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가의 문화지역 구분 작업은 1920년대 이후 여러 학자들에 의해 시도되어 왔다. 주문화권에 대한 여러 제안이 나오는 이유는, 첫째 한반도에 자생하고 있는 민가형이 아직도 그 전모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민가의 문화지역 구분 작업은 1920년대 이후 여러 학자들에 의해 시도되어 왔다. 주문화권에 대한 여러 제안이 나오는 이유는, 첫째 한반도에 자생하고 있는 민가형이 아직도 그 전모가 ...
한국민가의 문화지역 구분 작업은 1920년대 이후 여러 학자들에 의해 시도되어 왔다. 주문화권에 대한 여러 제안이 나오는 이유는, 첫째 한반도에 자생하고 있는 민가형이 아직도 그 전모가 밝혀지지 못하였다는 점이고, 둘째로 주문화권 분류의 기준이 불명확하였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본 논문은 그 동안 민가형의 분포에 관한 조사연구가 지역별로 어느 정도 축적되었다는 판단아래 그 분류 기준의 제시와 함께 주문화권의 재분류를 시도해 본 것이다.
결론적으로 한국민가의 문화지역은 6개 지역으로 대분류 되었으며, 일부 지역 민가형이 소분류 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everal scholars had attempted to classify the cultural regions of the Korean folk houses suffice 1920. The reasons of these attempts were considered as follows: firstly researches and studies on the types of the Korean folk houses were not enough and...
Several scholars had attempted to classify the cultural regions of the Korean folk houses suffice 1920. The reasons of these attempts were considered as follows: firstly researches and studies on the types of the Korean folk houses were not enough and secondly the standards to classify the cultural regions of the Korean folk houses were not distinct.
This study tries to re-classify the types of the Korean folk houses on the assumption that researches and studies on them have been sufficiently accumulated. Conclusively, the types of the Korean folks houses are re-classified in the six large cultural regions. Again some of them are classified in small groups.
목차 (Table of Contents)
셀룰로스계 혼화제를 사용한 수중불분리성 콘크리트의 최적 배합
탄소섬유시트로 횡보강된 콘크리트 공시체의 거동에 관한 해석적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