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송 국제 K-뷰티스쿨 운영방안 A Study for Osong International K-Beauty School Operation Plan 이 연구는 『오송 국제 K-뷰티스쿨』 운영 기본계획 수립 및 운영주체 선정을 위한 기준을 제시하기 위함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오송 국제 K-뷰티스쿨 운영방안 A Study for Osong International K-Beauty School Operation Plan 이 연구는 『오송 국제 K-뷰티스쿨』 운영 기본계획 수립 및 운영주체 선정을 위한 기준을 제시하기 위함을...
오송 국제 K-뷰티스쿨 운영방안
A Study for Osong International K-Beauty School Operation Plan
이 연구는 『오송 국제 K-뷰티스쿨』 운영 기본계획 수립 및 운영주체 선정을 위한 기준을 제시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선행한 관련 연구문헌에 대한 조사 및 사례조사, 그리고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위원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FGI) 및 간담회 등의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오송 국제 K-뷰티스쿨 명칭 제안
국제 교육기관의 정체성을 드러낼 수 있는 명칭을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첫째, 국제적 수준의 뷰티교육기관의 정체성을 반영할 수 있는 명칭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이 연구에서는 K-BEAUTY INSTITUTE of ECHNOLOGY (KBIT), K-BEAUTY ACADEMY (KBA), K-BEAUTY INTERNATIONAL INSTITUTE (KBII), K-BEAUTY CAMPUS (KBC) 등을 제시하였다. 둘째, 명칭에 ‘오송(Osong)’이라는 지명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즉, 위에 제시한 명칭의 앞에 ‘오송(Osong)’이 포함되게 함으로써 바이오·제약·화장품·뷰티의 중심지(mecca)로 포지셔닝(positioning) 되어 있는 지역 정체성(identity)에 대한 승수 효과를 거두게 할 필요가 있다.
2. 오송 국제 K-뷰티스쿨 운영주체 선정
운영주체가 될 수 있는 대상을 공공기관, 대학 및 비영리 법인 등으로 하여 그 장단점과 적합성 여부 등을 분석하였다. 첫째, 교육을 위한 인프라 구축, 뷰티산업과의 연계성,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와의 협력 정도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여야 하며, 분석 결과에 따라 수탁 운영 후보 기관 으로 오송바이오진흥재단, 충북테크노파크,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한국보건산업 진흥원 (가나다순) 등을 추천한다. 둘째, 대학 및 비영리 법인을 대상으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3. 오송 국제 K-뷰티스쿨 운영 기본 방향 제시
첫째, 교육영역을 뷰티서비스, 즉 헤어미용, 피부미용, 네일미용, 메이크업미용으로 하여야 한다. 둘째, 교육대상자는 해외에서 유치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공적개발원조(ODA)와 연계할 필요가 있으며, 내국인을 포함하여야 한다. 셋째, 인재양성 유형 및 교육목표, 운영관련 각종 규정 구성 방안에 따라 교육기관으로서 필요한 체제를 구축하여야 한다. 넷째, 운영목표와 연차별 로드맵 구성 방안, 학칙제정안을 제시하였으며, 이에 따라 운영목표를 설정하여야 하고, 학칙을 제정하여야 한다. 다섯째, 운영에 필요한 조례를 제정할 필요가 있다. K-뷰티 스쿨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사항은 필요한 경우 법령의 제정 및 개정을 통해 규범을 마련하여야 하며, 충청북도 차원의 조례 및 규칙으로 관련 규범을 제정 또는 정비하여야 한다.
4. 운영조직 및 예산 구성 제시
첫째, 운영조직을 원장과 경영실, 교육실, 이사회와 운영위원회, 그리고 감사팀을 두게 하였다. 둘째, 각 부서의 역할 및 인력구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인력구성 방안의 경우 모두 3개의 안 중 가장 적합한 안을 선택하여야 한다. 셋째, 예산구성은, 인건비 및 연봉, 기관손익으로 구분하였으며, 각각 인력구성 방안에서 구분하여 제시한 3개의 안에 대칭하여 제시함으로써 유연한 선택이 가능하게 하였다. 넷째, 각 시설별 수익모델을 제시하였다. 시설별 활용 콘텐츠와 그에 소요되는 비용 및 예상 수익을 분석하였으며, 향후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여야 한다.
5. 교육운영방안 구성 제시
첫째, 교육과정 교과목을 전공일반 교과목, 헤어미용 교과목, 피부미용 실기편 교과목, 네일미용 교육 교과목, 메이크업 교육 교과목 등으로 분야별 교과목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K-뷰티스쿨이 교육과정에 적용하여야 한다. 둘째,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강사 풀을 각 분야별로 구분하여 제시함으로써 활용가능하게 하였다. 셋째, 해외 미용교육 마켓 현황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특히 중국과 동남아지역 에 K-뷰티 전파를 성공하게 할 방안을 마련하여 제시하였다.
6. 시설배치 계획 구상 제시
첫째, 시설배치 층별계획을 구상하여 제시하였다. 각 시설별로 효과성(effectiveness) 및 효율성(efficiency) 뿐만 아니라 매력성(appeal)까지 고려하여 배치하여야 한다. 둘째, 시설의 각 부분별 교육시설과 활용방안 등에 관한 사항을 창업관과 하이브리드 교육장, 헤어미용 교육장, 피부미용 교육장, 네일미용 교육장, 메이크업미용 교육장, 그리고 기숙사 및 편의 시설로 구분하여 제시함으로써 활용도를 제고할 수 있게 하였다.
7. K-뷰티 연구개발의 필요성과 주제 제시
첫째, 교육성과의 활용 확산 및 K-뷰티 콘텐츠의 수출을 위한 연구개발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연구개발 주제를 자격증 분야, K-뷰티 확산분야, 콘텐츠 개발 분야로 구분하였다. K-뷰티 스쿨에서의 교육성과에 대하여 자격을 부여할 수 있도록 과정형 자격으로 제도화 할 필요가 있으며, 국제적 수준의 자격증이 되게 하여야 한다. 셋째, 각 분야별 연구주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주제의 연구에 대해 정부 지원을 이끌어낼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넷째, 향후 연구주제는 뷰티교육의 기반을 조성하는 차원뿐만 아니라, 뷰티산업의 환경을 고양할 수 있는 차원까지 그 범주를 확산할 필요가 있다.
8. 참고자료 제시
K-뷰티스쿨 설치 및 운영에 필요한 사항 중 보충적 자료를 참고자료로 제시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