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 교양 교과의 성격과 준거 = The Nature and Criteria of Liberal Arts Education Cour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131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plores the criteria of general education courses to clarify and solidify the identity of these courses. The study aims to derive the nature of general education courses by examining their formation and historical development, identifying distorting factors, and establishing criteria for them. General education courses have evolved from the liberal arts traditions of ancient Greece and Rome, forming a complex multilayered structure with four intertwining layers: liberal subjects, humanities subjects, general subjects, and core subjects. Originating from the comprehensive development of the liberal arts and shared experiences, general education courses, have possessed distinctive characteristics such as truth-seeking, personality development, universality, and core orientation since their inception.
      To preserve and enhance the essential nature of general education courses, it is crucial to eliminate distortions such as narrow specialization, superficial practicality, frivolous convenience, and overall irresponsibility. Overcoming persistent distortions and restoring the fundamental nature of general education courses requires establishing criteria. The starting point for this is acknowledging the premise that there are certain courses suitable for general education. General education courses demonstrate their suitability through educational, purposive, civilizational, academic, and objective criteria. These courses serve as dynamic complexes that internalize universal human values while shaping one's unique personality.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the authenticity of education must strive to create genuinely characteristic general education courses.
      번역하기

      This article explores the criteria of general education courses to clarify and solidify the identity of these courses. The study aims to derive the nature of general education courses by examining their formation and historical development, identifyin...

      This article explores the criteria of general education courses to clarify and solidify the identity of these courses. The study aims to derive the nature of general education courses by examining their formation and historical development, identifying distorting factors, and establishing criteria for them. General education courses have evolved from the liberal arts traditions of ancient Greece and Rome, forming a complex multilayered structure with four intertwining layers: liberal subjects, humanities subjects, general subjects, and core subjects. Originating from the comprehensive development of the liberal arts and shared experiences, general education courses, have possessed distinctive characteristics such as truth-seeking, personality development, universality, and core orientation since their inception.
      To preserve and enhance the essential nature of general education courses, it is crucial to eliminate distortions such as narrow specialization, superficial practicality, frivolous convenience, and overall irresponsibility. Overcoming persistent distortions and restoring the fundamental nature of general education courses requires establishing criteria. The starting point for this is acknowledging the premise that there are certain courses suitable for general education. General education courses demonstrate their suitability through educational, purposive, civilizational, academic, and objective criteria. These courses serve as dynamic complexes that internalize universal human values while shaping one's unique personality.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the authenticity of education must strive to create genuinely characteristic general education cours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교양교과의 준거를 탐구하여 교양교과의 정체성을 명료화, 공고화하기 위한 연구이다. 교양교과의 형성과 역사적 전개를 고찰하여 교양교과의 성격을 도출하고, 왜곡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교양교과의 준거를 정립하고자 하였다. 교양교과는 고대 그리스, 로마의 자유학예의 전통에서 비롯되어 자유교과, 인문교과, 일반교과 그리고 중핵교과가 4중 얽힘의 다중 나선적 중층구조를 형성하면서 오늘날에 이르고있다. 자유학예의 통시적 전개와 공시적 경험을 통하여 다양하게 변용되어 온 교양교과는 진리지향성, 인격지향성, 보편지향성 그리고 핵심지향성이라는 고유의 성격을 갖는다. 교양교과의 본질적 성격을 고양하고 선양하기 위해서는 교양교과를 왜곡하는 분과적 전공성, 표피적 실용성, 불합리적 편의성, 총체적 무책임성부터 혁파해야 한다. 교양교과에 대한 고질적인 왜곡을 극복하고 본질적인 성격을 복원하기 위해서는 교양교과의 준거를 정립해야 한다. 교양교과 준거 정립의 출발점은 ‘교양교육에적합한 교과가 있다’는 전제를 인정하는 것이다. 교양교과는 교육적, 목적적, 문명적, 학술적, 대상적 준거를 통하여 그 적합성을 입증한다. 교양교과는 인류 보편의 가치를 내면화하면서 자기 고유의 인격을 형성하는 역동적 복합체이다. 디지털 전환의 시대, 교육적 진정성이 교양교과다운 교양교과를 만든다.
      번역하기

      이 글은 교양교과의 준거를 탐구하여 교양교과의 정체성을 명료화, 공고화하기 위한 연구이다. 교양교과의 형성과 역사적 전개를 고찰하여 교양교과의 성격을 도출하고, 왜곡 요인을 규명...

      이 글은 교양교과의 준거를 탐구하여 교양교과의 정체성을 명료화, 공고화하기 위한 연구이다. 교양교과의 형성과 역사적 전개를 고찰하여 교양교과의 성격을 도출하고, 왜곡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교양교과의 준거를 정립하고자 하였다. 교양교과는 고대 그리스, 로마의 자유학예의 전통에서 비롯되어 자유교과, 인문교과, 일반교과 그리고 중핵교과가 4중 얽힘의 다중 나선적 중층구조를 형성하면서 오늘날에 이르고있다. 자유학예의 통시적 전개와 공시적 경험을 통하여 다양하게 변용되어 온 교양교과는 진리지향성, 인격지향성, 보편지향성 그리고 핵심지향성이라는 고유의 성격을 갖는다. 교양교과의 본질적 성격을 고양하고 선양하기 위해서는 교양교과를 왜곡하는 분과적 전공성, 표피적 실용성, 불합리적 편의성, 총체적 무책임성부터 혁파해야 한다. 교양교과에 대한 고질적인 왜곡을 극복하고 본질적인 성격을 복원하기 위해서는 교양교과의 준거를 정립해야 한다. 교양교과 준거 정립의 출발점은 ‘교양교육에적합한 교과가 있다’는 전제를 인정하는 것이다. 교양교과는 교육적, 목적적, 문명적, 학술적, 대상적 준거를 통하여 그 적합성을 입증한다. 교양교과는 인류 보편의 가치를 내면화하면서 자기 고유의 인격을 형성하는 역동적 복합체이다. 디지털 전환의 시대, 교육적 진정성이 교양교과다운 교양교과를 만든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승찬, "학문간의 연계성 ―중세 대학의 학문분류와교과과정에 대한 고찰―" 한국철학회 74 : 53-78, 2003

      2 이기라, "프랑스 교양교육의 역사와 이념: 인문교양에서 시민교육으로" 한국교육개발원 42 (42): 5-28, 2015

      3 한철희, "중세 고등교육 교과로서의 Liberal Arts의 변동 연구"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35) : 169-198, 2012

      4 한기철, "자유교과의 형성과 전개: 고중세적 맥락에서" 한국교육사상학회 31 (31): 159-183, 2017

      5 안재원, "인문학(humanitas)의 학적 체계화 시도와 이에 대한 비판에 대해서: ars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서양고전학회 (39) : 91-127, 2010

      6 손승남, "인문교양교육의 원형과 변용" 교육과학사 2011

      7 한수영, "인문교양교육의 서구적 전통과 변용 -12세기 <철학의 여왕과 리버럴아츠 7과목> 도상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11-22, 2020

      8 백승수, "역량기반 교양교육의 교수학적 고찰" 한국교양교육학회 16 (16): 49-62, 2022

      9 최미리, "미국대학과 한국대학의 교양교육 비교" 양서원 2001

      10 Jaspers, K., "대학의 이념" 학지사 1997

      1 박승찬, "학문간의 연계성 ―중세 대학의 학문분류와교과과정에 대한 고찰―" 한국철학회 74 : 53-78, 2003

      2 이기라, "프랑스 교양교육의 역사와 이념: 인문교양에서 시민교육으로" 한국교육개발원 42 (42): 5-28, 2015

      3 한철희, "중세 고등교육 교과로서의 Liberal Arts의 변동 연구"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35) : 169-198, 2012

      4 한기철, "자유교과의 형성과 전개: 고중세적 맥락에서" 한국교육사상학회 31 (31): 159-183, 2017

      5 안재원, "인문학(humanitas)의 학적 체계화 시도와 이에 대한 비판에 대해서: ars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서양고전학회 (39) : 91-127, 2010

      6 손승남, "인문교양교육의 원형과 변용" 교육과학사 2011

      7 한수영, "인문교양교육의 서구적 전통과 변용 -12세기 <철학의 여왕과 리버럴아츠 7과목> 도상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11-22, 2020

      8 백승수, "역량기반 교양교육의 교수학적 고찰" 한국교양교육학회 16 (16): 49-62, 2022

      9 최미리, "미국대학과 한국대학의 교양교육 비교" 양서원 2001

      10 Jaspers, K., "대학의 이념" 학지사 1997

      11 이석우, "대학의 역사" 한길사 1998

      12 한국교양기초교육원, "대학 교양기초교육의 표준 모델"

      13 김대현, "교육과정의 이해" 학지사 2017

      14 백승수, "교양교육의 학문적 관계망 또는 학문적 지도 구축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11-23, 2020

      15 백승수, "교양교육의 지평: 쟁점과 과제" 양서원 2020

      16 정연교, "교양교육의 위상 및 교육과정-학사구조 선진화 방안" 한국교양기초교육원 2012

      17 송성수, "고중세 유럽의 교양교육에 관한 역사적 고찰-자유학예의 형성과 진화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6 (16): 45-58, 2022

      18 Rosovsky, H., "The university: An owner's manual" WW Norton & Co 1991

      19 Hirst, P. H., "The logic of education" Routledge & Kegan Paul 1970

      20 Whitehead, "The aims of education and others essays" McMillan Co 1929

      21 Harvard University Faculty of Arts and Science, "Report of the task force on general education" 2007

      22 Hirst, P. H., "Philosophical analysis and education" Routledge & Kegan Paul 1965

      23 Zakaria, F., "In defense of a liberal education" WW. Norton and Co 2015

      24 Harvard Committee, "General education in a free society : Report on the harvard committee" Harvard University Press 1945

      25 Dewey, J., "Experience and education" The Macmillan Company 1938

      26 Peters, R. S., "Ethics and education" George Allen and Unwin 1966

      27 Dewey, J., "Democracy and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education" Macmillan 1916

      28 Tyler, R.,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49

      29 Leff, G., "A History of the University in Europe, 1" 307-358, 199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