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동북아 지역통합에 대한 다차원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즉 동북아 통합의 역사를 관념적, 물질적, 행위자 차원에서 살펴 본 후 현재 북한을 포함한 한`중`일 국가들 사이에 진행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21188
2005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동북아 지역통합에 대한 다차원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즉 동북아 통합의 역사를 관념적, 물질적, 행위자 차원에서 살펴 본 후 현재 북한을 포함한 한`중`일 국가들 사이에 진행되...
본 연구는 동북아 지역통합에 대한 다차원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즉 동북아 통합의 역사를 관념적, 물질적, 행위자 차원에서 살펴 본 후 현재 북한을 포함한 한`중`일 국가들 사이에 진행되고 있는 정부, 개인, 기업, NGO 차원의 교류를 조사하였다.
국문 초록 (Abstract)
정보원 미상. 국립중앙도서관 검색 완료. 기관저자 미상 : 알 수 없음
정보원 미상.
국립중앙도서관 검색 완료.
기관저자 미상 : 알 수 없음
국문 초록 (Abstract)
서문-정진영(경희대 국제학부 교수) 제1장 관념, 물질, 행위자의 차원에서 바라 본 동북아 통합 - 양준희 (경희대국제학부교수) 제2장 동북아 정체성과 지역통합 : 유교적 전통과 ...
서문-정진영(경희대 국제학부 교수)
제1장 관념, 물질, 행위자의 차원에서 바라 본 동북아 통합
- 양준희 (경희대국제학부교수)
제2장 동북아 정체성과 지역통합 : 유교적 전통과 민족적 근대를 넘어서
- 정진영 (경희대 국제학부 교수)
제3장 중국의 동북아 지역통합 아이디어: 중화사상과 중화경제권을 중심으로 - 최천모 (건국대 경제학과 강사)
제4장 일본의 대 아시아 관과 동북아 집역통합
제5장 동북아 중추국가로서 한국의 비전 경제 번영과 평화공존
-이준하 (인천대 정치 외교학과 교수)
제6장 북한의 이념적 변화 : 주체에서 개방으로
-권만학 (경희대 국제학부 교수)
제7장 동북아 지역 통합에 관한 물질적 접근 : 한중일 3국의 경제협력을 중심으로
- 최천모 (건국대 경제학과 강사)
제8장 동북아 다자안보협력의 현황과 미래
- 박한규 (경희대 국제 학부 교수)
제9장 동북아 환경 협력
-민병일 (연세대 국제교육교류부 강사)
제10장 동북아 시민단체 네트워크
-민병일 (연세대 국제 교육교류부 강사)
제11장 기업네트워크와 동북아 지역 통합
-최천모 (건국대 경제학과 강사)
제12장 결론 : 동북아 통합의 역사와 전망
-양준희 (경희대 국제학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