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18 평창동계패럴림픽을 위한 동계패럴림픽 유산에 관한 연구 = Study on Legacies of Winter Paralympics for 2018 PyeongChang Paralympic Winter Gam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021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mportance of paralympic legacies is stressed ahead of the 2018 PyeongChang Paralymtic Winter Ga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basic data of Paralympic policy by analying legacies of Paralympic legacies and benchmarking past Paralympic Games. The International Paralympic Committee is depended on a roll of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in creating value of its legacy. Paralympic legacy is divided into tangible and intangible legacy. But It is difficult to confirm the fact that intangible elements such as national pride and a participation consciousness of community can be quantitatively evaluated. The impact on legacies is to minimize negative impacts and maximize their use of positive factors. The PyeongChang Paralympic Winter Games will be held in five stadiums including the Olympic plaza and It is urgently needed to preserve the legacies to create value for the Paralympic Games. The type of past Winter Paralympic legacy is identified with the positive changes of various Paralympic Movements, which is the benchmarking target for the Pyeongchang Paralympic Winter Games. The Sochi Winter Paralympic Games has brought the change of recognition and accessibility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Sochi and Sochi has been recognized as a place for international exchange. Pyeongchang Paralympics Memorial Centre, Publishing a Pyeongchang Paralympics White Paper, Sustainable Paralympics Legacy Committee, Education Hall, and Paralympic Park are proposed.
      번역하기

      The importance of paralympic legacies is stressed ahead of the 2018 PyeongChang Paralymtic Winter Ga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basic data of Paralympic policy by analying legacies of Paralympic legacies and benchmarking past Paralympic ...

      The importance of paralympic legacies is stressed ahead of the 2018 PyeongChang Paralymtic Winter Ga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basic data of Paralympic policy by analying legacies of Paralympic legacies and benchmarking past Paralympic Games. The International Paralympic Committee is depended on a roll of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in creating value of its legacy. Paralympic legacy is divided into tangible and intangible legacy. But It is difficult to confirm the fact that intangible elements such as national pride and a participation consciousness of community can be quantitatively evaluated. The impact on legacies is to minimize negative impacts and maximize their use of positive factors. The PyeongChang Paralympic Winter Games will be held in five stadiums including the Olympic plaza and It is urgently needed to preserve the legacies to create value for the Paralympic Games. The type of past Winter Paralympic legacy is identified with the positive changes of various Paralympic Movements, which is the benchmarking target for the Pyeongchang Paralympic Winter Games. The Sochi Winter Paralympic Games has brought the change of recognition and accessibility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Sochi and Sochi has been recognized as a place for international exchange. Pyeongchang Paralympics Memorial Centre, Publishing a Pyeongchang Paralympics White Paper, Sustainable Paralympics Legacy Committee, Education Hall, and Paralympic Park are propo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018평창동계패럴림픽을 앞두고 패럴림픽 유산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동계패럴림픽의 유산을 고찰하고 외국사례를 분석하여 패럴림픽 정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국제패럴림픽위원회는 패럴림픽 유산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으나 실질적인 유산의 가치 창출에 국제올림픽위원회의 역할에 의존하고 있다. 패럴림픽 유산은 유형과 무형으로 구분되며 도시재건, 경기장 신설 및 증축은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나 국가 자부심, 지역사회 참여의식 등 무형적인 요소는 실체를 확인하기가 어렵다. 또한 유산에 관한 영향은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고 긍정적 요소로 극대화 하는데 있다. 평창동계패럴림픽대회는 5개 경기장에서 개최되며 패럴림픽 가치 창출을 위한 유산의 보존대책이 시급하다. 역대 동계패럴림픽 유산의 유형은 각종 패럴림픽 운동의 긍정적 변화와 동일시되며 이는 평창패럴림픽대회의 벤치마킹 대상이다. 소치동계패럴림픽대회는 국내적으로 장애인 인식의 전환과 접근성 강화를 가져왔으며 소치는 국제적으로 교류의 장으로서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평창패럴림픽 기념관, 평창패럴림픽 백서 발간, 지속가능한 패럴림픽유산위원회, 교육관, 패럴림픽공원 등을 제안한다.
      번역하기

      2018평창동계패럴림픽을 앞두고 패럴림픽 유산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동계패럴림픽의 유산을 고찰하고 외국사례를 분석하여 패럴림픽 정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2018평창동계패럴림픽을 앞두고 패럴림픽 유산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동계패럴림픽의 유산을 고찰하고 외국사례를 분석하여 패럴림픽 정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국제패럴림픽위원회는 패럴림픽 유산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으나 실질적인 유산의 가치 창출에 국제올림픽위원회의 역할에 의존하고 있다. 패럴림픽 유산은 유형과 무형으로 구분되며 도시재건, 경기장 신설 및 증축은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나 국가 자부심, 지역사회 참여의식 등 무형적인 요소는 실체를 확인하기가 어렵다. 또한 유산에 관한 영향은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고 긍정적 요소로 극대화 하는데 있다. 평창동계패럴림픽대회는 5개 경기장에서 개최되며 패럴림픽 가치 창출을 위한 유산의 보존대책이 시급하다. 역대 동계패럴림픽 유산의 유형은 각종 패럴림픽 운동의 긍정적 변화와 동일시되며 이는 평창패럴림픽대회의 벤치마킹 대상이다. 소치동계패럴림픽대회는 국내적으로 장애인 인식의 전환과 접근성 강화를 가져왔으며 소치는 국제적으로 교류의 장으로서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평창패럴림픽 기념관, 평창패럴림픽 백서 발간, 지속가능한 패럴림픽유산위원회, 교육관, 패럴림픽공원 등을 제안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영주, "평창동계올림픽 자원봉사동기, 인정․보상, 연결성, 봉사활동 참가의도와의 관계연구 - 연결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관광학회 41 (41): 191-204, 2017

      2 박기용, "패럴림픽과 2018평창동계올림픽 유산 창출" 2017

      3 신원상, "직전대회 사례분석을 통한2018 평창 동계 패럴림픽 대회 지속가능한 유산 제시" 한국체육과학회 25 (25): 797-815, 2016

      4 오아라, "대학생들의 2018 평창동계패럴림픽 브랜드 지식, 브랜드 태도, 방문의사의 인과관계 분석" 한국특수체육학회 25 (25): 25-40, 2017

      5 김지태, "대중이 지각하는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인식 및 브랜드화 방안" 한국특수체육학회 24 (24): 53-65, 2016

      6 송석록, "경제적 관점에서 본 2018 평창동계패럴림픽대회의 정책방향 연구" 한국특수체육학회 24 (24): 177-185, 2016

      7 Darcy, S., "‘The politics of disability and access : the Sydney 2000 Games experience’" 18 (18): 737-757, 2003

      8 Hughes, A., "Staging the Olympics: the event and its impact" UNSW Press 170-180, 1999

      9 Hodges, C. E. M., "Reframing disability? Media, (dis)empowerment and voice in the London Paralympics" Routledge 2014

      10 2018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 및 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조직위원회, "PyeongChang 2018, POCOG 접근성메뉴얼" 2015

      1 안영주, "평창동계올림픽 자원봉사동기, 인정․보상, 연결성, 봉사활동 참가의도와의 관계연구 - 연결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관광학회 41 (41): 191-204, 2017

      2 박기용, "패럴림픽과 2018평창동계올림픽 유산 창출" 2017

      3 신원상, "직전대회 사례분석을 통한2018 평창 동계 패럴림픽 대회 지속가능한 유산 제시" 한국체육과학회 25 (25): 797-815, 2016

      4 오아라, "대학생들의 2018 평창동계패럴림픽 브랜드 지식, 브랜드 태도, 방문의사의 인과관계 분석" 한국특수체육학회 25 (25): 25-40, 2017

      5 김지태, "대중이 지각하는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 인식 및 브랜드화 방안" 한국특수체육학회 24 (24): 53-65, 2016

      6 송석록, "경제적 관점에서 본 2018 평창동계패럴림픽대회의 정책방향 연구" 한국특수체육학회 24 (24): 177-185, 2016

      7 Darcy, S., "‘The politics of disability and access : the Sydney 2000 Games experience’" 18 (18): 737-757, 2003

      8 Hughes, A., "Staging the Olympics: the event and its impact" UNSW Press 170-180, 1999

      9 Hodges, C. E. M., "Reframing disability? Media, (dis)empowerment and voice in the London Paralympics" Routledge 2014

      10 2018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 및 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조직위원회, "PyeongChang 2018, POCOG 접근성메뉴얼" 2015

      11 Disability Rights UK, "Paralympics legacy:new attitudes survey"

      12 Coates, J. Vickerman, "Paralympic Legacy : Exploring the Impact of the Games on the Perceptions of Young People With Disabilities" 33 (33): 338-357, 2016

      13 Gudrun Doll-Tepper, "Olympic Legacie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after the PyeongChang 2018 Olympic and Paralympic Games" 국제올림픽컨퍼런스위원회 2017

      14 Devine, M. A., "Meaning of disability : Implications for inclusive leisure services for youth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18 (18): 35-52, 2000

      15 Dickson, T. J., "London 2012 Volunteers Motivations & social legacy potencial" 2013

      16 Sok-Rok Song, "Lessons in the tangible and intangible legacy focused on financial disasters in Lake Placie(USA), Lillehammer(Norway), Vancouver(Canad a) and Sochi(Russia) ahead of Pyeong Chang 2018 Olympic Winter Games" 국제올림픽컨퍼런스위원회 2017

      17 HOUSE OF LORDS Select Committee on Olympic and Paralympic Legacy, "Keeping the flame alive: the Olympic and Paralympic Legacy" 2013

      18 Intenational Paralympic Committee, "IPC hosts Paralympic legacy forum in Bonn"

      19 Parliament by the Secretary of State for Culture, Media and Sport by Command of Her Majesty, "GOVERNMENT AND MAYOR OF LONDON RESPONSE TO THE HOUSE OF LORDS SELECT COMMITTEE ON OLYMPIC AND PARALYMPIC LEGACY REPORT OF SESSION 2013-14: ‘KEEPING THE FLAME ALIVE: THE OLYMPIC AND PARALYMPIC LEGACY’"

      20 Bush, A. J., "Disability [sport] and discourse : Stories within the Paralympic legacy" 14 (14): 632-647, 2013

      21 Supercharge ParalympicsGB, "Craven reflects on legacy after 16 years as International Paralympic Committee President"

      22 International Paralympic Committee, "Annual Report 2014" 2014

      23 International Paralympic Committee, "Annual Report 2010" 2010

      24 International Paralympic Committee, "Annual Report 2006" 2006

      25 Weed, M., "A missed opportunity waiting to happen? The social legacy potential of the London 2012 Paralympic Games" 1 (1): 170-174, 2009

      26 오지윤,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동계패럴림픽대회 조직위원회의 조직내 갈등관리" 연세대학교대학원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5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 Korean Society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KCI등재
      2022-02-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 Korean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8 1.31 1.18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