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과학의 창의성에 대한 철학적 접근 ― 창의성 연구와 과학적 발견의 관계를 중심으로 ― = A Philosophical Approach for Creativity of Science: A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Research and Scientific Discove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904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reativity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main research topics in the field of psychology, in a direct relation with human cognitive thoughts or abilities. Besides, the creativity research has been one of the main research sections in psychology. Creativity of science is no exception as well. However, science is conducted through particular activities called 'scientific discovery' differentiated from other studies. If a scientific discovery could be a topic of the creativity research, science would be able to obtain a position of creativity unlike other studies. This paper will examine three courses, such as 'The Process of Forming the Creativity Research Focusing on Psychology', 'Approaches and Limits of the Creativity Research on Science' and 'The Category of Scientific Discoveries and Discussions on Creativity of Science'. Thus, the writer is attempting to provide a basic foundation for the fact that creativity of science acquires an important meaning from the analysis of a scientific discovery.
      번역하기

      Creativity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main research topics in the field of psychology, in a direct relation with human cognitive thoughts or abilities. Besides, the creativity research has been one of the main research sections in psychology. Cre...

      Creativity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main research topics in the field of psychology, in a direct relation with human cognitive thoughts or abilities. Besides, the creativity research has been one of the main research sections in psychology. Creativity of science is no exception as well. However, science is conducted through particular activities called 'scientific discovery' differentiated from other studies. If a scientific discovery could be a topic of the creativity research, science would be able to obtain a position of creativity unlike other studies. This paper will examine three courses, such as 'The Process of Forming the Creativity Research Focusing on Psychology', 'Approaches and Limits of the Creativity Research on Science' and 'The Category of Scientific Discoveries and Discussions on Creativity of Science'. Thus, the writer is attempting to provide a basic foundation for the fact that creativity of science acquires an important meaning from the analysis of a scientific discove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창의성은 인간의 인지적 사고 또는 능력과 직접적인 관련을 맺으며, 사회문화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아 발휘된다는 점에서 심리학의 연구주제로 여겨져 왔다. 과학의 창의성 역시 예외가 될 수 없다. 하지만 과학은 다른 학문들과 구별되는 과학적 발견이라는 특수한 활동을 통해 진행된다. 만일 과학적 발견이 창의성 연구의 주제가 될 수 있다면, 과학은 다른 학문들과 상이한 방식으로 창의성의 지위를 얻을 수 있다. 이 글은 ‘심리학 중심의 창의성 연구의 형성과정’, ‘과학에서 창의성 연구의 접근과 한계’, ‘과학적 발견의 범주와 과학의 창의성의 논의점’의 세 과정을 살펴 볼 것이다. 그래서 필자는 과학의 창의성이 과학적 발견에 대한 철학적 분석으로부터 의미를 가질 수 있다는 기초적인 토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창의성은 인간의 인지적 사고 또는 능력과 직접적인 관련을 맺으며, 사회문화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아 발휘된다는 점에서 심리학의 연구주제로 여겨져 왔다. 과학의 창의성 역시 예외가 ...

      창의성은 인간의 인지적 사고 또는 능력과 직접적인 관련을 맺으며, 사회문화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아 발휘된다는 점에서 심리학의 연구주제로 여겨져 왔다. 과학의 창의성 역시 예외가 될 수 없다. 하지만 과학은 다른 학문들과 구별되는 과학적 발견이라는 특수한 활동을 통해 진행된다. 만일 과학적 발견이 창의성 연구의 주제가 될 수 있다면, 과학은 다른 학문들과 상이한 방식으로 창의성의 지위를 얻을 수 있다. 이 글은 ‘심리학 중심의 창의성 연구의 형성과정’, ‘과학에서 창의성 연구의 접근과 한계’, ‘과학적 발견의 범주와 과학의 창의성의 논의점’의 세 과정을 살펴 볼 것이다. 그래서 필자는 과학의 창의성이 과학적 발견에 대한 철학적 분석으로부터 의미를 가질 수 있다는 기초적인 토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욱, "학제간 과학철학 연구의 두 방향 : 간학문 STS와 다학문 STS" 5 (5): 2005

      2 Miller, A. I., "천재성의 비밀 : 과학과 예술에서의 이미지와 창조성" 사이언스북스 2001

      3 Steptoe, A., "천재성과 마음, in: 창의성과 광기" 학지사 10-, 2008

      4 Weisberg, R. W., "창의성 : 문제 해결, 과학, 발명, 예술에서의 혁신" 시그마프레스 2006

      5 Bloor, D., "지식과 사회의 상" 한길사 2000

      6 Gardner, H., "열정과 기질 : 거장들의 삶에서 밝혀낸 창조성의 조건" 북스넷 2004

      7 이상원, "실험하기의 철학적 이해" 서광사 2004

      8 이상원, "실험의 두 역할: 사실 획득과 이론 시험" 한국철학회 72 : 273-294, 2002

      9 정상모, "발견의 논리: 분석과 종합의 방법에 기초한 하나의 대안" 한국철학회 41 : 1994

      10 Hess, David J., "과학학의 이해" 당대 2004

      1 이상욱, "학제간 과학철학 연구의 두 방향 : 간학문 STS와 다학문 STS" 5 (5): 2005

      2 Miller, A. I., "천재성의 비밀 : 과학과 예술에서의 이미지와 창조성" 사이언스북스 2001

      3 Steptoe, A., "천재성과 마음, in: 창의성과 광기" 학지사 10-, 2008

      4 Weisberg, R. W., "창의성 : 문제 해결, 과학, 발명, 예술에서의 혁신" 시그마프레스 2006

      5 Bloor, D., "지식과 사회의 상" 한길사 2000

      6 Gardner, H., "열정과 기질 : 거장들의 삶에서 밝혀낸 창조성의 조건" 북스넷 2004

      7 이상원, "실험하기의 철학적 이해" 서광사 2004

      8 이상원, "실험의 두 역할: 사실 획득과 이론 시험" 한국철학회 72 : 273-294, 2002

      9 정상모, "발견의 논리: 분석과 종합의 방법에 기초한 하나의 대안" 한국철학회 41 : 1994

      10 Hess, David J., "과학학의 이해" 당대 2004

      11 김경만, "과학지식과 사회이론" 한길사 2004

      12 홍성욱, "과학적 창조성, 천재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여름) : 2003

      13 박종원, "과학적 창의성 모델의 제안-인지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24 (24): 375-386, 2004

      14 보리스 카스텔․세르지오 시스몬도, "과학은 예술이다 : 우리가 몰랐던 과학과 과학자의 실상" 아카넷 2006

      15 홍성욱, "과학사와 과학기술학(STS), 그 접점들에 대한 분석" 한국과학사학회 27 (27): 131-153, 2005

      16 윤정로, "과학기술과 한국사회 : 구조와 일상의 과학사회학" 문학과지성사 2000

      17 Funtowicz, S . O., "Three types of risk assessment and the emergence of post-normal science" Praeger 1992

      18 Sternberg, R. J., "The concept of creativity : Prospects and Paradigms, Sternbe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19 Jason, G., "The Logic of Discovery" Peter Lang 1989

      20 Knorr-Cetina, D. K., "The Ethnographic Study of Scientific Work: Towards a Constructivist Interpretation of Science" Sage 115-140, 1983

      21 Cohen-Cole, J., "The Creative : Cold War Salons, Social Science, and the Cure for Modern Society" Isis 2009

      22 Baer, J., "The Case for Domain Specificity of Creativit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1 (11): 1998

      23 Becker, G., "The Association of Creativity and Psychpathology: Its Cultural-Historical Origine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13 : 2001

      24 Ramey, C. H., "The 'Poetical Activity' of Emily Dickinson : A Further Test of the Hypothesis That Affective Disorders Foster Creativit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16 : 2004

      25 Csikszentmihalyi, M., "Society, culture, and person : A systems view of creativity, in: The nature of creativity : Current psychological perspectiv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26 Hacking, I., "Representing and Intervening : Introductory topics in the philosophy of sci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

      27 Monk, R., "Productive Reasoning and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search, in: Scientific Discovery, Logic, And Rationality" D. Reidel Pub. Co. 1980

      28 Becker, M., "Nineteenth-Century Foundation of Creativity Research"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8 : 1995

      29 Latour, B., "Laboratory Life: The Social Construction of Scientific Fact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9

      30 Nickles, T., "Introductory Essay : Scientific Discovery and The Future of Philosophy of Science, in: Scientific Discovery, Logic, And Rationality" Reidel Pub. Co. 1980

      31 Galison, P., "Image and Logic: A Material Culture of Microphysic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7

      32 Weisberg, R. W., "Genius and madness? A quasi-experimental test of the hypothesis that manic-depression increases creativity" American Psychological Society 5 : 1994

      33 Mayer, R. E., "Fifty Years of Creativity Research, in: Handbook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34 Amabile, T., "Creativity in Context : Update to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Westview Press 1996

      35 Weisberg, R. W., "Creativity and Knowledge : A Challenge to Theor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36 Guilford, J. P., "Creativity"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 : 1950

      37 Gowan, J. C., "Creative inspiration in composers" Creative Education Foundation 11 : 1977

      38 Briskman, L., "Creative Product and Creative Process in Science and Art" Routledge, Ltd. 23 : 198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1 0.21 0.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5 0.23 1.116 0.3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