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 사회에서 광고는 경제생활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중대한 역할을 수행한다. 나아가 경제생활 뿐 아니라 정치생활 영역까지도 정치광고의 형태를 통해 그 영향력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302544
2011
Korean
정치광고 ; 유권자 ; 공직선거법 ; 표현의 자유 ; 선거운동 ; Political Advertisement ; the Electorate ; the Election Act ; Free Speech ; Election Campaign
KCI등재
학술저널
181-205(25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자본주의 사회에서 광고는 경제생활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중대한 역할을 수행한다. 나아가 경제생활 뿐 아니라 정치생활 영역까지도 정치광고의 형태를 통해 그 영향력을...
자본주의 사회에서 광고는 경제생활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중대한 역할을 수행한다. 나아가 경제생활 뿐 아니라 정치생활 영역까지도 정치광고의 형태를 통해 그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다. 상업광고가 표현의 자유로서 헌법적 보호의 대상으로 인정받고 있는 현 시점에서, 정치광고를 통하여 유권자의 자유를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즉 현행 선거법에서 허용하는 후보자 개인에 의한 광고 뿐만 아니라, 유권자들이 자발적으로 정치광고를 할 수 있도록 법제도를 개선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선거에 대한 유권자의 관심을 제고시킴과 동시에, 다양한 정치적 참여의 가능성을 확보한다는 차원에서 이러한 제도개선의 민주주의적 의미를 찾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현행 공직선거법상 규정된 언론사에 대한 규제와 광고 규제를 준용하여 사후 심사를 허용할 것을 제안한다. 정치광고를 합법적 선거운동의 테두리에 편입시키고, 대신 사후적 심의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발생 가능한 기회의 불균등을 조정하는 의미가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정치광고를 활성화시킴으로써 매체와 광고주가 특정 정치적 입장에 대한 정치적 공동책임을 질 수 있게 될 것이고, 이것이 우리 정치의 장을 명확하게 하여 국민의 선택을 도울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mmercial advertisement plays an important role of providing important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s in a Capitalist society. Likewise, Political Advertisement plays the same role in the political field because both advertisements share the function...
Commercial advertisement plays an important role of providing important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s in a Capitalist society. Likewise, Political Advertisement plays the same role in the political field because both advertisements share the function of advertisement: unilateral implantation of information. Political advertisement can draw the public attention to the campaign in effective way, so it is meaningful to discuss political advertisement at this point when the electorate do not have much interests on the campaign, considering democracy. While contemporary constitutional theories do not find difference between the commercial speech protection and the political speech protection, the current Korean laws do not have effective ways to expand the freedom of political advertisement even though it is, in essence, political speech. The writer maintains that we have to design a new way of legal supports for guaranteeing electorate"s voluntary advertisement during the campaign period. Legalizing free political advertisement and adopting reasonable inspection system through revision of the Election Act are illustrated as possible ways for it.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양건, "헌법강의" 법문사 2011
2 민영, "한국 언론의 정치광고 보도경향: 14~16대 대통령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49 (49): 177-201, 2005
3 최영, "한국 신문의 의견광고 현황과 문제점에 관한 연구" 43 (43): 1996
4 박용상, "표현의 자유" 현암사 2002
5 탁진영, "텔레비젼 정치광고의 쟁점과 개선방향: 미디어정치 시대 정치광고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 2001
6 이관열, "제14대 대선과 TV정치광고" 한국방송학회 세미나 및 보고서 1996
7 이준일, "정치커뮤니케이션에서 접근한 역대 대통령선거 정치광고 분석" 1993
8 이준일, "정치광고에 대한 평가와 제언: 잔잔한 느낌으로 전해지는 한 편의 정치광고가 아쉽다" (8) : 1992
9 황성기, "인터넷과 선거운동" (사)한국언론법학회 9 (9): 177-229, 2010
10 김용철, "인터넷 선거운동의 활성화 방안" 2003
1 양건, "헌법강의" 법문사 2011
2 민영, "한국 언론의 정치광고 보도경향: 14~16대 대통령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49 (49): 177-201, 2005
3 최영, "한국 신문의 의견광고 현황과 문제점에 관한 연구" 43 (43): 1996
4 박용상, "표현의 자유" 현암사 2002
5 탁진영, "텔레비젼 정치광고의 쟁점과 개선방향: 미디어정치 시대 정치광고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 2001
6 이관열, "제14대 대선과 TV정치광고" 한국방송학회 세미나 및 보고서 1996
7 이준일, "정치커뮤니케이션에서 접근한 역대 대통령선거 정치광고 분석" 1993
8 이준일, "정치광고에 대한 평가와 제언: 잔잔한 느낌으로 전해지는 한 편의 정치광고가 아쉽다" (8) : 1992
9 황성기, "인터넷과 선거운동" (사)한국언론법학회 9 (9): 177-229, 2010
10 김용철, "인터넷 선거운동의 활성화 방안" 2003
11 고민수, "유권자의 선거운동의 자유에 대한 제한과 문제점 - 「공직선거법」 제93조 제1항 위헌확인사건(2007헌마718)에 대한 헌법적 고찰" (사)한국언론법학회 8 (8): 29-48, 2009
12 문재완, "언론법: 한국의 현실과 이론" 늘봄 2008
13 이승선, "선거와 표현의 자유" (사)한국언론법학회 6 (6): 253-291, 2007
14 장정윤, "새로운 정치자금론" 한국행정DB센타 2010
15 정영철, "기업의 정치적 표현과 언론의 자유 ― 최근 미국 연방대법원 판결이 한국에 주는 시사점 ―" (사)한국언론법학회 9 (9): 195-235, 2010
16 권혁남, "국회의원 선거운동 수단으로서의 정치광고 활성화 방안" 2000
17 이경자, "광고의 정치적 측면: 정치광고가 수용자 및 민주주의 정치과정에 미치는 영향" 1977
18 Kaid. L.L., "Political Advertising, In Handbook of Political Communication Research" 2004
19 Martin P. Wattenberg, "Government in America: People, Politics, and Policy" 2009
20 김영선, "15대 대통령 선거와 정치광고" 23 (23): 1998
청소년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인터넷 규제의 의의와 한계
한국과 중국 명예훼손법상의 ‘공인’ 개념에 관한 비교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7 | 1.37 | 1.3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7 | 1.21 | 1.673 | 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