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쓰기 전 활동과 글쓰기 능력의 상관성 = The Correlation between pre-writing activity and writing abi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610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 's understanding of pre-writing activities and writing ability in college writing education. Pre󰠏writing activities are all activities that take place prior to the completion of writing in the form of topics, such as finding topics, searching for materials, and writing abstracts. Based on the constructivist learning theory, the process 󰠏 oriented approach of writing education is becoming common. Approaching the writing education centered on the process mean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he process itself rather than the result of writing. Based on this awareness, this article examined the perceptions of learners' pre󰠏writing activities and then correlated them with their writing output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Particularly, in the end of the semester, the students were asked to describe the pre 󰠏 writing activities in detail and analyzed their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abov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gnitive level of writing ability and writing process showed more clear correlation with the lower 󰠏 level students.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writing ability during class is highly correlated overall, without distinction between top and bottom. Third, students generally showed a clearer correlation with the pre-writing activities in the argumentative writing than in the reflective writing. This tendency was more pronounced among students with higher scores. These results show that teaching and learning about the writing process is useful for students with low writing skills and high students, but designing a variety of teaching methods that can help problem󰠏solving skills is more helpful to middle󰠏level students. It was found to be useful for improving the ability.
      번역하기

      This article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 's understanding of pre-writing activities and writing ability in college writing education. Pre󰠏writing activities are all activities that take place prior to the completion of writing in the ...

      This article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 's understanding of pre-writing activities and writing ability in college writing education. Pre󰠏writing activities are all activities that take place prior to the completion of writing in the form of topics, such as finding topics, searching for materials, and writing abstracts. Based on the constructivist learning theory, the process 󰠏 oriented approach of writing education is becoming common. Approaching the writing education centered on the process mean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he process itself rather than the result of writing. Based on this awareness, this article examined the perceptions of learners' pre󰠏writing activities and then correlated them with their writing output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Particularly, in the end of the semester, the students were asked to describe the pre 󰠏 writing activities in detail and analyzed their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abov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gnitive level of writing ability and writing process showed more clear correlation with the lower 󰠏 level students.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writing ability during class is highly correlated overall, without distinction between top and bottom. Third, students generally showed a clearer correlation with the pre-writing activities in the argumentative writing than in the reflective writing. This tendency was more pronounced among students with higher scores. These results show that teaching and learning about the writing process is useful for students with low writing skills and high students, but designing a variety of teaching methods that can help problem󰠏solving skills is more helpful to middle󰠏level students. It was found to be useful for improving the abil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쓰기 전 활동에 대한 학습자의 이해도와 글쓰기 능력의 상관성을 탐색하였다. 쓰기 전 활동이란 완성된 형태의 글쓰기 이전에 이루어지는 일체의 활동으로 주제 잡기, 자료 찾기, 개요 쓰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구성주의 학습 이론에 힘입어 오늘날의 글쓰기 교육은 과정 중심의 접근법이 일반화되고 있다. 글쓰기 교육을 과정 중심으로 접근한다는 것은 쓰기의 결과보다는 과정 자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글에서는 다양한 수업 활동에 대한 학습자 개개인의 평가 자료를 바탕으로 학습자들의 쓰기 전 활동에 대한 인식 수준을 파악하고, 이를 다시 그들의 글쓰기 결과물과 연결하여 둘 사이의 상관성을 탐색하였다. 특히 별도로 치른 학기말 시험에서 쓰기 전 활동에 대해 자세히 서술하는 문항을 주고, 이에 대한 학습자들의 답안을 분석함으로써 쓰기 전 활동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 수준을 파악하는 중요한 지표로 삼았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글쓰기 능력과 글쓰기 과정에 대한 인지 수준은 하위권 학생일수록 더 뚜렷한 상관성을 보였다. 둘째, 상위권, 하위권의 구분 없이 수업 중 과제 해결력과 글쓰기 능력의 상관성은 전체적으로 매우 높은 상관성을 갖고 있다. 셋째, 학생들은 대체적으로 성찰적 글쓰기보다 논증적 글쓰기에서 쓰기 전 활동과의 상관성을 더 분명하게 보여주었다. 이러한 경향은 점수가 높은 그룹의 학생들일수록 더욱 두드러졌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글쓰기 과정에 대한 교수 학습은 글쓰기 능력이 낮은 학생과 높은 학생들에게 모두 유용하지만, 중하위권 학생들에게 조금 더 도움이 되며, 문제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는 다양한 수업 방식을 설계하는 것이 전체적으로 학생들의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이 글에서는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쓰기 전 활동에 대한 학습자의 이해도와 글쓰기 능력의 상관성을 탐색하였다. 쓰기 전 활동이란 완성된 형태의 글쓰기 이전에 이루어지는 일체의 활동으...

      이 글에서는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쓰기 전 활동에 대한 학습자의 이해도와 글쓰기 능력의 상관성을 탐색하였다. 쓰기 전 활동이란 완성된 형태의 글쓰기 이전에 이루어지는 일체의 활동으로 주제 잡기, 자료 찾기, 개요 쓰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구성주의 학습 이론에 힘입어 오늘날의 글쓰기 교육은 과정 중심의 접근법이 일반화되고 있다. 글쓰기 교육을 과정 중심으로 접근한다는 것은 쓰기의 결과보다는 과정 자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글에서는 다양한 수업 활동에 대한 학습자 개개인의 평가 자료를 바탕으로 학습자들의 쓰기 전 활동에 대한 인식 수준을 파악하고, 이를 다시 그들의 글쓰기 결과물과 연결하여 둘 사이의 상관성을 탐색하였다. 특히 별도로 치른 학기말 시험에서 쓰기 전 활동에 대해 자세히 서술하는 문항을 주고, 이에 대한 학습자들의 답안을 분석함으로써 쓰기 전 활동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 수준을 파악하는 중요한 지표로 삼았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글쓰기 능력과 글쓰기 과정에 대한 인지 수준은 하위권 학생일수록 더 뚜렷한 상관성을 보였다. 둘째, 상위권, 하위권의 구분 없이 수업 중 과제 해결력과 글쓰기 능력의 상관성은 전체적으로 매우 높은 상관성을 갖고 있다. 셋째, 학생들은 대체적으로 성찰적 글쓰기보다 논증적 글쓰기에서 쓰기 전 활동과의 상관성을 더 분명하게 보여주었다. 이러한 경향은 점수가 높은 그룹의 학생들일수록 더욱 두드러졌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글쓰기 과정에 대한 교수 학습은 글쓰기 능력이 낮은 학생과 높은 학생들에게 모두 유용하지만, 중하위권 학생들에게 조금 더 도움이 되며, 문제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는 다양한 수업 방식을 설계하는 것이 전체적으로 학생들의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성수, "창의적 글쓰기 교육의 구성 방안 연구-대학 글쓰기의 경우" 한국문학연구학회 (38) : 327-361, 2009

      2 양희주,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쓰기 전’ 활동 구현 양상 연구" 제주대학교 2018

      3 신헌재, "쓰기 교육에서 과정 중심 접근의 의미"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13 : 205-240, 1997

      4 정희모, "대학생 글쓰기의 수정 방법에 관한 실험 연구 -자기첨삭, 동료첨삭, 교수첨삭의 효과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33) : 657-685, 2008

      5 이은주, "대학글쓰기 평가방법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한국 리터러시 학회 (16) : 191-218, 2016

      6 김정숙, "대학 글쓰기교육에 대한 연구 동향의 분석과 시사점-2005-2017년 대학 글쓰기교육 관련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56 (56): 359-391, 2017

      7 박상민,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첨삭지도의 실제적 효용 연구 ― 수정 전후 글의 변화 양상 및 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작문학회 (16) : 171-197, 2012

      8 강민경,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창의성 향상을 위한 한 방향: 쓰기 전 활동인 고정관념 깨뜨리기 수업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비평문학회 (45) : 205-231, 2012

      9 정희모, "글쓰기 평가에서 객관-주관주의 대립과 그 함의" 우리어문학회 (37) : 217-249, 2010

      1 김성수, "창의적 글쓰기 교육의 구성 방안 연구-대학 글쓰기의 경우" 한국문학연구학회 (38) : 327-361, 2009

      2 양희주,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쓰기 전’ 활동 구현 양상 연구" 제주대학교 2018

      3 신헌재, "쓰기 교육에서 과정 중심 접근의 의미"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13 : 205-240, 1997

      4 정희모, "대학생 글쓰기의 수정 방법에 관한 실험 연구 -자기첨삭, 동료첨삭, 교수첨삭의 효과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33) : 657-685, 2008

      5 이은주, "대학글쓰기 평가방법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한국 리터러시 학회 (16) : 191-218, 2016

      6 김정숙, "대학 글쓰기교육에 대한 연구 동향의 분석과 시사점-2005-2017년 대학 글쓰기교육 관련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56 (56): 359-391, 2017

      7 박상민,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첨삭지도의 실제적 효용 연구 ― 수정 전후 글의 변화 양상 및 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작문학회 (16) : 171-197, 2012

      8 강민경,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창의성 향상을 위한 한 방향: 쓰기 전 활동인 고정관념 깨뜨리기 수업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비평문학회 (45) : 205-231, 2012

      9 정희모, "글쓰기 평가에서 객관-주관주의 대립과 그 함의" 우리어문학회 (37) : 217-249,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7-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 0.8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 1.44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