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두과 녹비작물과 보리 혼파 이용 시 예취 높이에 따른 Biomass와 벼 생육 및 수량 변화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945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시험은 동작물 재배 시 두과녹비작물과 보리를 혼파하여 화학비료를 대체하고 예취 높이를 달리 하여 사료와 녹비를 동시에 이용하고자 2008년 10월에 두과녹비작물과 녹비보리를 혼합하...

      본시험은 동작물 재배 시 두과녹비작물과 보리를 혼파하여 화학비료를 대체하고 예취 높이를 달리 하여 사료와 녹비를 동시에 이용하고자 2008년 10월에 두과녹비작물과 녹비보리를 혼합하여 부분경운파종으로 파종하였다. 처리내용은 녹비보리+헤어리베치와 녹비보리+CC (크림손클로버) 혼파와 녹비보리/헤어리베치와 녹비보리/CC (크림손클로버) 교호파종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녹비작물 재배 후 환원하기전에 예취 높이를 8 cm, 25 cm 및 전량 환원구를 두었다. 예취 높이 8 cm와 25 cm 이상의 녹비작물은 제거 후 환원하였다. 잔존 녹비 환원은 2009년 5월 20일에 트랙터를 이용하여 로타리 경운으로 환원 후 6월 4일에 풍미벼를 중묘기계 이앙하였다. 벼 재배 시 잔존 녹비이용구는 화학비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았고 관행시비구는 10a 당 질소, 인산, 칼리를 각각 9 kg, 4.5 kg, 5.7 kg을 시용하였다. 녹비로 이용 가능한 잔존 건물중은 예취 높이 25 cm구가 8 cm 구보다 높았으나 25 cm 구의 파종방법간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두과 녹비작물의 잔존은 교호 파종구에 유의적으로 많이 잔존되었다. 사료로 이용가능한 지상부 건물중은 예취 높이 8 cm 구가 25 cm 구보다 높았으며 녹비보리와 헤어리베치 8 cm 혼파구에서 가장 높았다. 두과 녹비작물의 건물 중도 녹비보리와 헤어리베치 혼파구의 8, 25 cm 구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었다. 잔존 녹비를 환원하여 벼를 재배한 결과 녹비보리와 헤어리베치 혼파 환원구의 25 cm 예취에서 관행시비 (535.7 kg 10a<SUP>-1</SUP>)와 유의적 쌀수량 차이가 없었고 토양 유기물 함량이 약간 증가하고 물리성이 개선되는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두과 녹비작물과 녹비보리를 혼파하여 녹비와 사료를 동시생산 및 벼 재배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헤어리베치와 혼파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ompetition between green manure and forage crops frequently occurred at agricultural field because of soil fertility and livestock feeding selection. Thes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s shoot and residue for green manure an...

      The competition between green manure and forage crops frequently occurred at agricultural field because of soil fertility and livestock feeding selection. Thes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s shoot and residue for green manure and forage production by leguminous crops and barley mixtures at paddy.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at paddy soil from 2008 to 2009. Treatments consisted of mixture and interseeding of barley and leguminous crops (hairy vetch and crimson clover). These treatments were divided into cutting height of 8 and 25 cm for using of green manure and forage at once. The residue biomass of 25 cm cutting height was higher than 8 cm and were no significantly between mixture and inter-seeding. However, residues of legume crop were significantly higher at inter-seeding than mixture. The shoot biomass of 8 cm cutting height was higher than 25 cm for forage using. The production of legume crop was high at the barley and hairy vetch seeding plot. The mixture of hairy vetch and barley showed the best biomass of shoot and residue for green manure and forage using at 25 cm of cutting height. Also this treatment could be possible to rice cultivation by no fertilization. Therefore, we suggested that 25 cm cutting of hairy vetch and barley mixture could be used for green manure and forage at the same time under rice-based cropping syste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언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인용문헌
      • 서언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인용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원호, "호남지역 답리작에서 사료용 총체보리 우량품종 선발"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7 (27): 161-166, 2007

      2 김원호, "파종시기 및 파종량이 총제보리의 생육특성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6 (26): 155-158, 2006

      3 송범헌, "친환경농업기술 개발을 위한 벼 재배 시 벼의 생육 및 수량에 대한 두과와 화본과 녹비작물의 효과" 한국작물학회 55 (55): 144-150, 2010

      4 주정일, "삼차망 청보리와 사료용 완두의 혼파재배가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9 (29): 171-178, 2009

      5 전원태, "밭토양에서 녹비작물 헤어리베치와 호밀의 혼파비율이 Biomass 생산에 미치는 영향" 한국작물학회 54 (54): 327-331, 2009

      6 전원태, "답리작에서 녹비작물 크림손클로버 단파 및 혼파가 벼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토양비료학회 44 (44): 847-852, 2011

      7 전원태, "녹비작물 환원 시 Glomalin 함량에 따른 토양물리성 및 벼 수량 변화" 한국토양비료학회 43 (43): 119-123, 2010

      8 김민태, "녹비보리의 환원시기가 후작물 벼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작물학회 56 (56): 119-123, 2011

      9 Park, S.T., "Understanding of environmental friendly agriculture and rice production using green manure crops" RDA, NICS 20-21, 2008

      10 RDA, "Standard methods for agricultural experiments"

      1 김원호, "호남지역 답리작에서 사료용 총체보리 우량품종 선발"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7 (27): 161-166, 2007

      2 김원호, "파종시기 및 파종량이 총제보리의 생육특성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6 (26): 155-158, 2006

      3 송범헌, "친환경농업기술 개발을 위한 벼 재배 시 벼의 생육 및 수량에 대한 두과와 화본과 녹비작물의 효과" 한국작물학회 55 (55): 144-150, 2010

      4 주정일, "삼차망 청보리와 사료용 완두의 혼파재배가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9 (29): 171-178, 2009

      5 전원태, "밭토양에서 녹비작물 헤어리베치와 호밀의 혼파비율이 Biomass 생산에 미치는 영향" 한국작물학회 54 (54): 327-331, 2009

      6 전원태, "답리작에서 녹비작물 크림손클로버 단파 및 혼파가 벼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토양비료학회 44 (44): 847-852, 2011

      7 전원태, "녹비작물 환원 시 Glomalin 함량에 따른 토양물리성 및 벼 수량 변화" 한국토양비료학회 43 (43): 119-123, 2010

      8 김민태, "녹비보리의 환원시기가 후작물 벼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작물학회 56 (56): 119-123, 2011

      9 Park, S.T., "Understanding of environmental friendly agriculture and rice production using green manure crops" RDA, NICS 20-21, 2008

      10 RDA, "Standard methods for agricultural experiments"

      11 Clark, A.J., "Seeding rate and kill date effects on hairy vetch-cereal rye cover crop mixtures for corn production" 86 : 1065-1071, 1994

      12 Clark, A., "Managing cover crops profitably (third edition)" Sustainable agriculture network 2007

      13 Lee, H.J., "Korean Agricultural Technology History Chart 5. Production technology of forge and green manure crops" Jungminsa 433-459, 198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5-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한국토양비료학회지(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KCI등재
      2006-06-2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41 0.544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