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water chemistry on biologically mediated flocculation in the aquatic environment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생체고분자물질은 수자원환경에서 점토, 미생물, 바이오매스 등 부유입자들을 응집시키고, 침전, 퇴적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다양한 수질화학 조건이 생체고분자물질에 의한 부유입자 응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수질화학 조건을 제어하여 응집실험을 수행하였다. 각 응집실험은 이온강도, 2가 양이온 농도, 휴믹물질 분율이 제어된 실험조건에서 Kaolinite 현탄액에 생체고분자물질인 Xanthan Gum을 주입하여 수행하였다. 수체가 가지는 응집능은 응집체 크기 및 잔류 고형물 농도를 측정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온강도 증가는 점토입자 및 생체고분자물질 간 정전기적 반발력을 감소시키고 생체고분자물질이 점토 입자 간 가교를 형성하여 응집을 증대시킨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온강도가 0.001에서 0.1 M NaCl로 증대될 경우, 응집을 증진시켜 응집체 크기는 약 3배 이상 증 대되고 부유고형물농도는 약 2.5배 이상 저감되었다. 또한, 2가 양이온이 수체에 존재하는 경우, 점토입자-생체고분자물질 혹은 생체고분자물질 상호 간 가교를 형성하여, 즉 점토-Ca2+-고분자 또는 고분자-Ca2+-고분자 가교를 형성하여, 생체고분자물질에 의한 부유입자 응집을 증대시켰다. 수체에 Ca2+가 낮은 농도라도 존재 할 경우, 응집을 크게 증진시켜 부유고형물농도가 원주입농도에 비하여 20배 이상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휴믹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점토입자 표면에 흡착되어 점토입자의 정전기적 반발력을 증대시켜 생체고분자물질의 흡착을 방해하고 응집을 감소시켰다. 수체에 휴믹물질이 존재할 경우, 응집을 저감시켜 부유고형물농도는 저감되지 않고 원 주입농도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수자원환경에서 부유입자 및 퇴적물 거동을 이해하고 수질 및 퇴적물에 대한 최적 관리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번역하기

      생체고분자물질은 수자원환경에서 점토, 미생물, 바이오매스 등 부유입자들을 응집시키고, 침전, 퇴적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다양한 수질화학 조건이 생체고분자물질에 의한 부유...

      생체고분자물질은 수자원환경에서 점토, 미생물, 바이오매스 등 부유입자들을 응집시키고, 침전, 퇴적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다양한 수질화학 조건이 생체고분자물질에 의한 부유입자 응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수질화학 조건을 제어하여 응집실험을 수행하였다. 각 응집실험은 이온강도, 2가 양이온 농도, 휴믹물질 분율이 제어된 실험조건에서 Kaolinite 현탄액에 생체고분자물질인 Xanthan Gum을 주입하여 수행하였다. 수체가 가지는 응집능은 응집체 크기 및 잔류 고형물 농도를 측정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온강도 증가는 점토입자 및 생체고분자물질 간 정전기적 반발력을 감소시키고 생체고분자물질이 점토 입자 간 가교를 형성하여 응집을 증대시킨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온강도가 0.001에서 0.1 M NaCl로 증대될 경우, 응집을 증진시켜 응집체 크기는 약 3배 이상 증 대되고 부유고형물농도는 약 2.5배 이상 저감되었다. 또한, 2가 양이온이 수체에 존재하는 경우, 점토입자-생체고분자물질 혹은 생체고분자물질 상호 간 가교를 형성하여, 즉 점토-Ca2+-고분자 또는 고분자-Ca2+-고분자 가교를 형성하여, 생체고분자물질에 의한 부유입자 응집을 증대시켰다. 수체에 Ca2+가 낮은 농도라도 존재 할 경우, 응집을 크게 증진시켜 부유고형물농도가 원주입농도에 비하여 20배 이상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휴믹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점토입자 표면에 흡착되어 점토입자의 정전기적 반발력을 증대시켜 생체고분자물질의 흡착을 방해하고 응집을 감소시켰다. 수체에 휴믹물질이 존재할 경우, 응집을 저감시켜 부유고형물농도는 저감되지 않고 원 주입농도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수자원환경에서 부유입자 및 퇴적물 거동을 이해하고 수질 및 퇴적물에 대한 최적 관리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s (EPS) in the water environment assemble fine, colloidal particles, such as clays, microorganisms and biomass, in large flocs, which are eventually subject to sedimentation and deposition and determine water/sediment quality and quantity. This study hence aimed to investigate the way that water and colloidal chemistry affects EPS-mediated flocculation of colloidal particles, using a jar-test experiment. Especially, ionic strength, divalent cation and humic substances concentrations were selected as experimental variables in the jar-test experiments, to elucidate their effects on EPS-mediated flocculation. A higher ionic strength increased flocculation capability, reducing electrostatic repulsion between EPS-attached colloidal particles and enhancing particle aggregation. 0.1 M NaCl ionic strength had higher flocculation capability, with 3 times larger floc size and 2.5 times lower suspended solid concentration, than 0.001 M NaCl. Divalent cations, such as Ca2+, built divalent cationic bridges between colloidal particles and EPS (i.e., colloid-Ca2+-EPS or EPS-Ca2+-EPS) and hence made colloidal particles to build into large, settelable flocs. A small Ca2+ concentration enhanced flocculation capability, reducing suspended solid concentration 20 times lower than the initial dosed concentration. However, humic substances, adsorbed on colloidal particles, reduced flocculation, because they blocked EPS adsorption on colloidal particles and increased negative charges and electrostatic repulsion of colloidal particles. Suspended solid concentration in the tests with humic substances remained as high as the initial dosed concentration, indicating stabilization rather than flocculation. Findings about EPS-mediated flocculation in this research will be used for better understanding the fate and transport of colloidal particles in the water environment and for developing the best management practices for water/sediment quality.
      번역하기

      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s (EPS) in the water environment assemble fine, colloidal particles, such as clays, microorganisms and biomass, in large flocs, which are eventually subject to sedimentation and deposition and determine water/sediment ...

      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s (EPS) in the water environment assemble fine, colloidal particles, such as clays, microorganisms and biomass, in large flocs, which are eventually subject to sedimentation and deposition and determine water/sediment quality and quantity. This study hence aimed to investigate the way that water and colloidal chemistry affects EPS-mediated flocculation of colloidal particles, using a jar-test experiment. Especially, ionic strength, divalent cation and humic substances concentrations were selected as experimental variables in the jar-test experiments, to elucidate their effects on EPS-mediated flocculation. A higher ionic strength increased flocculation capability, reducing electrostatic repulsion between EPS-attached colloidal particles and enhancing particle aggregation. 0.1 M NaCl ionic strength had higher flocculation capability, with 3 times larger floc size and 2.5 times lower suspended solid concentration, than 0.001 M NaCl. Divalent cations, such as Ca2+, built divalent cationic bridges between colloidal particles and EPS (i.e., colloid-Ca2+-EPS or EPS-Ca2+-EPS) and hence made colloidal particles to build into large, settelable flocs. A small Ca2+ concentration enhanced flocculation capability, reducing suspended solid concentration 20 times lower than the initial dosed concentration. However, humic substances, adsorbed on colloidal particles, reduced flocculation, because they blocked EPS adsorption on colloidal particles and increased negative charges and electrostatic repulsion of colloidal particles. Suspended solid concentration in the tests with humic substances remained as high as the initial dosed concentration, indicating stabilization rather than flocculation. Findings about EPS-mediated flocculation in this research will be used for better understanding the fate and transport of colloidal particles in the water environment and for developing the best management practices for water/sediment qual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요 지
      • 1. 서 론
      • 2. 실험방법
      • 2.1 자테스트
      • Abstract
      • 요 지
      • 1. 서 론
      • 2. 실험방법
      • 2.1 자테스트
      • 2.2 응집능 지표 측정: 잔류 고형물 농도 및 응집체 크기
      • 3. 실험결과 및 고찰
      • 3.1 이온강도가 점토입자-생체고분자물질 응집에 미치는영향
      • 3.2. 2가 양이온이 점토입자-생체고분자물질 응집에미치는 영향
      • 3.3 휴믹물질이 생체고분자물질-부유입자 응집에 미치는영향
      • 4. 결 론
      • 감사의 글
      • Reference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