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초 연계 관점에서 본 만 5세 쓰기교육 관련 유치원 교사의 신념과 실제 교육현황 비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010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만 5세 쓰기에 대한 그들의 신념과 실제 교육현황을 조사하고 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인천 지역의 유치원 교사 181명을 연구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만 5세 쓰기교육의 주체자에 대한 교사 신념은 유아였으나 실제는 학부모와 교사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쓰기교육 내용에 대한 교사 신념은 주로 누리과정 범위였으나 실제에서는 초등학교 1-2학년군의 높은 내용 범위까지 확장되고 있었다. 쓰기교육방법으로는 교사의 신념과 실제에서 대체로 유아교육의 적합한 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쓰기교육 제공 시 초등 입학을 고려해야 한다는 응답은 높은 편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바람직한 쓰기교육의 유초연계교육을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개선과 함께 교사교육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만 5세 쓰기에 대한 그들의 신념과 실제 교육현황을 조사하고 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인천 지역의 유치원 교사 181명을 연구 대상...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만 5세 쓰기에 대한 그들의 신념과 실제 교육현황을 조사하고 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인천 지역의 유치원 교사 181명을 연구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만 5세 쓰기교육의 주체자에 대한 교사 신념은 유아였으나 실제는 학부모와 교사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쓰기교육 내용에 대한 교사 신념은 주로 누리과정 범위였으나 실제에서는 초등학교 1-2학년군의 높은 내용 범위까지 확장되고 있었다. 쓰기교육방법으로는 교사의 신념과 실제에서 대체로 유아교육의 적합한 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쓰기교육 제공 시 초등 입학을 고려해야 한다는 응답은 높은 편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바람직한 쓰기교육의 유초연계교육을 위해서는 교육과정의 개선과 함께 교사교육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s about writing for 5 years and teaching practices. The subjects were a total of 181 in-service teacher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from previous research and through meetings with experts in this area. The questionnaire includes a priority for writing education, contents for writing education, effective methods for writing education, writing activities for transition to primary school. As a result of this study, in term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s about writing for 5 years, they responded that they should consider young children when they teach and that the most effective way to teach writing is when young children want to do themselves. In term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es for teaching writing, they responded that they determine writing level on request of parents, and that they teach writing beyond national curriculum level.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s about writing for 5 years and teaching practices. The subjects were a total of 181 in-service teacher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from previous research a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s about writing for 5 years and teaching practices. The subjects were a total of 181 in-service teacher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from previous research and through meetings with experts in this area. The questionnaire includes a priority for writing education, contents for writing education, effective methods for writing education, writing activities for transition to primary school. As a result of this study, in term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s about writing for 5 years, they responded that they should consider young children when they teach and that the most effective way to teach writing is when young children want to do themselves. In term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es for teaching writing, they responded that they determine writing level on request of parents, and that they teach writing beyond national curriculum leve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및 제언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선하, "한국 유아의 창안적 글자쓰기 발달 과정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315-339, 2004

      2 박순경, "초등학교 입학 시점에 필요한 기초 학습 능력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26 (26): 59-80, 2013

      3 김창복, "초등학교 1학년 입학 초기의 쓰기 관련 활동과 초등교사의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 (20): 97-118, 2016

      4 김창복, "유치원에서의 읽쓰기 지도 내용의 실태와 선정 요인"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279-304, 2006

      5 한윤경,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연계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상대교육과정에 대한 인지" 31 (31): 215-229, 2000

      6 지성애,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에 대한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및 실태 비교"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283-308, 2010

      7 고미경, "유치원 교사의 도덕교육에 대한 신념과 실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0 (10): 99-127, 2006

      8 지성애, "유아의 초등학교준비도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교사와 학부모 및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227-249, 2006

      9 이경민, "유아의 초등학교 적응을 위한 전이 프로그램의 운영실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0 (10): 311-337, 2006

      10 홍순옥, "유아의 읽기, 쓰기 지도 현황에 대한 조사연구" 12 : 195-214, 2003

      1 조선하, "한국 유아의 창안적 글자쓰기 발달 과정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315-339, 2004

      2 박순경, "초등학교 입학 시점에 필요한 기초 학습 능력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26 (26): 59-80, 2013

      3 김창복, "초등학교 1학년 입학 초기의 쓰기 관련 활동과 초등교사의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 (20): 97-118, 2016

      4 김창복, "유치원에서의 읽쓰기 지도 내용의 실태와 선정 요인"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279-304, 2006

      5 한윤경,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연계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상대교육과정에 대한 인지" 31 (31): 215-229, 2000

      6 지성애,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에 대한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및 실태 비교"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283-308, 2010

      7 고미경, "유치원 교사의 도덕교육에 대한 신념과 실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0 (10): 99-127, 2006

      8 지성애, "유아의 초등학교준비도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교사와 학부모 및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227-249, 2006

      9 이경민, "유아의 초등학교 적응을 위한 전이 프로그램의 운영실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0 (10): 311-337, 2006

      10 홍순옥, "유아의 읽기, 쓰기 지도 현황에 대한 조사연구" 12 : 195-214, 2003

      11 강정원, "유아의 쓰기발달과 이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및 가정에서의 쓰기지도 현황"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2 (12): 5-24, 2008

      12 이차숙, "유아의 쓰기 지도에 관한 비판적 고찰" 18 (18): 69-88, 1998

      13 장명림, "유아교육과 초등교육의 연계 강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4

      14 박은혜,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문해 교육과정의 의미"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3 (13): 25-45, 2012

      15 박은혜, "유아 연령별 읽기, 쓰기에 대한교사의 기대수준과 실제 지도수준 비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465-487, 2013

      16 홍혜경, "유아 수학 및 언어학습준비도 내용과 실태에 대한 유치원교사와 초등교사의 인식 비교"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33-52, 2012

      17 김창복, "유·초등 연계교육의 관점에서 바라본 미국 초등학교 1학년 교육 현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437-461, 2013

      18 이승연, "영아교사의 자기관찰 및 해석을 통한 영아 및 영아교육에 대한 신념과 실제 간의 관계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207-234, 2014

      19 최혜영, "아동의 또래 상호작용과 교사신념 및 교사행동 간의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25 (25): 319-342, 2005

      20 임영심, "만 3,4세 쓰기 발달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69-94, 2007

      21 곽노의, "누리과정과 2009 개정 초등교육과정에 기초한 유아교육기관과 초등학교의 연계교육" 창지사 2012

      22 정명자, "교사의 반응양식이 유아의 쓰기에 미치는 영향" 12 (12): 47-66, 1999

      23 Bassok, D., "“Academic redshirting” in kindergarten: Prevalence, patterns, and implications" 35 (35): 283-297, 2013

      24 Ahtola, A., "Transition to formal schooling: Do transition practices matter for academic performance?" 26 : 295-302, 2011

      25 O’Kane, M., "Transition from preschool to primary school: Audit of policy in14 jurisdictions" National Council for Curriculum and Assessment 2016

      26 O’Kane, M., "Transition from preschool to primary school" National Council for Curriculum and Assessment

      27 House, R, "Too Much, Too Soon: Early Learning and the Erosion of Childhood" Hawthorn Press 2011

      28 Australian Curriculum, Assessment and Reporting Authority, "The Australian Curriculum: English"

      29 Dublin South West Inner City NEYAI Consortium, "Stepping Stones Transition Programme, Guidebook for Practitioners, Supporting Parents and Children with the Transition to Primary School"

      30 Sayers, M., "Starting School : A pivotal life transition for children and their families" 90 : 45-56, 2012

      31 Suggate, S. P., "School entry age and reading achievement in the 2006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PISA)" 48 (48): 151-161, 2009

      32 Perry, B., "National curriculum: Mathematics – Perspectives from the eld"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Group of Australasia 155-174, 2012

      33 Department for Education,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English programmes of study - key stages 1 and 2"

      34 Dunlop, A. W.,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Transition to School: Reconceptualising Beliefs, Policy, and Practice" Routledge 2013

      35 Einarsdottir, J.,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Transition to School: Reconceptualising Beliefs, Policy and Practice" Routledge 2013

      36 Fabian, H.,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Transition to School: Reconceptualising Beliefs, Policy and Practice" Routledge 2013

      37 Ministry of Education, "Curriculum achievement objectives by level"

      38 Suggate, S. P., "Children learning to read later catch up to children reading earlier" 28 : 33-28, 2013

      39 Common Core State Standards Initiative, "About the standards: Development process"

      40 교육과학기술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2013

      41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초등학교-" 교육부 2016

      42 한국교육개발원, "2014 교육통계 주요지표" 한국교육개발원 2014

      43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4-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For Children`S Media -> Korean Association for Children’s Media & Education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al of Children's Media -> Journal of Children’s Media &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 1.6 1.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6 1.85 2.25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