mujin business of North Jeolla Provinc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6277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일제강점기 서민들이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으로 전당포, 계 외에 개항 후 일본을 통해 들어온 무진이 이용되었다. 전당포는 담보 물건을 맡기고 금전을 대출받는 방식이고 무진은 가입한 회원들이 정해진 기간 동안 일정한 금액을 납부하고 매달 낙찰된 회원이 정해진 돈을 수령하였다.
      전북에 무진이 도입된 것은 군산의 개항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개항 이후 일본인 이주자가 증가하고 자연스럽게 무진을 조직하였고 일본인 거주지가 개항장을 벗어나 전주, 이리 등으로 확대되면서 그 지역에도 무진이 조직되었던 것이다.
      그런데 무진은 개인이 관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기 때문에 관리자의 경제 사정에 따라 파산하는 경우, 회원 상호 간에 분쟁이 발생하는 경우에 해결하기 어려웠다. 그래서 조선총독부에서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조선무진업령’을 제정하였고 무진업령에 의거하여 무진회사가 설립되기 시작하였다. 전라북도 내에서는 1923년 전주무진, 1924년 군산무진, 1932년 이리무진이 각각 설립되었다.
      그런데 조선총독부에서는 전시체제 하에서 무진을 통제 하에 두기 위하여 1道 1社의 원칙하에 무진회사의 통합을 주도하였다. 도내 3개 사는 통합을 위하여 여러 차례 회합을 가졌는데 본사를 유치하기 위해 경쟁하였다. 그래서 그 문제는 도에 일임하였고 최종적으로 본사 위치는 군산으로 결정하였다. 사장은 전주의 大木良作, 부사장은 군산의 神林松吉과 이리의 大橋卽淨으로 지역을 안배하였다. 이로써 자본금 150만 원에 전라북도 일원을 업무 구역으로 하는 전북무진주식회사가 설립되었다.
      그런데 총독부에서는 전시통제체제에 부응한다는 차원에서 전국의 무진회사를 1개로 통합하려는 계획을 세우고 있었다. 전북무진은 1940년 1월부터 합병을 논의하기 시작하여 6월 상순 양사 간에 의견의 일치를 보고 전북무진이 중앙무진에 흡수·합병되는 조건으로 조인을 완료하였다. 이후 전북무진은 조선중앙무진의 지점으로 영업을 계속하였다.
      번역하기

      일제강점기 서민들이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으로 전당포, 계 외에 개항 후 일본을 통해 들어온 무진이 이용되었다. 전당포는 담보 물건을 맡기고 금전을 대출받는 방식이고 무진은 가입한 회...

      일제강점기 서민들이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으로 전당포, 계 외에 개항 후 일본을 통해 들어온 무진이 이용되었다. 전당포는 담보 물건을 맡기고 금전을 대출받는 방식이고 무진은 가입한 회원들이 정해진 기간 동안 일정한 금액을 납부하고 매달 낙찰된 회원이 정해진 돈을 수령하였다.
      전북에 무진이 도입된 것은 군산의 개항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개항 이후 일본인 이주자가 증가하고 자연스럽게 무진을 조직하였고 일본인 거주지가 개항장을 벗어나 전주, 이리 등으로 확대되면서 그 지역에도 무진이 조직되었던 것이다.
      그런데 무진은 개인이 관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기 때문에 관리자의 경제 사정에 따라 파산하는 경우, 회원 상호 간에 분쟁이 발생하는 경우에 해결하기 어려웠다. 그래서 조선총독부에서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조선무진업령’을 제정하였고 무진업령에 의거하여 무진회사가 설립되기 시작하였다. 전라북도 내에서는 1923년 전주무진, 1924년 군산무진, 1932년 이리무진이 각각 설립되었다.
      그런데 조선총독부에서는 전시체제 하에서 무진을 통제 하에 두기 위하여 1道 1社의 원칙하에 무진회사의 통합을 주도하였다. 도내 3개 사는 통합을 위하여 여러 차례 회합을 가졌는데 본사를 유치하기 위해 경쟁하였다. 그래서 그 문제는 도에 일임하였고 최종적으로 본사 위치는 군산으로 결정하였다. 사장은 전주의 大木良作, 부사장은 군산의 神林松吉과 이리의 大橋卽淨으로 지역을 안배하였다. 이로써 자본금 150만 원에 전라북도 일원을 업무 구역으로 하는 전북무진주식회사가 설립되었다.
      그런데 총독부에서는 전시통제체제에 부응한다는 차원에서 전국의 무진회사를 1개로 통합하려는 계획을 세우고 있었다. 전북무진은 1940년 1월부터 합병을 논의하기 시작하여 6월 상순 양사 간에 의견의 일치를 보고 전북무진이 중앙무진에 흡수·합병되는 조건으로 조인을 완료하였다. 이후 전북무진은 조선중앙무진의 지점으로 영업을 계속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a way for the common people to raise fund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re was a pawnshop, Kye(voluntary association) and a Mujin that came through Japan after opening the port. The pawnshop is a way to deposit money and borrow money, and Moojin has paid a certain amount of money for a fixed period of time and received a fixed amount of money every month.
      The introduction of Mujin in Jeonbuk may be related to the opening of Gunsan.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 the number of Japanese immigrants increased and naturally organized Mujin, and as the Japanese residence moved out of the port of opening and expanded to Jeonju and Iri, Mujin was also organized in the area.
      However, since Moojin was mostly managed by individuals, it was difficult to resolve the case of bankruptcy due to the manager's economic situation and disputes between members. Therefore,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enacted ‘the Mujin Business Ordinance of the Joseon’ to solve the problem, and Mujin Company began to be established. In Jeonbuk, Jeonju Moojin was established in 1923, Gunsan Moojin in 1924, and Iri Moojin in 1932 respectively.
      However, under the principle of one provincial and one company, Japanese Government-General led the integration of the company. Therefore, Jeonbuk Moojin was established with the headquarters located in Gunsan and Jeonbuk as a business area. Again, Jeonbuk Moojin was absorbed and merged into the central Moojin with the plan to integrate Moojin company nationwide into one. Since then, Jeonbuk Moojin has continued to operate as a branch of Chosun Central Moojin.
      번역하기

      As a way for the common people to raise fund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re was a pawnshop, Kye(voluntary association) and a Mujin that came through Japan after opening the port. The pawnshop is a way to deposit money and borrow money, an...

      As a way for the common people to raise fund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re was a pawnshop, Kye(voluntary association) and a Mujin that came through Japan after opening the port. The pawnshop is a way to deposit money and borrow money, and Moojin has paid a certain amount of money for a fixed period of time and received a fixed amount of money every month.
      The introduction of Mujin in Jeonbuk may be related to the opening of Gunsan.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 the number of Japanese immigrants increased and naturally organized Mujin, and as the Japanese residence moved out of the port of opening and expanded to Jeonju and Iri, Mujin was also organized in the area.
      However, since Moojin was mostly managed by individuals, it was difficult to resolve the case of bankruptcy due to the manager's economic situation and disputes between members. Therefore,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enacted ‘the Mujin Business Ordinance of the Joseon’ to solve the problem, and Mujin Company began to be established. In Jeonbuk, Jeonju Moojin was established in 1923, Gunsan Moojin in 1924, and Iri Moojin in 1932 respectively.
      However, under the principle of one provincial and one company, Japanese Government-General led the integration of the company. Therefore, Jeonbuk Moojin was established with the headquarters located in Gunsan and Jeonbuk as a business area. Again, Jeonbuk Moojin was absorbed and merged into the central Moojin with the plan to integrate Moojin company nationwide into one. Since then, Jeonbuk Moojin has continued to operate as a branch of Chosun Central Mooji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