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정론과 인간의 자유를 대립시키는 것은 철학사와 신학사에 있어서 널리 퍼져 있는 일반적인 관점이다. 신학적 논의의 맥락에서 보자면, 이러한 결정론과 자유 사이의 대립은 피조물에 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38705
-
2013년
Korean
칸트 ; freedom ; God ; radical evil ; self determination ; autonomy ; Schelling ; Kant ; determinism ; World ; free will ; 셸링 ; 자유와 결정론 ; 근본악 ; 정신으로서의 신 ; 자기계시로서의 창조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결정론과 인간의 자유를 대립시키는 것은 철학사와 신학사에 있어서 널리 퍼져 있는 일반적인 관점이다. 신학적 논의의 맥락에서 보자면, 이러한 결정론과 자유 사이의 대립은 피조물에 대...
결정론과 인간의 자유를 대립시키는 것은 철학사와 신학사에 있어서 널리 퍼져 있는 일반적인 관점이다.
신학적 논의의 맥락에서 보자면, 이러한 결정론과 자유 사이의 대립은 피조물에 대한 신의 주권적 자유를 강조하려는 동기에서 비롯되었다. 창조자로서의 신이 세계 안의 모든 현실을 결정한다면, 피조물을 위한 자유란 있을 수 없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져 왔다; 철학적 논의 속에서 보자면, 근대 유럽철학에서 인간의 자유를 강조하기 시작한 이후 이는 새로운 형태의 대립구조를 초래하였는데, 자유로운 인간의 정신과 인과율적으로 결정된 자연법칙을 대립시키는 것이 그것이다. 하지만, 이런 사고 방식의 근본동기가 무엇이었건 간에 관계 없이, 이러한 대립화의 시도들은 모두가 그 근본동기와는 배치되는 모순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만다. 신의 자유와 신의 결정을 통한 인간의 운명화, 인간의 자유와 결정론적 세계라는 이원론적, 대립적 사고 구조는 결코 그것이 의도하는 신의 자유와 인간의 자유를 드러내지 못하고, 거꾸로 신과 인간의 자유를 부인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만다.
본연구에서는 상기한 신학적, 철학적 논의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칸트와 셸링의 근본악 개념을 탐구함으로써, 이러한 모순적 상황을 해결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근본악 개념이 칸트와 셸링 각자의 철학 체계 안에서 가지는 기능이 무엇인지를 비교하였고, 이를 통해 드러나는 셸링의 자유개념은 칸트로 대변되는 근대철학의 자유개념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될 수 있음을 밝혔다. 셸링은, 순수이성의 철저한 '자기규정'으로서의 칸트의 자기개념을 수용하면서도, 이를 비판적으로 발전시킴으로써, 인간의 자유가 지니는 본래적 '피규정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그에 의하면, 인간의 자유란 어디까지나 '자기계시'로서의 신의 기나긴 창조의 과정과, 이 가운데 지속적으로 작용하는 자연을 통해 구성되어진다. 인간의 존재론적 구조 가운데 내재하는 이성과 비이성, 정신과 자연의 통일적 원리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할 때에야 비로소 인간은 칸트의 형식적 자유개념을 넘어서서 , 서로 다른 원리들의 통일성으로서의 사랑이라는 자유의 근거와 목적을 파악하게 된다. 이러한 이해만이 자연인과율과 인간의 자유에 대한 대립적인 이해가 여전히 작용하면서 인간의 자유를 부인하는 현대의 철학적, 자연과학적 환원주의의 위협 앞에서 인간의 자유를 논할 수 있게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tagonization of determinism and human freedom is a widespread, commonly accepted view point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and of theology. In theological dialogues, the antagonization of determinism and human freedom was dealt in the context of empha...
Antagonization of determinism and human freedom is a widespread, commonly accepted view point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and of theology. In theological dialogues, the antagonization of determinism and human freedom was dealt in the context of emphasizing the sovereign freedom of God over the creature. It is commonly acknowledged that there might be no room for the freedom of creature, when God as Creator determines every reality in the world; and in philosophical discussion, the accentuation of human freedom in modern European philosophy leads to the new form of antagonization, namely the opposition of human spirit against the causal determined natural law. However, these ways of thinking, whatever the basic motive of it were, give rise to contradictory result which is discordant to the main motive of the antagonization: Based on the opposition of Divine freedom and human destiny through Divine determination, and based on the opposition of human freedom and natural determination, neither the Divine freedom nor the human freedom can be conceived, as the contemporary philosophical dispute on the human freedom and determinism shows.
Regarding to the theological and the philosophical argumentation depicted, this article aims to solve the problem of opposition of freedom and de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