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연령 세대에 따른 정상 성인의 모음 산출 특성: 포먼트 주파수, 모음공간면적, 스펙트럼, 켑스트럼 분석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정상 노년 인구와 의사소통 장애가 있는 노년 인구의 음향음성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우리나라 건강한 성인의 연령에 따른 음성 변화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청년 집단과 노년집단에 대한 표준 음향 데이터를 얻고 두 그룹 간의 음향음성학적 측정치 비교를 목표로 했다. 공개 음성 코퍼스(서울말 낭독체 발화 말뭉치, 버전 2.0)를 활용하여 건강한 성인 20명(청년층 10명, 노년층 10명)의 음성데이터를 선정했다. Praat software를 이용해 모음 샘플(/ㅏ/, /ㅣ/, /ㅜ/)에 대한 F₁, F₂, 모음공간면적, 주파수변동률, 강도변동률, 소음대 배음비, CPP, CPPs를 측정 및 분석하였다. 청년층과 비교했을 때, 노년층은 모음의 F₂가 유의하게 낮았고, 청년층과 노년층 간 F₁, 모음공간면적, 스펙트럼 및 켑스트럼 측정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두 그룹 간 F₂의 유의한 차이는 모음의 음향음성학적 측정치 중 F₂가 노화 음성을 식별하는데 있어 민감한 지표라는 것을 보여준다. F2값이 혀의 전후 움직임과 모음의 원순성을 반영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러한 결과는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조음 동작, 안정성 및 유연성이 감소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정상 노년 인구와 의사소통 장애가 있는 노년 인구의 음향음성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우리나라 건강한 성인의 연령에 따른 음성 변화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

      정상 노년 인구와 의사소통 장애가 있는 노년 인구의 음향음성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우리나라 건강한 성인의 연령에 따른 음성 변화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청년 집단과 노년집단에 대한 표준 음향 데이터를 얻고 두 그룹 간의 음향음성학적 측정치 비교를 목표로 했다. 공개 음성 코퍼스(서울말 낭독체 발화 말뭉치, 버전 2.0)를 활용하여 건강한 성인 20명(청년층 10명, 노년층 10명)의 음성데이터를 선정했다. Praat software를 이용해 모음 샘플(/ㅏ/, /ㅣ/, /ㅜ/)에 대한 F₁, F₂, 모음공간면적, 주파수변동률, 강도변동률, 소음대 배음비, CPP, CPPs를 측정 및 분석하였다. 청년층과 비교했을 때, 노년층은 모음의 F₂가 유의하게 낮았고, 청년층과 노년층 간 F₁, 모음공간면적, 스펙트럼 및 켑스트럼 측정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두 그룹 간 F₂의 유의한 차이는 모음의 음향음성학적 측정치 중 F₂가 노화 음성을 식별하는데 있어 민감한 지표라는 것을 보여준다. F2값이 혀의 전후 움직임과 모음의 원순성을 반영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러한 결과는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조음 동작, 안정성 및 유연성이 감소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though studies on acoustic features of normal ageing population and elderly population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have been conducted, there are insufficient studies on age-related changes of the voice in Korean healthy adults. The current study aimed to obtain normative acoustic data for young and elderly groups and to compare the acoustic parameters between the two groups. We selected the voice data of 20 healthy adults (10 young and 10 elderly adults) by utilizing the open corpus (A Speech Corpus of Reading-Style Standard Korean, version 2.0). The vowel samples(/a/, /i/, /u/) were measured and analyzed for F₁, F₂, vowel space area, jitter, shimmer, NHR, CPP, and CPPs by using Praat software. Compared with the young group, the elderly group had significantly low F₂ in vowels, while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1, vowel space area, spectral and cepstral measures between the young and the elderly groups.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F₂ between the two groups revealed that F₂ was a sensitive index, among vowel acoustic parameters, in identifying the ageing voice. Considering that the F₂ value reflects the anteroposterior movements of the tongue and vowel roundnes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articulatory movement, stability and flexibility decrease as the aging progresses.
      번역하기

      Although studies on acoustic features of normal ageing population and elderly population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have been conducted, there are insufficient studies on age-related changes of the voice in Korean healthy adults. The current study a...

      Although studies on acoustic features of normal ageing population and elderly population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have been conducted, there are insufficient studies on age-related changes of the voice in Korean healthy adults. The current study aimed to obtain normative acoustic data for young and elderly groups and to compare the acoustic parameters between the two groups. We selected the voice data of 20 healthy adults (10 young and 10 elderly adults) by utilizing the open corpus (A Speech Corpus of Reading-Style Standard Korean, version 2.0). The vowel samples(/a/, /i/, /u/) were measured and analyzed for F₁, F₂, vowel space area, jitter, shimmer, NHR, CPP, and CPPs by using Praat software. Compared with the young group, the elderly group had significantly low F₂ in vowels, while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1, vowel space area, spectral and cepstral measures between the young and the elderly groups.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F₂ between the two groups revealed that F₂ was a sensitive index, among vowel acoustic parameters, in identifying the ageing voice. Considering that the F₂ value reflects the anteroposterior movements of the tongue and vowel roundnes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articulatory movement, stability and flexibility decrease as the aging progress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