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의 내용과 범위 이 연구는 高麗王朝에 대응되는 中國 및 日本의 여러 왕조에서 만들어진 官撰史書?官邊資料?文集?古文書?金石文 등을 모두 섭렵하여 관련 자료를 발췌?분석?...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24042
-
2009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연구의 내용과 범위 이 연구는 高麗王朝에 대응되는 中國 및 日本의 여러 왕조에서 만들어진 官撰史書?官邊資料?文集?古文書?金石文 등을 모두 섭렵하여 관련 자료를 발췌?분석?...
연구의 내용과 범위
이 연구는 高麗王朝에 대응되는 中國 및 日本의 여러 왕조에서 만들어진 官撰史書?官邊資料?文集?古文書?金石文 등을 모두 섭렵하여 관련 자료를 발췌?분석?정리한 것이다. 이에서 다룬 연구의 시기적인 범위는 신라왕조의 지배질서가 한반도 전역에서 관철되지 못했던 890년(진성여왕 4) 이후부터 고려왕조의 잔재가 정리되고 조선왕조의 기틀이 마련된 1400년(태종 즉위년)까지 510년간이다.
2) 연구의 방법
이 연구는 앞의 연구 내용의 목차 및 연구의 범위에서 언급한 내용을 정리하기 위해 文獻硏究를 수행하였다.
(1) 中國의 각종 자료에 수록되어 있는 고려왕조의 대외관계의 기사들을 明?淸代에 이루어진『四部叢刊』?『四庫全書』의 CD-ROM을 통해 檢索하여 再整理하였다(1단계).
(2) 각종 자료의 原形이 그대로 남아 있어 고려 관계의 자료가 그대로 온존하여 있는 宋?元版을 조사하여 明?淸版에서 삭제되어 있는 내용을 보충하는 동시에 日本과 기타 지역의 자료를 조사?정리하였다(2단계).
(3) 우리 측의 연대기를 위시한 각종 자료의 내용을 발췌하고 외국의 자료와 비교 검토하여 정리하였다(3단계).
(4) 이상에서 발췌?정리된 내용을 바탕으로 한 이 책의 編纂方針은 다음과 같다(4단계).
① 이 綜合事典에는 고려왕조가 존속했던 전후의 시기인 890년(眞聖女王 4)부터 1400년(太宗 즉위년)까지의 對外關係史에 관한 항목을 수록하였다. 그 외에 중요한 文化史를 위시한 일반항목도 포함된 것이 있다.
② 地域의 구분은 고려왕조와 긴밀한 관계가 있었던 중국?일본을 중심으로 하되 琉球?아랍[大食] 등도 기타 지역으로서 포함하였다.
③ 項目은 원칙적으로 事件이 일어났고 진행되었던 地域의 國家에 수록하였다.
④ 年月日은 사건이 일어났던 지역의 曆을 따랐는데, 이는 동아시아 3국의 曆에 약간의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⑤ 각 항목 끝의 ( )내에 典據를 제시하였고, 典據 및 內容에 문제점이 있거나 최신 연구 업적과 같은 보충 설명이 필요한 부분에는 *를 붙이고 책의 끝에 補註를 추가하였다.
(연구 결과 : 46배판, 단행본의 페이지는 521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