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기술혁신환경에서 프라이버시와 공권력의 충돌과 조화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8033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프라이버시 콘텐츠를 활용한 서비스가 일상이 되어버렸고, 기술은 더 더욱 진화되며 부지불식간에 개인의 사생활을 엿보고 있다. 하지만 이러 한 기술이나 서비스를 법이나 제도로 막는다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語不 成說)이다. 그렇다고 우리가 역사적으로 많은 투쟁과 희생을 통해 얻은 프라이버시권을 포기할 수 없으며 절대로 포기되어져서도 안 된다. 이러 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고에서는 사인이 가지는 프라이버시권와 공 권력의 정당화요소로서 공익, 그리고 영업의 자유와의 갈등·충돌관계를 분석하고 그 조화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그간 이러한 갈등과 충 돌을 해결하고자 하는 공권력의 설계가 헌법상의 기본 원칙하에 이루어 지기 보다는 단편적·선제적 방식이 잦았다. 따라서 여러 차례 공권력 발동의 근거가 되는 규제실패를 격어야 했으며 그러한 결과는 의도하지 못한 부작용만 초래하면서 관련 산업에 타격을 주고, 공권력에 대한 국 민적 공감대를 상실시켰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공권력 행사는 국내사업 자에 한정되는 반쪽짜리 공권력으로 전락하여 결국 불평등 집행으로 인 해 자국민의 사기저하를 불러일으키며 국가에 대한 신뢰도를 약화시키는 결과만 초래하였다. 공권력은 공익이라는 가치를 법치주의에 의해 구현 함으로서 정당화된다. 뿐만 아니라 그러한 공익가치의 실현을 위한 공권 력 행사의 내용은 반드시 비례원칙을 준수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충돌을 해결하는 기본원리로서 본 논문을 다음을 제안하였다. 공익과 사 익간의 갈등에 대하여는 비례원칙이 적용되어야 하며, 사익간의 갈등에 대하여는 사적자치의 원칙을 존중하되, 사인간의 기본권 충돌의 조정은 이익형량의 원칙과 규범조화적 해결원칙에 따라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 한 원칙 하에서 카카오톡 감청사례 , 잊힐 권리 , 무인항공기 를 둘러싼 프라이버시와, 공익 그리고 영업의 자유의 충돌에 있어서 조화방안을 모 색해 보았다.
      번역하기

      프라이버시 콘텐츠를 활용한 서비스가 일상이 되어버렸고, 기술은 더 더욱 진화되며 부지불식간에 개인의 사생활을 엿보고 있다. 하지만 이러 한 기술이나 서비스를 법이나 제도로 막는다...

      프라이버시 콘텐츠를 활용한 서비스가 일상이 되어버렸고, 기술은 더 더욱 진화되며 부지불식간에 개인의 사생활을 엿보고 있다. 하지만 이러 한 기술이나 서비스를 법이나 제도로 막는다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語不 成說)이다. 그렇다고 우리가 역사적으로 많은 투쟁과 희생을 통해 얻은 프라이버시권을 포기할 수 없으며 절대로 포기되어져서도 안 된다. 이러 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고에서는 사인이 가지는 프라이버시권와 공 권력의 정당화요소로서 공익, 그리고 영업의 자유와의 갈등·충돌관계를 분석하고 그 조화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그간 이러한 갈등과 충 돌을 해결하고자 하는 공권력의 설계가 헌법상의 기본 원칙하에 이루어 지기 보다는 단편적·선제적 방식이 잦았다. 따라서 여러 차례 공권력 발동의 근거가 되는 규제실패를 격어야 했으며 그러한 결과는 의도하지 못한 부작용만 초래하면서 관련 산업에 타격을 주고, 공권력에 대한 국 민적 공감대를 상실시켰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공권력 행사는 국내사업 자에 한정되는 반쪽짜리 공권력으로 전락하여 결국 불평등 집행으로 인 해 자국민의 사기저하를 불러일으키며 국가에 대한 신뢰도를 약화시키는 결과만 초래하였다. 공권력은 공익이라는 가치를 법치주의에 의해 구현 함으로서 정당화된다. 뿐만 아니라 그러한 공익가치의 실현을 위한 공권 력 행사의 내용은 반드시 비례원칙을 준수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충돌을 해결하는 기본원리로서 본 논문을 다음을 제안하였다. 공익과 사 익간의 갈등에 대하여는 비례원칙이 적용되어야 하며, 사익간의 갈등에 대하여는 사적자치의 원칙을 존중하되, 사인간의 기본권 충돌의 조정은 이익형량의 원칙과 규범조화적 해결원칙에 따라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 한 원칙 하에서 카카오톡 감청사례 , 잊힐 권리 , 무인항공기 를 둘러싼 프라이버시와, 공익 그리고 영업의 자유의 충돌에 있어서 조화방안을 모 색해 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ervices using the privacy content are spread and evolving technology has more and more spying on the private lives unknowingly. But itself is nonsense to ban these technologies and services by the laws and institutions. Although we can not give up privacy historically gained through so many struggles and sacrifices and should not be. With this critical attitude of mind, this study analyzed and evaluated their conflict relationship to seek the harmonization measures between personal privacy, public authorities as justification element of public interest and the freedom of business. Meanwhile, the design of the public authorities to solve these conflicts were intimidated by this piecemeal approach rather than being carried out under the basic principles of the Constitution. Therefore, prices should have a regulatory failure that triggered the basis of several public authorities, such results give a blow to the industry, while only side effects not intended and national consensus on the public power was lost. Not only that, this public authority applies only to domestic operators by being reduced to half-public authorities. Eventually, unequal enforcement of public authority degrade the morale of its citizens and weakened confidence in the country. Public authorities can be justified by implementing the value of the public interest by the rule of law. Also exercise of public authorities for the realization of the public interest should be sure to observe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Therefore, this paper proposed the following as the basic principles to resolve these conflicts :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should be applied with respect to the conflict between public interest and private interest. And respecting the principle of private autonomy with respect to conflicts between a private interest and another private interest but adjustment of the crash between the basic rights(eg. privacy vs. freedom of sales) shall be resolv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proportionality and harmonization of norms. This study looked to find a harmony under these principles solving conflicts with privacy, public interest and the freedom of business surrounding 'KakaoTalk tapping case', ‘right to be forgotten' and 'drone'.
      번역하기

      Services using the privacy content are spread and evolving technology has more and more spying on the private lives unknowingly. But itself is nonsense to ban these technologies and services by the laws and institutions. Although we can not give up pr...

      Services using the privacy content are spread and evolving technology has more and more spying on the private lives unknowingly. But itself is nonsense to ban these technologies and services by the laws and institutions. Although we can not give up privacy historically gained through so many struggles and sacrifices and should not be. With this critical attitude of mind, this study analyzed and evaluated their conflict relationship to seek the harmonization measures between personal privacy, public authorities as justification element of public interest and the freedom of business. Meanwhile, the design of the public authorities to solve these conflicts were intimidated by this piecemeal approach rather than being carried out under the basic principles of the Constitution. Therefore, prices should have a regulatory failure that triggered the basis of several public authorities, such results give a blow to the industry, while only side effects not intended and national consensus on the public power was lost. Not only that, this public authority applies only to domestic operators by being reduced to half-public authorities. Eventually, unequal enforcement of public authority degrade the morale of its citizens and weakened confidence in the country. Public authorities can be justified by implementing the value of the public interest by the rule of law. Also exercise of public authorities for the realization of the public interest should be sure to observe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Therefore, this paper proposed the following as the basic principles to resolve these conflicts :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should be applied with respect to the conflict between public interest and private interest. And respecting the principle of private autonomy with respect to conflicts between a private interest and another private interest but adjustment of the crash between the basic rights(eg. privacy vs. freedom of sales) shall be resolv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proportionality and harmonization of norms. This study looked to find a harmony under these principles solving conflicts with privacy, public interest and the freedom of business surrounding 'KakaoTalk tapping case', ‘right to be forgotten' and 'dron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성기, "현행 통신비밀 보호법제의 헌법적 문제점" (사)한국언론법학회 14 (14): 1-32, 2015

      2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10

      3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14

      4 허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09

      5 박경신, "한국과 미국의 통신감시 상황의 양적 비교 및 최근의 변천 - 기지국수사, 대량감시, 통신자료제공, 피감시자통지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9 (9): 37-69, 2015

      6 김일환, "통신비밀의 헌법상 보호와 관련 법제도에 관한 고찰" 한국형사정책학회 16 (16): 25-51, 2004

      7 한상희, "정보화와 헌법 , 디지털시대의 헌법질서" 정보통신정책연구원ㆍ중앙대학교 법학연구소 2002

      8 김성룡, "이메일 압수․수색에 관한 독일 연방헌법재판소 결정의 주요 내용과 그 시사점" 법학연구원 (32) : 181-214, 2010

      9 박용상, "언론의 자유" 박영사 2013

      10 장은혜, "사인수용의 허용성과 한계 ― 공권력이 사인에게 이전되는 문제와 관련하여 ―" 행정법이론실무학회(行政法理論實務學會) (33) : 73-100, 2012

      1 황성기, "현행 통신비밀 보호법제의 헌법적 문제점" (사)한국언론법학회 14 (14): 1-32, 2015

      2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10

      3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14

      4 허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09

      5 박경신, "한국과 미국의 통신감시 상황의 양적 비교 및 최근의 변천 - 기지국수사, 대량감시, 통신자료제공, 피감시자통지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9 (9): 37-69, 2015

      6 김일환, "통신비밀의 헌법상 보호와 관련 법제도에 관한 고찰" 한국형사정책학회 16 (16): 25-51, 2004

      7 한상희, "정보화와 헌법 , 디지털시대의 헌법질서" 정보통신정책연구원ㆍ중앙대학교 법학연구소 2002

      8 김성룡, "이메일 압수․수색에 관한 독일 연방헌법재판소 결정의 주요 내용과 그 시사점" 법학연구원 (32) : 181-214, 2010

      9 박용상, "언론의 자유" 박영사 2013

      10 장은혜, "사인수용의 허용성과 한계 ― 공권력이 사인에게 이전되는 문제와 관련하여 ―" 행정법이론실무학회(行政法理論實務學會) (33) : 73-100, 2012

      11 이상학, "사이버 정보활동의 기본원칙과 한계" 부설법학연구소 41 : 399-424, 2014

      12 권양섭, "사이버 공간에서의 증거수집에 관한 고찰" 한국법학회 (37) : 197-216, 2010

      13 김선이, "무인항공기의 사생활 침해에 관한 법적 고찰" 법학연구소 (65) : 267-299, 2014

      14 김송주, "무인항공기 관련 개인정보 보호 입법과제" 국회 입법조사처 (1074) : 2015

      15 차민식, "국가임무의 기능사화와 국가의 책임" 경인문화사 2011

      16 이충한, "국가권력에 대한 사회계약론적 전통에 관한 고찰" 한국동서철학회 63 : 53-74, 2012

      17 김민호, "공공부문 개인정보보호법제의 현황과 과제" 한국토지공법학회 37 (37): 207-224, 2007

      18 지원림, "계약정의에 관한 연구 -계약자유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비교사법학회 9 (9): 2002

      19 김현경, "개인정보보호제도의 본질과 보호법익의 재검토" 법학연구소 26 (26): 267-297, 2014

      20 지성우, "개인정보보호와 소위 잊혀질 권리 (Right to be forgotten)의 관계에 관한 연구"

      21 공진성, "감청의 기간연장과 그 한계에 대한 헌법적 고찰 -통신비밀보호법 제6조 제7항 단서 위헌제청사건-" 법학연구소 14 (14): 247-276, 2011

      22 成鮮濟, "e-사회에서 테러 및 범죄예방을 위한 감청과 프라이버시의 갈등 조정 방안 연구" 한국비교공법학회 8 (8): 163-190, 2007

      23 Samuel D. Warren, "The Right to Privacy" 4 : 1890

      24 J. Inness, "Privacy, Intimacy and Isol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92

      25 F. Schoeman, "Privacy and Social Freedom"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26 박경신, "E-메일 압수수색의 제문제와 관련 법률개정안들에 대한 평가" 법학연구소 13 (13): 265-314, 2010

      27 강경근, "Carre de Malberg의 국가일반이론 에서의 국가와 국가권력 -서문과 본문목차 소개" 16 : 198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2-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경원법학 -> 가천법학
      외국어명 : Kyungwon Law Review -> Gachon Law Review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38 0.638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