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내 거주 외국인 주민 후속세대의 거주지 패턴에 대한 연구 = A Study of Residential Pattern of Foreign Residents’Next Gene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574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그동안 선행 연구들이 소홀히 했던 외국인주민 후속세대들의 거주지 패턴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외국인주민 후속세대의 거주지 패턴을 지리정보시스템(GIS)의 탐색적 공간자...

      본 연구는 그동안 선행 연구들이 소홀히 했던 외국인주민 후속세대들의 거주지 패턴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외국인주민 후속세대의 거주지 패턴을 지리정보시스템(GIS)의 탐색적 공간자료 분석기법(ESDA)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2015년 행정자치부 외국인주민 인구통계자료를 바탕으로 외국인주민 후속세대의 거주 패턴을 설명해주는 지표들을 선정하고 250개 시군구를 분석단위로 외국인주민 후속세대 거주 집중도를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외국인주민 후속세대들의 거주 집중도는 전국적으로 고르기 보다는 호남과 강원지역을 중심으로 농촌지역에 높게 나타나서 외국인인구 비율이 높은 지역들이 대부분 수도권에 집중된 것과는 구별되었다. 또한 외국인주민 후속세대의 거주 집중도는 우리나라 전 지역에 걸쳐 공간적으로 인접한 지역들과 유사한 공간적 패턴을 갖는 공간적 의존성(spatial dependency)을 갖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국지적 공간자기상관 분석결과 이웃한 시군구들과 서로 유사한 외국인주민 후속세대 거주지 집중도를 갖는 곳들이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었다. 향후 외국인주민 후속세대의 거주지 집중으로 인해 미래에 예측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선제적인 정책적 대안의 마련이 요청된다. 청소년정책 당국은 외국인주민 후속세대 거주지 집중의 공간적 특성을 면밀히 파악하고 효과적인 정책 대상지역을 선정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sidential pattern of foreign residents’ second generation that prior literature has failed to pay attention to. Technically, several Explanatory Spatial Data Analysis(ESDA) methods within a GIS were employed to c...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sidential pattern of foreign residents’ second generation that prior literature has failed to pay attention to. Technically, several Explanatory Spatial Data Analysis(ESDA) methods within a GIS were employed to capture spatial pattern of foreign residents’ next generation. In order to measure the level of residential concentration for foreign residents’next generation based on entire 250 si-gun-gu units in the nation, the present research utilized 2015 Statistics on foreign residents provided by Ministry of The Interior. According to the results, residential concentration for foreign residents’ next generation appears to be much higher in the rural areas such as Jeolla and Gangwon rather than evenly distributed across the country. In addition, this particular spatial pattern tends to be similar between neighboring si-gun-gu units, so there exists a spatial dependency. In the context of local level, many regions holding similar residential pattern with adjacent neighboring si-gun-gu units were extensively distributed. In order to minimize negative effects of residential concentration for foreign residents’ next generation, proactive policy initiatives should be deeply considered. Therefore, the present study provides policy implication to youth policy authorities that precisely examine spatial pattern of residential concentration for their target population and effectively select the policy target are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혜실, "파키스탄 이주노동자와 결혼한 한국여성들" 16 : 78-98, 2007

      2 오성배, "코시안(Kosian)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2 (32): 61-83, 2005

      3 최은진, "출신국적에 따른 서울시 외국인 이주자의 거주지 분리" 한국도시행정학회 24 (24): 85-107, 2011

      4 안영진, "우리나라 외국인 유학생의 이주 현황과 특성 : 이론적 논의와 실태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 11 (11): 476-491, 2008

      5 신인철, "외국인의 국적별 거주지 분리: 경기도 및 부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37-62, 2007

      6 박윤환, "외국인 주민의 거주지 분리에 대한 공간적 패턴" 국회입법조사처 7 (7): 125-148, 2015

      7 박세훈, "외국인 주거지의 공간분포 특성과 정책함의" 국토연구원 64 : 59-76, 2010

      8 이정환, "외국인 노동자의 이주특성과 연구동향" 30 (30): 147-168, 2007

      9 정연주, "외국인 노동자 취업의 공간적 전개과정 : 경인지역 을 사례로" 4 (4): 27-42, 2001

      10 하성규, "외국인 근로자의 주거실태에 관한 연구" 24 (24): 9-31, 2006

      1 정혜실, "파키스탄 이주노동자와 결혼한 한국여성들" 16 : 78-98, 2007

      2 오성배, "코시안(Kosian)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2 (32): 61-83, 2005

      3 최은진, "출신국적에 따른 서울시 외국인 이주자의 거주지 분리" 한국도시행정학회 24 (24): 85-107, 2011

      4 안영진, "우리나라 외국인 유학생의 이주 현황과 특성 : 이론적 논의와 실태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 11 (11): 476-491, 2008

      5 신인철, "외국인의 국적별 거주지 분리: 경기도 및 부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37-62, 2007

      6 박윤환, "외국인 주민의 거주지 분리에 대한 공간적 패턴" 국회입법조사처 7 (7): 125-148, 2015

      7 박세훈, "외국인 주거지의 공간분포 특성과 정책함의" 국토연구원 64 : 59-76, 2010

      8 이정환, "외국인 노동자의 이주특성과 연구동향" 30 (30): 147-168, 2007

      9 정연주, "외국인 노동자 취업의 공간적 전개과정 : 경인지역 을 사례로" 4 (4): 27-42, 2001

      10 하성규, "외국인 근로자의 주거실태에 관한 연구" 24 (24): 9-31, 2006

      11 최재헌, "외국인 거주지 분석을 통한 서울시 국제적 부문의 형성" 한국도시지리학회 6 (6): 2-30, 2003

      12 박윤환, "수도권 지역 외국인들의 거주지 분리에 대한 연구" 한국행정연구소 48 (48): 429-453, 2010

      13 김은미, "서울 내 외국인 문화 활성화 방안" 26 : 1-13, 2007

      14 금명자, "다문화가정 청소년(혼혈청소년)연구: 사회적응 실태조사 및 고정관념 조사" 국가청소년위원회 한국청소년상담원 2006

      15 김순규, "다문화가정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 한국청소년학회 18 (18): 247-272, 2011

      16 조영달, "다문화가정 자녀교육지원을 위한 자료개발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6

      17 최석란, "교사의 단계별 지지에 따른 유아의 만들기 활동 분석" 27 : 74-88, 2001

      18 김광구, "공간자기상관의 탐색과 공간회귀분석의 활용. 한국행정학회" 983-1001, 2003

      19 전경숙, "경기도 지역의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청소년의 생활실태 조사 -학교생활과 가정생활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6 (16): 167-185, 2008

      20 김혜순,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의 다문화사회 실험: 최근 다문화담론의 사회학" 한국사회학회 42 (42): 36-71, 2008

      21 구인회, "가족배경이 청소년의 교육성취에 미치는 영향 : 가족구조와 가족소득, 빈곤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2 : 5-32, 2003

      22 Wirth, L., "The Ghett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28

      23 Park, R., "The City: Suggestions for the Study of Human Nature in the Urban Environment"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25

      24 Griffith D. A, ., "Spatial Autocorrelation: A Primer"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1987

      25 Waldfogel, J., "Preference externalities : An empirical study of who benefits whom in differentiated product markets" 34 : 557-568, 2003

      26 Bayer, P., "Place of work and place of residence : Informal hiring networks and labor market outcomes" 116 (116): 1150-1196, 2006

      27 Massey D. S, ., "Ethnic Residential Segregation : A Theoretical Synthesis and Empirical Review" 69 : 315-350, 1985

      28 Farley, R., "Changes in the Segregation of Whites from Blacks during the 1980s : Small Steps toward a More Integrated Society" 59 : 23-45, 19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4 2.14 2.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4 2.47 2.766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