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해상도 영상을 이용한 농경지 지도 작성 및 토지이용 변화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029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급격한 토지이용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는 수도권 인근의 고양시, 남양주시, 용인시를 대상으로 고해상도 영상과 수치지도를 활용하여 논, 밭, 시설재배지, 과수원의 면적과 형상, 이용 현황...

      급격한 토지이용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는 수도권 인근의 고양시, 남양주시, 용인시를 대상으로 고해상도 영상과 수치지도를 활용하여 논, 밭, 시설재배지, 과수원의 면적과 형상, 이용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농경지 지도를 작성하여 기존 수치지도와 비교한 결과 기존 수치지도에 비해 농경지의 이용 현황을 보다 세부적으로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었다. 또한, 농경지 지도와 수치 지적도의 농경지 부분을 중첩하여 ’07년 토지이용도로 갱신하고 ’99년에 작성된 토지이용도와 비교한 결과 3개 시 모두 조사기간 동안 논 면적이 3,000~5,000 ha 정도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밭과 과수원도 논과 함께 주거지로 전용되면서 감소하는 추세였다. 그러나 집약적인 재배가 가능하여 고소득이 기대되고 다른 지목으로 변경이 용이한 시설재배지의 경우에는 면적이 비슷하거나 증가한 경향을 보였다.
      향후 고해상도 영상을 활용한 농경지 지도의 확대 구축과 이를 활용한 토지이용도 제작은 토양 조사 등 각종 조사사업의 최신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정확한 경지면적 산출을 통해 농업통계 및 농업정책 자료로써 효율적인 경지관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make a “farmland use map” using high-resolution images and to analyze the land use change for about 8 years in Goyang, Namyangju, and Yongin cities. We have made a new numerical map named as a farmland use map using high-resolut...

      This study aims to make a “farmland use map” using high-resolution images and to analyze the land use change for about 8 years in Goyang, Namyangju, and Yongin cities. We have made a new numerical map named as a farmland use map using high-resolution images taken mostly in 2007 and digital topographical maps in Goyang, Namyangju, and Yongin cities near metropolitan areas to classify farmland use of paddy, upland, plastic film house, and orchard. We also made a land use map by overlaying the farmland use map and the land registration map of each city made in 2007, and compared the land use map made by RD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in 1999. Paddy areas decreased at a range of 3,000 to 5,000 ha during 8 years and were changed to residential areas in the cities.
      Upland and orchard areas also showed similar tendency and were changed to residential areas as well. On the other hand, the areas of the plastic film houses in the cities showed an increase or same in size. It is suggested that farmland use map can be broadly used as a base map for various survey projects including soil survey, statistics, and farmland information manage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언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인용문헌
      • 서언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인용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현철, "효율적 하천구역관리를 위한 고해상 영상의 활용 방안 연구" 대한원격탐사학회 24 (24): 205-211, 2008

      2 구자용, "해상도별 위성영상을 이용한 체계적 토지피복 분류에 관한 연구" 국토지리학회 45 (45): 375-386, 2011

      3 이규성, "한반도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모니터링을 위한 현안 분석" 대한원격탐사학회 25 (25): 71-83, 2009

      4 정재준, "위성영상의 해상도를 고려한 변화탐지 기법 개발 - 아리랑 1호 영상의 도시지역 적용을 사례로 -" 국토지리학회 39 (39): 161-170, 2005

      5 홍석영, "위성영상을 이용한 북한의 농업환경 분석 -I. Landsat TM 영상을 이용한 북한의 지형과 토지피복분류-" 한국환경농학회 27 (27): 120-132, 2008

      6 엄진아, "위성영상 및 항공사진을 이용한 해안선 변화 모니터링 : 울진군 죽변면 연안을 대상으로" 대한원격탐사학회 26 (26): 571-580, 2010

      7 이범연, "원단위법에 의한 비점오염부하량 산정 시 토지피복 특성을 반영하는 고해상도 항공영상의 활용방안"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18 (18): 281-291, 2009

      8 사공호상, "원격탐사와 GIS를 이용한 수도권 도시화지역 확산특성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40 : 53-69, 2004

      9 송인주, "서울시의 경관생태학적 분석을 통한 시설경작지 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 17 (17): 56-70, 2003

      10 최진우, "서울시 개발제한구역 8년간(1999~2007년) 토지이용 변화 연구" 한국환경과학회 19 (19): 1025-1034, 2010

      1 박현철, "효율적 하천구역관리를 위한 고해상 영상의 활용 방안 연구" 대한원격탐사학회 24 (24): 205-211, 2008

      2 구자용, "해상도별 위성영상을 이용한 체계적 토지피복 분류에 관한 연구" 국토지리학회 45 (45): 375-386, 2011

      3 이규성, "한반도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모니터링을 위한 현안 분석" 대한원격탐사학회 25 (25): 71-83, 2009

      4 정재준, "위성영상의 해상도를 고려한 변화탐지 기법 개발 - 아리랑 1호 영상의 도시지역 적용을 사례로 -" 국토지리학회 39 (39): 161-170, 2005

      5 홍석영, "위성영상을 이용한 북한의 농업환경 분석 -I. Landsat TM 영상을 이용한 북한의 지형과 토지피복분류-" 한국환경농학회 27 (27): 120-132, 2008

      6 엄진아, "위성영상 및 항공사진을 이용한 해안선 변화 모니터링 : 울진군 죽변면 연안을 대상으로" 대한원격탐사학회 26 (26): 571-580, 2010

      7 이범연, "원단위법에 의한 비점오염부하량 산정 시 토지피복 특성을 반영하는 고해상도 항공영상의 활용방안"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18 (18): 281-291, 2009

      8 사공호상, "원격탐사와 GIS를 이용한 수도권 도시화지역 확산특성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40 : 53-69, 2004

      9 송인주, "서울시의 경관생태학적 분석을 통한 시설경작지 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 17 (17): 56-70, 2003

      10 최진우, "서울시 개발제한구역 8년간(1999~2007년) 토지이용 변화 연구" 한국환경과학회 19 (19): 1025-1034, 2010

      11 구자용, "벡터자료를 이용한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토지피복 분류기법에 관한 연구" 국토지리학회 40 (40): 449-459, 2006

      12 황한철, "도시화에 따른 농촌토지이용구조변화 분석" 한국농촌계획학회 13 (13): 85-92, 2007

      13 배선학, "도로명 및 건물번호 부여사업에서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활용" 한국지리정보학회 6 (6): 109-121, 2003

      14 이형동, "대규모 택지개발에 따른 토지이용패턴변화와 시공간적 특성 분석: 고양시를 사례로" 국토지리학회 40 (40): 155-167, 2006

      15 장재동, "다중분광영상과 LIDAR자료를 이용한 농업지역 토지피복 분류" 대한원격탐사학회 22 (22): 101-110, 2006

      16 손호기, "농업경관의 디자인적 요소인 전통다랑논 조사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29 (29): 157-165, 2011

      17 구자용,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토지피복도 제작기법 연구" 국토지리학회 41 (41): 83-94, 2007

      18 홍성언, "고해상도 위성영상과 수치지형도를 이용한 지목 불부합의 정도 측정" 한국공간정보학회 12 (12): 43-56, 2004

      19 Tuceryan, M., "Texture anlysis, In the handbook of pattern recognition and computer vision" World Scientific Publishing 207-248, 1998

      20 오치영, "SPOT5영상과 GIS분석을 이용한 인제 지역의 산사태 특성 분석" 대한원격탐사학회 25 (25): 445-454, 2009

      21 Campbell, J.B., "Introduction to remote sensing, 2nd ed" The Gilford Press 4-551, 1996

      22 홍성민, "IKONOS 영상자료를 이용한 농업지역 토지피복 분류기준 설정" 대한원격탐사학회 20 (20): 253-259, 2004

      23 사공호상, "IKONOS 영상의 토지피복분류 방법에 관한 실증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 6 (6): 107-116, 2003

      24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Farm Service Agency, "Common Land Unit, FSA handbook" 112-, 2004

      25 Van der Sande, C.J., "A segmentation and classification of IKONOS-2 imagery for land cover mapping to assist flood risk and flood damage assessment" 4 : 217-229,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5-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한국토양비료학회지(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KCI등재
      2006-06-2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41 0.544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