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강점관점 해결중심 실천을 적용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교육과 슈퍼비전 성과를 탐색하려는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부터2015년까지 3년간 부산과 경남지역에서 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150703
201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1-69(39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강점관점 해결중심 실천을 적용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교육과 슈퍼비전 성과를 탐색하려는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부터2015년까지 3년간 부산과 경남지역에서 강...
본 연구는 강점관점 해결중심 실천을 적용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교육과 슈퍼비전 성과를 탐색하려는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부터2015년까지 3년간 부산과 경남지역에서 강점관점 해결중심 실천을 토대로 시행한 "행복한 지역아동센터 만들기 사업" 의 성과를 질적 사례연구의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는 특별한 보상 없이 바쁜 일과를 보내면서 소진된 상황이었고, 강점관점 해결중심 실천을 적용한 교육과 슈퍼비전에 참여하면서 개인의 변화, 실천의 변화, 관계의 변화, 이용자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변화 요인은 1) 교육과 슈퍼비전을 강점에 초점을 두고 진행한 점, 2) 실천 경험을 강조한 점, 3) 종사자의 욕구를 토대로 한 점, 4) 협력과 소통을 확장한 점, 5) 지속적인 훈련을 제공한 점과6) 일관된 가치를 전달한 점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과 실천적 제언을 했으며, 이 내용은 지역아동센터 현장에서 발전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outcome of strength-based, solutionfocused education and supervision of community children"s center workers.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qualitative case study of the "Happy Community Children"s Center Pr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outcome of strength-based, solutionfocused education and supervision of community children"s center workers.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qualitative case study of the "Happy Community Children"s Center Project" which was carried out in the Busan and Kyungnam areas in Korea for three years from 2012 to 2015. The results revealed that before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community children"s center workers were burnt out from their extremely busy daily routine without being rewarded for their efforts. After participating in strength-based, solution-focused education and supervision, however, workers experienced changes with respect to self, practice, relationships, and service users. The factors that brought about the changes were as follows: The training and supervision (1) were carried out with a focus on strengths, (2)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ractice experience, (3) were based on the needs of the workers, (4) expanded the workers" level of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with workers from other centers, (5) provided continuous training, and (6) conveyed consistent practice values.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were made for policies and practices that would enhance the work competencies of community children"s center workers. The suggestions could be used as a basis for developing effective educational programs and supervision for community children"s center workers.
참고문헌 (Reference)
1 빈곤소외가족전문상담센터전문위원회, 사회복지공동모금회 2005
2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행복한 지역아동센터 만들기 연구보고서"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2015
3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행복한 지역아동센터 만들기 사업보고서"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2015
4 Berg, K., "해결중심 단기코칭" 시그마프레스 2013
5 노혜련, "취약여성가구주 사례관리사업평가와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보건복지부, 숭실대학교 2006
6 고미영, "질적사례연구" 청목출판사 2009
7 안혜준, "질적 연구자 되기" 아카데미프레스 2008
8 Stake, R., "질적 사례연구" 창지사 2000
9 이경림, "지역아동센터의 이해와 실제" 학지사 2010
10 김진미,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임파워먼트와 소진, 조직헌신의 관계: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검증" 사회과학연구소 26 (26): 27-53, 2015
1 빈곤소외가족전문상담센터전문위원회, 사회복지공동모금회 2005
2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행복한 지역아동센터 만들기 연구보고서"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2015
3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행복한 지역아동센터 만들기 사업보고서"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2015
4 Berg, K., "해결중심 단기코칭" 시그마프레스 2013
5 노혜련, "취약여성가구주 사례관리사업평가와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보건복지부, 숭실대학교 2006
6 고미영, "질적사례연구" 청목출판사 2009
7 안혜준, "질적 연구자 되기" 아카데미프레스 2008
8 Stake, R., "질적 사례연구" 창지사 2000
9 이경림, "지역아동센터의 이해와 실제" 학지사 2010
10 김진미,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임파워먼트와 소진, 조직헌신의 관계: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검증" 사회과학연구소 26 (26): 27-53, 2015
11 김지현,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소진극복에 관한 연구" 7 (7): 91-114, 2010
12 공계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소진관련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회 15 (15): 27-51, 2010
13 변숙영,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직무향상과정 개발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2
14 정익중,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소진이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회 (31) : 205-234, 2010
15 지역아동정보센터, "지역아동센터 운영매뉴얼 표준 지역아동센터 만들기" 보건복지부 인구정책관실 아동복지팀, 사)부스러기사랑나눔회 부설 지역아동정보센터 2008
16 임동호, "지역아동센터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인식이 조직헌신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4 (14): 196-204, 2014
17 이태수, "지역아동센터 빅딜이 필요하다" 143 : 11-14, 2012
18 정익중, "종사자 소진이 지역아동센터의 서비스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33) : 23-46, 2010
19 김소영, "정부지원제도로 인한 지역아동센터의 변화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3 (3): 5-38, 2009
20 지역아동센터중앙지원단, "전국 지역아동센터 실태조사 보고서" 지역아동센터중앙지원단 2014
21 노혜련, "임파워먼트의 접근과 사회복지실천 적용: 현실진단과 과제에 대한 토론문" 2013
22 박선영, "임파워먼트의 접근과 사회복지실천 적용: 현실진단과 과제" 2013
23 최명민, "의료사회복지사의 소진에 관한 질적 연구 : 소진위험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8 (8): 1-38, 2006
24 우리아이희망네트워크사업단, "우리아이희망네트워크 5주년 사업보고대회 자료집" 함께 만드는 세상 2011
25 이영미, "우리나라 사회사업가들의 소진(Burnout)에 관한 연구" 18 : 25-60, 1991
26 윤혜미, "아동학대예방센터 상담원의 소진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6 (56): 279-301, 2004
27 강현아, "아동복지 종사자들의 직무 스트레스 요인, 소진 및 이직의도의 관계" 한국사회복지학회 60 (60): 107-127, 2008
28 노혜련, "실무자가 경험한 강점관점 사례관리사업의 특성: 사업의 목적과 실천원리, 실천결과를 중심으로" 2008
29 김남현, "슈퍼리더십" 경문사 2002
30 이선영, "수퍼바이저와의 커뮤니케이션이 복지서비스조직 구성원의 스트레스, 소진,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미국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7 (7): 373-401, 2007
31 도은숙, "상담자 소진 관련 변인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17 (17): 125-143, 2009
32 장신재,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전문적 능력, 임파워먼트, 직무성과 영향구조"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8 (8): 31-57, 2006
33 모지환, "사회복지사의 재교육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3 (13): 125-145, 2011
34 이은희,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조사연구소 9 (9): 167-193, 2008
35 김선정, "사회복지사가 경험한 강점관점 해결중심 사례관리 실천 과정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3
36 하상철, "사회복지기관 종사자들의 특성 요인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3 (3): 119-141, 2011
37 Yin, K., "사례연구방법" 한경사 2005
38 김수영, "빈곤여성의 역경극복 과정 : 강점관점 사례관리 참여자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2
39 최민호, "보상제도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일경상학회 61 : 171-189, 2013
40 한국기업교육학회, "내적 보상"
41 보건복지부, "강점관점해결중심 사례관리 매뉴얼" 보건복지부 2006
42 노혜련, "강점관점 해결중심 사례관리" 학지사 2014
43 노혜련, "강점관점 사례관리의 특성에 관한 연구: 빈곤여성가구주의 참여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 15 (15): 75-104, 2007
44 김경희, "강점관점 사례관리의 적용과 성과에 대한 탐색적 연구:우리아이 희망네트워크 사업 수행 기관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7 (7): 175-203, 2013
45 노혜련, "강점관점 사례관리 실천과정을 통한 실무자의 변화" 2 (2): 67-85, 2011
46 민소영, "강점관점 반영 사례관리 훈련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0 (10): 39-65, 2008
47 이지영, "감정노동-소진과정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16 (16): 237-260, 2009
48 Bryan, J., "strengths-based partnerships : A school-familycommunity partnership approach to empowering students" 12 (12): 149-156, 2008
49 Yazan, B, "Three approaches to case study methods in education: Yin, Merriam, and Stake" 20 (20): 134-152, 2015
50 Anderson, H., "Therapy as social construction" Sage 1992
51 Weick, A., "The strengths perspective in social work practice" Pearson Education 2006
52 Saleeby, D., "The strengths perspective in social work practice" Pearson Education 2006
53 Saleebey, D., "The strengths perspective in social work practice" Longman 1992
54 Blundo, R., "The strengths perspective in social work practice" Pearson Education 2006
55 de Shazer, S, "The death of resistance" 23 (23): 11-17, 1984
56 Stake, R.,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Sage 1995
57 Wei-Su Hsu., "The Components of the solution-focused supervision" 41 (41): 475-496, 2009
58 Marek, I., "Supervision without the problem: A model of solution-focused supervision" 5 (5): 57-64, 1994
59 Thomas, N, "Solution-oriented supervision: The coaxing of expertise" 2 (2): 11-18, 1994
60 O’Connell, B., "Solution-focused therapy" Sage 2010
61 Pease, B., "Rethinking empowerment: A postmodern reappraisal for emancipatory practice" 32 (32): 135-147, 2002
62 Merriam, S. B.,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Jossey-Bass 1998
63 Lincoln, S., "Naturalistic Inquiry" Sage Publications 1985
64 De Jong, P., "How to interview for client strengths" 40 : 729-736, 1995
65 Cade, B., "Handbook of solutionfocused brief therapy: Clinical applications" Routledge 2007
66 Berg, K., "Family based services: A solution focused approach" Norton & Company 1994
67 Nelson, S., "Education and training in solution-focused brief therapy" Routledge 2014
68 Hanson, M., "Early intervention : Promise to keep" 13 (13): 47-58, 2001
69 노혜련, "CS 강점 및 영성기반 노인 통합사례관리 모형 개발사업 CS-SICMA 과정 교육 교재" 가톨릭사회복지회 2012
70 Harling, K., "An overview of case study"
71 Greene, G., "A solution focused approach to case management and recovery with consumers who have a severe mental disability" 86 (86): 339-350, 2006
72 Weick, A., "A Strengths perspective for social work practice" 34 (34): 350-354, 1989
73 보건복지부, "2015년 지역아동센터 지원 사업 안내"
74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2012년 행복한 지역아동센터 만들기 사업보고서"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2013
75 이태수, "2008 지역아동센터의 현주소" 공동체 2009
부모와 전문 인력의 관계가 부모 임파워먼트를 통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입양아동의 적응을 위한 입양부모의 대처과정에 관한 연구
가해행동에 대한 태도 및 공감이 또래괴롭힘 방관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2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4 | 1.64 | 1.9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95 | 2.11 | 2.512 | 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