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흄의 회의와 확신  :  지식의 정당화 문제를 중심으로 = Hume's Doubt and Conviction on the Justification of our Fundamental Belief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401063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지식의 정당화 문제에 대한 흄의 입장에 관한 탐구이며, 흄을 토대주의를 거부한 자연주의자로 해석할 수 있는 맥락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흄은 그의 주저에서 근본 신념들의 정당성을 전통적 인식론의 입장에서 검토한다. 그는 자신이 기초 신념이라 여기는 세 가지 신념들, 즉 인과성, 물리적 대상들의 존재, 및 자기 동일적 자아의 존재에 대한 신념들의 정당화 가능성을 검토하고 회의주의적 결론에 도달한다. 그러나 그는 이에 그치지 않고, 앞의 세 신념들이 보이는 회피불가능성에 주목한다. 이러한 확고한 신념은 궁극적으로 우리 마음의 자연적 경향성에서 왔다는 것이 그의 인간학적 탐구의 최종 결론이다. 이렇게 볼 때, 흄은 전통적 인식론의 토대주의적 프로그램을 사전에 봉쇄하면서, 이러한 믿음의 행태에 관해서 우리는 결국 우리가 그렇게 믿는 것이 자연적이라고 여긴다는 사실의 관찰로 만족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즉 우리의 기초 신념들에 관련된 문제는 궁극적으로는 합리적 정당화의 문제라기보다는, 우리가 지닌 몇몇 자연적 성향들을 기술하는 것의 문제라는 것이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지식의 정당화 문제에 대한 흄의 입장에 관한 탐구이며, 흄을 토대주의를 거부한 자연주의자로 해석할 수 있는 맥락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흄은 그의 주저에서 근본 신념...

      이 논문은 지식의 정당화 문제에 대한 흄의 입장에 관한 탐구이며, 흄을 토대주의를 거부한 자연주의자로 해석할 수 있는 맥락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흄은 그의 주저에서 근본 신념들의 정당성을 전통적 인식론의 입장에서 검토한다. 그는 자신이 기초 신념이라 여기는 세 가지 신념들, 즉 인과성, 물리적 대상들의 존재, 및 자기 동일적 자아의 존재에 대한 신념들의 정당화 가능성을 검토하고 회의주의적 결론에 도달한다. 그러나 그는 이에 그치지 않고, 앞의 세 신념들이 보이는 회피불가능성에 주목한다. 이러한 확고한 신념은 궁극적으로 우리 마음의 자연적 경향성에서 왔다는 것이 그의 인간학적 탐구의 최종 결론이다. 이렇게 볼 때, 흄은 전통적 인식론의 토대주의적 프로그램을 사전에 봉쇄하면서, 이러한 믿음의 행태에 관해서 우리는 결국 우리가 그렇게 믿는 것이 자연적이라고 여긴다는 사실의 관찰로 만족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즉 우리의 기초 신념들에 관련된 문제는 궁극적으로는 합리적 정당화의 문제라기보다는, 우리가 지닌 몇몇 자연적 성향들을 기술하는 것의 문제라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is an inquiry of Hume's view on the justification of our knowledge, and its main aim is to provide a context in which Hume can be seen as a naturalist who rejects foundationalism.
      In his main work, Hume examines the justifiability of fundamental beliefs from the viewpoint of traditional epistemology. And he holds a sceptical stance that the fundamental beliefs, i.e. the belief in causality, the existence of physical objects, and the existence of identical self, are not justified. Furthermore, Hume takes a step forward to notice the unaboidability of such beliefs. As a result, he comes to the final conclusion in his 'science of men' that such unshakable beliefs have an origin in the natural propensity of our mind.
      In these regards, Hume can be considered as a sort of naturalist who blocks the foundationalist programme of traditional epistemology and suggests that we should be satisfied with only observing that fact that we find it natural to hold such basic beliefs. That is, the problem concerning our basic beliefs is, in the long run, not about justification, but about describing some of our natural propensities.
      번역하기

      This thesis is an inquiry of Hume's view on the justification of our knowledge, and its main aim is to provide a context in which Hume can be seen as a naturalist who rejects foundationalism. In his main work, Hume examines the justifiability of fund...

      This thesis is an inquiry of Hume's view on the justification of our knowledge, and its main aim is to provide a context in which Hume can be seen as a naturalist who rejects foundationalism.
      In his main work, Hume examines the justifiability of fundamental beliefs from the viewpoint of traditional epistemology. And he holds a sceptical stance that the fundamental beliefs, i.e. the belief in causality, the existence of physical objects, and the existence of identical self, are not justified. Furthermore, Hume takes a step forward to notice the unaboidability of such beliefs. As a result, he comes to the final conclusion in his 'science of men' that such unshakable beliefs have an origin in the natural propensity of our mind.
      In these regards, Hume can be considered as a sort of naturalist who blocks the foundationalist programme of traditional epistemology and suggests that we should be satisfied with only observing that fact that we find it natural to hold such basic beliefs. That is, the problem concerning our basic beliefs is, in the long run, not about justification, but about describing some of our natural propensiti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