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간이평가법을 이용한 지진재현주기별 부산광역시 액상화 재해 평가 = Liquefaction Hazard Assessment according to Seismic Recurrence Intervals Using Simple Estimating Method in Busan City,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950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과거의 많은 지진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액상화 현상은 부등침하를 일으키고 심한 경우 건물 파괴, 지반함몰과 같은 심각한 피해를 유발한다. 연구지역인 부산광역시 인근에는 지진발생 가...

      과거의 많은 지진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액상화 현상은 부등침하를 일으키고 심한 경우 건물 파괴, 지반함몰과 같은 심각한 피해를 유발한다. 연구지역인 부산광역시 인근에는 지진발생 가능성이 높은 단층들이 분포하며 양산단층, 동래단층, 일광단층이 도심지를 통과하고 있다. 또한 최근 발생한 경주, 포항, 일본 구마모토 지진의 영향권 내에 위치하며, 도시 내 넓은 단층곡을 따라서 두꺼운 제4기 미고결 충적층이 발달하고 해안 지역에는 해빈 퇴적물과 함께 매립지가 넓게 분포한다. 따라서 부산광역시 인근에서 대형 지진이 발생할 경우 도심지 내에 액상화로 인한 큰 피해가 예상되어, 도시 전 지역을 대상으로 지진재현주기별 액상화 발생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지진재현주기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존재하나 낙동강 하구평야지대와 부산만, 수영만, 송정역 일대에서 액상화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짧은 지진재현주기일수록 부지주기에 따라 상당히 다른 결과가 도출된 반면, 재현주기가 길어질수록 부지주기에 관계없이 그 결과는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can be seen in many earthquakes, liquefaction causes differential settlement, which sometimes produces serious damages such as building destruction and ground subsidence. There are many possible active faults near the Busan city and the Yangsan, Do...

      As can be seen in many earthquakes, liquefaction causes differential settlement, which sometimes produces serious damages such as building destruction and ground subsidence. There are many possible active faults near the Busan city and the Yangsan, Dongrae, and Ilgwang faults among them pass through the city. The Busan city is also located within the influence of recent earthquakes, which occurred in the Gyeongju, Pohang, and Kumamoto (Japan). Along the wide fault valleys in the city, the Quaternary unconsolidated alluvial sediments are thickly accumulated, and the reclaimed lands with beach sediments are widely distributed in the coastal area. A large earthquake near or in the Busan city is thus expected to cause major damage due to liquefaction in urban areas. This study conducted an assessment of the liquefaction hazard according to seismic recurrence intervals across the Busan city. As a result, although there are slight differences in degree depending on seismic recurrence intervals, it is predicted that the liquefaction potential is very high in the areas of the Nakdonggang Estuary, Busan Bay, Suyeong Bay, and Songjeong Station. In addition, it is shown that the shorter the seismic recurrence interval, the greater difference the liquefaction potential depending on site period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선창국, "홍성 지역의 공간 지층정보 예측을 통한 부지주기 토대의 지진공학적 부지분류" 한국지리정보학회 13 (13): 32-49, 2010

      2 김종관, "현장실험 및 동적실내실험을 이용한 포항지역 동적 지반특성 평가" 한국지반공학회 36 (36): 5-20, 2020

      3 정태웅, "포항 지진의 진원 깊이 연구"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21 (21): 125-131, 2018

      4 황병윤, "진동삼축시험을 통한 포항 지역 사질토의 액상화 저항 특성 연구" 한국지반공학회 36 (36): 21-32, 2020

      5 선창국, "지역고유 지진응답 특성 정량화를 통한 국내 부지 분류 기준의 추가 반영 제안"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13 (13): 203-218, 2010

      6 진광민, "우리나라 지진지질학 연구에서 고고지진학의 중요성" 대한지질학회 56 (56): 251-264, 2020

      7 선창국, "얕은 심도 전단파속도 분포를 이용한 30m 심도 평균 전단파속도의 결정" 한국지진공학회 11 (11): 45-57, 2007

      8 백우현, "액상화 재해지도를 이용한 수도권 전력구 매설지반의 지진시 위험도 평가" 한국방재안전학회 12 (12): 45-56, 2019

      9 백우현, "서울, 경기지역의 시나리오별 액상화 위험지도 작성을 위한 지진가속도와 LPI 상관관계 분석"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 (20): 5-12, 2019

      10 조형성, "부산시 백악기 다대포분지 내 화산암류의 암석기재와 ^(40)Ar/^(39)Ar 연대: 다대포층의 퇴적시기와 대비" 대한지질학회 47 (47): 1-18, 2011

      1 선창국, "홍성 지역의 공간 지층정보 예측을 통한 부지주기 토대의 지진공학적 부지분류" 한국지리정보학회 13 (13): 32-49, 2010

      2 김종관, "현장실험 및 동적실내실험을 이용한 포항지역 동적 지반특성 평가" 한국지반공학회 36 (36): 5-20, 2020

      3 정태웅, "포항 지진의 진원 깊이 연구"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21 (21): 125-131, 2018

      4 황병윤, "진동삼축시험을 통한 포항 지역 사질토의 액상화 저항 특성 연구" 한국지반공학회 36 (36): 21-32, 2020

      5 선창국, "지역고유 지진응답 특성 정량화를 통한 국내 부지 분류 기준의 추가 반영 제안"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13 (13): 203-218, 2010

      6 진광민, "우리나라 지진지질학 연구에서 고고지진학의 중요성" 대한지질학회 56 (56): 251-264, 2020

      7 선창국, "얕은 심도 전단파속도 분포를 이용한 30m 심도 평균 전단파속도의 결정" 한국지진공학회 11 (11): 45-57, 2007

      8 백우현, "액상화 재해지도를 이용한 수도권 전력구 매설지반의 지진시 위험도 평가" 한국방재안전학회 12 (12): 45-56, 2019

      9 백우현, "서울, 경기지역의 시나리오별 액상화 위험지도 작성을 위한 지진가속도와 LPI 상관관계 분석"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 (20): 5-12, 2019

      10 조형성, "부산시 백악기 다대포분지 내 화산암류의 암석기재와 ^(40)Ar/^(39)Ar 연대: 다대포층의 퇴적시기와 대비" 대한지질학회 47 (47): 1-18, 2011

      11 황병윤, "반복직접단순전단시험을 이용한 모래의 액상화 저항 특성 고찰" 한국방재학회 20 (20): 239-249, 2020

      12 정태웅, "경주 지진 여진의 진원 깊이 연구"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20 (20): 49-55, 2017

      13 Kim, K. H., "The 2017 ML 5.4 Pohang earthquake sequence, Korea, recorded by a dense seismic network" 774 (774): 228-306, 2020

      14 Seed, H. B., "Simplified procedure for evaluating soil liquefaction potential, Journal of the Soil Mechanic and Foundation Division" ASCE 97 (97): 1249-1273, 1971

      15 MOCT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Seismic design standard(Ⅱ)"

      16 MOCT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Seismic design standard"

      17 김용식, "Paleoseismological implications of liquefaction-induced structures caused by the 2017 Pohang Earthquake" 한국지질과학협의회 22 (22): 871-880, 2018

      18 Liao, S. S. C., "Overburden correction factors for SPT in sand" ASCE 112 (112): 373-377, 1986

      19 Sonmez, H., "Modification of the liquefaction potential index and liquefaction susceptibility mapping for a liquefactionprone area(Inegol, Turkey)" 44 (44): 862-871, 2003

      20 MPSS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Minimum requirements for seismic design"

      21 Youd, T. L., "Liquefaction resistance of soils : summary report from the 1996 NCEER and 1998 NCEER/NSF workshops on evaluation of liquefaction resistance of Soils" 127 (127): 297-313, 2001

      22 Seed, H. B., "Influence of SPT procedures in soil liquefaction resistance evaluations" 111 (111): 1985

      23 Chang, T. W., "Geological report of the Busan-Gadeok sheets(1 : 50, 000)" Korea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22-, 1983

      24 Sun, C. G., "Geologic site conditions and site coefficients for estimating earthquake ground motions in the inland areas of Korea" 81 : 446-469, 2005

      25 Park, Y. D., "Geologic map of Korea (Bangeojin sheet 1: 50,000)" Geological Survey of Korea 1968

      26 Lee, M. S.,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of Yangsan sheets, 1: 50,000" Korea Research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1964

      27 Lee, H. Y.,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of Gimhae sheets, 1: 50,000" Korea Research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1964

      28 Son, C. M.,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of Dongrae and Weolnae sheets, 1: 50,000" Korea Research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1978

      29 Borcherdt, R. D., "Estimates of site-dependent response spectra for design(methodology and justification)" 10 (10): 617-653, 1994

      30 Gahng, G., "Characteristics of liquefaction phenomena induced by 2017. 11. 15 Pohang earthquake" Pusan National University 2019

      31 Iwasaki, T., "A practical method for assessing liquefaction potential based on case studies at various sites in Japan" 641-648, 1978

      32 김태완, "2017년 포항지진으로 피해를 입은 국내 필로티형 건물의 지진 거동" 한국지진공학회 22 (22): 161-168, 2018

      33 황경란, "2017.11.15. 포항 흥해지진의 저층 RC 비틀림 비정형 건축물의 피해 및 손상 특성" 한국지진공학회 22 (22): 103-111, 2018

      34 이호일, "2017 포항지진 액상화에 의한 모래화산의 발달 특성 및 고지진학적 접근" 대한지질학회 54 (54): 221-235,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1-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Engineering Geology -> The Korean Society of Engineering Geology KCI등재
      2014-01-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9 0.49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1 0.839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