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승로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은 그의 정치적 활동으로 인해 유교적 성격이 강조되어 왔다. 그러나 『삼국유사』에 수록된 최승로 관련 설화에는 그와 관음신앙 의 연관성이 부각되어 나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770256
2013
Korean
삼국유사 ; 최승로 ; 최제안 ; 중생사 ; 천룡사 ; 관음신앙 ; Samguk Yusa ; Choe Seung-ro ; Choe Jae-an ; Jungsaengsa temple ; Cheonryongsa temple ; Avalokitesvara belief
810
KCI등재
학술저널
31-56(26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승로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은 그의 정치적 활동으로 인해 유교적 성격이 강조되어 왔다. 그러나 『삼국유사』에 수록된 최승로 관련 설화에는 그와 관음신앙 의 연관성이 부각되어 나타...
최승로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은 그의 정치적 활동으로 인해 유교적 성격이 강조되어 왔다. 그러나 『삼국유사』에 수록된 최승로 관련 설화에는 그와 관음신앙 의 연관성이 부각되어 나타난다. 그리고 최승로의 관련 설화는 『탑상』의 <삼 소관 음중생사>와 <천룡사>의 사찰연기설화에서 구체적으로 찾아볼 수 있다. 이 설화의 내용 가운데 중생사의 관음상은 그 영험 함을 통해 현재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는 믿음을 효과적으로 보여준다. 아울러 천룡사의 중창과 관련된 최승로 가문의 이야기에는 고려 초기 신라에서 이주해온 육두품의 정치적 태도가 드러난다. 이러한 최승로 관련 설화를 통해, 최승로 가문의 성장과 고려 초기의 상황을 불교적, 역사적 측면에서 폭넓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점은『삼국유사』에 나타난 불교적 영 험함이 고려에서도 발현되기를 염원한 일연의 생각과 연관된다. 즉 신라 말기 견훤의 침략에도 최승로가 관 음의 영 험함을 통해 무사할 수 있었던 것처럼, 몽고의 침략과 간섭에 따른 국가적 위기도 불교를 통해 극복할 수 있게 되기를 일연은 기구하고 있는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eneral recognition on Choe Seung-ro has been emphasized Confucian character due to his political whereabouts. However, the folk-tale related to Choe Seung-ro, which is recorded in『Samguk Yusa(三國遺事: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is ...
General recognition on Choe Seung-ro has been emphasized Confucian character due to his political whereabouts. However, the folk-tale related to Choe Seung-ro, which is recorded in『Samguk Yusa(三國遺事: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is shown to be highlighted correlation between him and the Avalokitesvara belief. Folk-tale related to Choe Seung-ro is recorded in temple originated narratives of ``Jungsaengsa temple`` and ``Cheonryongsa temple.`` Here, the Avalokitesvara image of Jungsaengsa temple effectively shows the belief as saying of being able to overcome the current difficulty through its miracle. A story of Choe Seung-ro`s family related to rebuilding of Cheonryongsa temple is revealed the political attitude in Yukdupum(六頭品), which had moved from Silla in the early Goryeo period. Through folk-tale related to Choe Seung-ro in this way, the growth in Choe Seung-ro`s family and the situation in the early Goryeo period can be confirmed indirectly in the Buddhismbased historical aspect. And this matter was manifested the Buddhist miracle, which was recorded in『Samguk Yusa』, even in Goryeo period, thereby being associated with a thought of wishing for possibly getting over a national crisis according to invasion and interference of Mongolia.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수건, "한국중세사회사연구" 일조각 201-, 1984
2 조선총독부장판, "한국고전자료집성" 민족문화 영인 585-, 1993
3 이기백, "최승로의 유교적 이상국가" 일조각 10 : 38-39, 1992
4 인권환, "신라 관음설화의 양상과 의미"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6 : 47-48, 1989
5 이기백, "삼국유사의 사학사적 의의" 진단학회 36 : 163-164, 1973
6 김태영, "삼국유사에 보이는 일연의 역사인식에 대하여" 경희사학회 5 : 77-96, 1974
7 김상현, "삼국유사에 나타난 일연의 불교사관" 한국사연구회 20 : 32-38, 1978
8 이강래, "삼국유사 의 사서적 성격" 한국고대사학회 (40) : 287-350, 2005
9 "高麗史"
1 이수건, "한국중세사회사연구" 일조각 201-, 1984
2 조선총독부장판, "한국고전자료집성" 민족문화 영인 585-, 1993
3 이기백, "최승로의 유교적 이상국가" 일조각 10 : 38-39, 1992
4 인권환, "신라 관음설화의 양상과 의미"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6 : 47-48, 1989
5 이기백, "삼국유사의 사학사적 의의" 진단학회 36 : 163-164, 1973
6 김태영, "삼국유사에 보이는 일연의 역사인식에 대하여" 경희사학회 5 : 77-96, 1974
7 김상현, "삼국유사에 나타난 일연의 불교사관" 한국사연구회 20 : 32-38, 1978
8 이강래, "삼국유사 의 사서적 성격" 한국고대사학회 (40) : 287-350, 2005
9 "高麗史"
10 金日煥, "高麗初期 儒敎政敎理念에 관한 연구"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4
11 金坵, "洛山觀音慶讚疏" 3 :
12 李奎報, "崔相國攘丹兵畫觀音點眼踈" 41 :
13 정성식, "崔承老의 儒佛觀 탐구 -「시무(時務) 28조」를 중심으로" 한국철학사연구회 (26) : 129-150, 2009
14 이해도, "崔承老的崇儒抑佛觀" 퇴계연구소 (49) : 353-368, 2011
15 "三國遺事"
16 "三國史記"
17 라정숙, "『삼국유사』를 통해 본 신라와 고려의 관음신앙" 한국역사연구회 (71) : 153-184, 2009
18 이기백, "<삼국유사> '탑상' 편의 의의, In 한국고전연구" 일조각 75-, 2004
고려 예종 대 <구실등가(九室登歌)>의 성립 배경과 악장사적 의미
柳夢寅(유몽인) 散文(산문)에 나타난 孤獨(고독)의 양상과 그 의미
현대시의 장(場) 연구 -비유와 리듬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6 | 1.16 | 0.9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4 | 0.82 | 1.779 | 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