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AI기반 휴먼포즈 인식을 통한 기능움직임평가의 디지털전환 =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Functional Movement Screen through Human Pose Recogni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2150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기존 임상 현장에서 활용되는 기능움직임평가가 측정자의 지식, 동작에 대한 이해 수준에 따라 측정 결과가 달라지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AI기반으로 휴먼포즈 인식을 통한 기능움직임평가의 디지털전환에 필요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 기능움직임평가 가이드라인 디지털전환, 2) BlazePose를 이용한 기능움직임평가 모듈 개발, 3) 임상데이터의 신뢰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동작의 복잡도가 높고 데이터셋 동작과 유사도가 낮은 동작에 대한 관절 키포인트 인식의 성능 저하가 나타났다. 기능움직임평가의 디지털전환을 통해 측정자와 사용자 모두에게 생산성(시간 단축, 측정값에 대한 신뢰성 개선)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향후의 연구에서는 기능움직임평가 AI모델 성능 개선을 위해 학습용 데이터셋 구축과 데이터 증강 기법의 적용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기존 임상 현장에서 활용되는 기능움직임평가가 측정자의 지식, 동작에 대한 이해 수준에 따라 측정 결과가 달라지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AI기반...

      본 연구는 기존 임상 현장에서 활용되는 기능움직임평가가 측정자의 지식, 동작에 대한 이해 수준에 따라 측정 결과가 달라지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AI기반으로 휴먼포즈 인식을 통한 기능움직임평가의 디지털전환에 필요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 기능움직임평가 가이드라인 디지털전환, 2) BlazePose를 이용한 기능움직임평가 모듈 개발, 3) 임상데이터의 신뢰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동작의 복잡도가 높고 데이터셋 동작과 유사도가 낮은 동작에 대한 관절 키포인트 인식의 성능 저하가 나타났다. 기능움직임평가의 디지털전환을 통해 측정자와 사용자 모두에게 생산성(시간 단축, 측정값에 대한 신뢰성 개선)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향후의 연구에서는 기능움직임평가 AI모델 성능 개선을 위해 학습용 데이터셋 구축과 데이터 증강 기법의 적용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improve the problems with functional movement screens used in existing clinical settings, where the measurement results are based on knowledge of measurement and understanding of movemen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build a system necessary for digital conversion of movement evaluation that operates a human-pose wristwatch based on AI. To this end, we performed 1) conversion of functional movement evaluation guidelines, 2) development of a functional movement evaluation module using BlazePose, and 3) reliability analysis of clinical data.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 that movement key points in sports protection in diabetes have similar features to the dataset with protection in cycling. We have seen that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movement assessment provides improved functionality for both measurers and users (savings time, improved authentication of measured values). In research, it is necessary to build a learning dataset and apply data sharing to improve AI performance in functional movement evaluation.
      번역하기

      This research aims to improve the problems with functional movement screens used in existing clinical settings, where the measurement results are based on knowledge of measurement and understanding of movemen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build...

      This research aims to improve the problems with functional movement screens used in existing clinical settings, where the measurement results are based on knowledge of measurement and understanding of movemen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build a system necessary for digital conversion of movement evaluation that operates a human-pose wristwatch based on AI. To this end, we performed 1) conversion of functional movement evaluation guidelines, 2) development of a functional movement evaluation module using BlazePose, and 3) reliability analysis of clinical data.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 that movement key points in sports protection in diabetes have similar features to the dataset with protection in cycling. We have seen that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movement assessment provides improved functionality for both measurers and users (savings time, improved authentication of measured values). In research, it is necessary to build a learning dataset and apply data sharing to improve AI performance in functional movement evaluatio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