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랑선비 청정각시>는 죽은 자의 넋을 인도하는 신의 내력을 설명하는 함경도 지역의 무속신화이다. 저승천도를 담당하는 신격으로는 <바리공주>가 잘 알려져 있지만 함경도에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105401
201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05-137(33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도랑선비 청정각시>는 죽은 자의 넋을 인도하는 신의 내력을 설명하는 함경도 지역의 무속신화이다. 저승천도를 담당하는 신격으로는 <바리공주>가 잘 알려져 있지만 함경도에서 &...
<도랑선비 청정각시>는 죽은 자의 넋을 인도하는 신의 내력을 설명하는 함경도 지역의 무속신화이다. 저승천도를 담당하는 신격으로는 <바리공주>가 잘 알려져 있지만 함경도에서 <바리공주>는 구약여행 과정에서 주체성 없는 태도를 보이고 부정한 방법을 사용하여 그 벌로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당연히 신격 또한 갖지 못하는데 그 자리를 차지하는 것이 청정각시이다. 청정각시는 남편의 갑작스러운 죽음 앞에서 좌절하지 않고 불굴의 의지로 여러 가지 과제를 모두 수행하여 하늘을 감동시키고 신으로 좌정할 수 있게 된다. 죽은 남편과 재회하여 온전한 부부관계를 지속하기까지 청정각시가 보여준 초인적인 희생과 인내는 인간에서 신으로 자질 변화를 이루어내고 있다. 문학치료적 관점에서 <도랑선비 청정각시>는 부부관계를 진단하고 치료하는 데 있어 유용한 텍스트라고 할 수 있다. 부부서사의 위기는 관계의 지속에 대한 위기라고 할 수 있겠는데 청정각시는 남편의 죽음이라는 관계의 단절 위기에서 불굴의 의지를 발휘하여 남편과의 만남을 이루어내고 부부서사를 지속할 수 있게 된다. 부부서사를 지속하기 위한 청정각시의 인내와 끊임없는 노력, 그리고 그로 인해 나타나는 부부관계의 회복이라는 긍정적인 결말은 부부관계의 위기에 있는 치료 대상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도랑선비 청정각시>를 감상하면서 획득된 건강한 부부서사는 치료 대상자가 기존에 지니고 있던 자기서사를 보충, 강화하고 궁극적으로는 통합 단계를 거쳐 안정적으로 지속 가능한 부부관계를 이룩하도록 자기서사를 변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literal work < Dorang Scholar and Chungjeong Wife >, Chungjeong wife faces her husband`s sudden death. Death is the cause cutting human relation never to be overcome by humans. However, Chungjeong wife does not accept her misfortune as a ...
In the literal work < Dorang Scholar and Chungjeong Wife >, Chungjeong wife faces her husband`s sudden death. Death is the cause cutting human relation never to be overcome by humans. However, Chungjeong wife does not accept her misfortune as a fate, and actively leads her for changes in her life. < Dorang Scholr and Chungjeong Wife > is a useful text to solve the conflicts between husband and wife. In a married couple`s epic, `continuation` is the core in the epic. Chungjeong wife`s solution patter changing the severance of couple relationship into the continuation is valuable in literary therapy. Chungjeong wife discovers some possibilities even in an overwhelming situation of death, and meets her dead husband, resulting in continuing their relationship as a married couple. < Dorang Scholar and Chungjeong Wife > reveals that a spouse`s understanding and efforts to understand her/his spouse will continue a stable relationship between husband and wife.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헌선, "함경도 무속서사시 연구 - <도랑선배ㆍ청정각시노래>를 중심으로-" 한국구비문학회 8 : 1999
2 손진태, "조선신가유편" 향토연구사 1930
3 정운채, "자기서사진단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서사척도"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4 (14): 213-242, 2007
4 정운채, "자기서사의 변화 과정과 공감 및 감동의 원리로서의 서사의 공명" 한국문학치료학회 25 : 361-381, 2012
5 정운채, "인간관계의 발달 과정에 따른 기초서사의 네영역과 <구운몽>분석시론" 한국문학치료학회 3 : 7-36, 2005
6 노영근, "이야기문학에 나타난 '가족탐색' 연구" 국민대학교 2001
7 조현설, "여신의 서사와 주체의 생산" 민족문학사학회ㆍ민족문학사연구소 18 : 2001
8 강인, "여성의 배우자 사별 스트레스 적응 과정에서 개인 내적 요인들의중재적역할" 대한가정학회 36 (36): 1998
9 서영숙, "서사무가 <도랑선비 청정각시>와 혼사장애형 민요 비교" 한국고시가문학회 8 : 2001
10 정운채, "부부서사진단도구를 위한 구비설화와 부부서사의 진단 요소"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5) : 191-244, 2008
1 김헌선, "함경도 무속서사시 연구 - <도랑선배ㆍ청정각시노래>를 중심으로-" 한국구비문학회 8 : 1999
2 손진태, "조선신가유편" 향토연구사 1930
3 정운채, "자기서사진단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서사척도"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4 (14): 213-242, 2007
4 정운채, "자기서사의 변화 과정과 공감 및 감동의 원리로서의 서사의 공명" 한국문학치료학회 25 : 361-381, 2012
5 정운채, "인간관계의 발달 과정에 따른 기초서사의 네영역과 <구운몽>분석시론" 한국문학치료학회 3 : 7-36, 2005
6 노영근, "이야기문학에 나타난 '가족탐색' 연구" 국민대학교 2001
7 조현설, "여신의 서사와 주체의 생산" 민족문학사학회ㆍ민족문학사연구소 18 : 2001
8 강인, "여성의 배우자 사별 스트레스 적응 과정에서 개인 내적 요인들의중재적역할" 대한가정학회 36 (36): 1998
9 서영숙, "서사무가 <도랑선비 청정각시>와 혼사장애형 민요 비교" 한국고시가문학회 8 : 2001
10 정운채, "부부서사진단도구를 위한 구비설화와 부부서사의 진단 요소"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5) : 191-244, 2008
11 정운채,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 한국문학치료학회 9 : 247-278, 2008
12 정운채, "리몬케넌의 서사이론과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 한국문학치료학회 18 : 273-289, 2011
13 김순남, "남녀의 이혼 서사를 통해 본 친밀성과 젠더" 한국여성연구원 27 (27): 155-192, 2010
14 이봉희, "나를 찾으려면 낯선 사람을 찾아가라-문학치료와 탐구여정 : {오즈의 마법사}"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14) : 359-381, 2004
15 정제호, "관북지역 <바리공주>의 '죽음'에 대한 고찰" 한국무속학회 (25) : 7-42, 2012
16 정운채, "<처용가>와 <도량 넓은 남편>의 관련 양상 및 그 문학치료적 의의"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2) : 213-232, 2006
17 이지영, "<창선감의록>의 개작을 통해 본 소설읽기와 필사의 위안 효과" 한국문학치료학회 8 : 51-77, 2008
18 김정애, "<나무꾼과 선녀>의 결말 양상에 대한 문학치료적 해석의 의의" 한국문학치료학회 23 : 227-256, 2012
19 김정희, "'배우자밀치기서사'의 문제 해결을 위한 문학치료프로그램 : 부부관계의 지속과 단절을 다룬 작품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TV드라마 <내 딸 서영이> : 결연구조와 사랑의 스펙트럼 - `겹사돈 구조에서 전환하는 삼각혼 구조`의 창출을 중심으로 -
조선시대 성시(城市)관련 시·화(詩·畵)의 지향과 <한양가>의 차별성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8 | 0.48 | 0.5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 | 0.61 | 1.231 | 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