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90년대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확산과 김영하 초기소설의 관련양상에 대하여 = 폴 비릴리오의 질주학적 사유에 주목하며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우리시대의 가장 독창적인 기술정치 비평가 중 하나인 폴 비릴리오의 질주학적 사유를 통해 김영하의 초기 세 편의 소설(「피뢰침」, 「전태일과 쇼걸」, 「보물선」)에 나타난 디...

      이 글은 우리시대의 가장 독창적인 기술정치 비평가 중 하나인 폴 비릴리오의 질주학적 사유를 통해 김영하의 초기 세 편의 소설(「피뢰침」, 「전태일과 쇼걸」, 「보물선」)에 나타난 디지털 테크놀로지시대의 신체상황성 재현양상을 조망하는 시도이다.
      질주학적 사유는 테크놀로지 발전에 따른 ‘진보’의 경험을 역사적 분절로 지각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속도를 높여 연속되는 질주의 강도(强度)로 이해하는 관점이다. 이는 공식적인 시간관 혹은 의식화를 경유한 역사 단위로는 지각될 수 없는, 테크놀로지의 혁신적인 질주강도에 실시간으로 적응하여 이를 수행하는 개별신체에 주목한다. 인간이 지각하고 영향을 행사하는 모든 현상 중에서 테크놀로지만큼 인간행위가 절대적인 상수인 개념은 없다. 현대사회 테크놀로지 문화에 대한 특유의 비관적인 관점 때문에 그 의의가 분명하게 강조되진 않지만, 비릴리오의 질주학적 사유는 테크놀로지 시대의 혁신적인 속도의 역학을 지속시키는 게 인간의 신체적인 수행역량임을 분명히 한다. 이는 기존의 ‘1990년대 문학’ 담론으로는 말해진 적 없던, 김영하 초기소설에 두드러졌던 디지털 시대 새로운 신체감각의 소설적 재현양상을 조망하기 위한 유의미한 관점임이 분명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n attempt to identify bodily situatedness of the digital technology era that is represented in Kim Young-ha’s early three novels through Paul Virilio’s Dromological view. This view is not to perceive the “progress” of technol...

      This paper is an attempt to identify bodily situatedness of the digital technology era that is represented in Kim Young-ha’s early three novels through Paul Virilio’s Dromological view.
      This view is not to perceive the “progress” of technology development as historical division, but to understand that it is the continuous intensity by increasing technological speed. It focuses on the performativity of individual bodies, the continuous unit of human experience associated with progressive technology, that adapt in real time to the innovative speed of new technology which cannot be perceived by conventional historical view via official time perspectives or through politically consciousness raising. Indeed, among all the phenomena that human perceive and influence, Technology is one of the most absolutely implicit concepts of human behavior. Virilio’s idea is not directly revealed by his unique pessimistic view of modern society’s technology culture. But closer look at his ideas makes it clear that the human physical bodily action is sustained in the innovative speed dynamics that are caused by the spread of progressive technology. This is obviously a meaningful view to research on the fictional representations of new bodily sense in the digital age, which have never been mentioned in the discourses of Korean literature in the 1990s, especially Kim Young-ha’s several early nove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인터넷 동호회 혹은 질주광적 신체상황성
      • 3. 의식화와 기억부재증
      • 4. 공공영역의 자본주의적 질주광들
      • [국문초록]
      • 1. 서론
      • 2. 인터넷 동호회 혹은 질주광적 신체상황성
      • 3. 의식화와 기억부재증
      • 4. 공공영역의 자본주의적 질주광들
      • 5. 결언
      • Abstract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