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이후 부산은 기존의 성장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도시 발전의 새로운 희망을 찾고자 노력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도시자원들을 활용하고 창의적인 인재들이 모여들도록 하는 창조도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520730
주유신 (영산대학교)
2015
-
부산 ; 영화도시 ; 창조도시 ; 유네스코 창조도시 네트워크 ; 아시아 영화 ; Busan ; film city ; creative city ; UNESCO Creative Cities Network ; Asian film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87-206(20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21세기 이후 부산은 기존의 성장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도시 발전의 새로운 희망을 찾고자 노력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도시자원들을 활용하고 창의적인 인재들이 모여들도록 하는 창조도시 ...
21세기 이후 부산은 기존의 성장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도시 발전의 새로운 희망을 찾고자 노력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도시자원들을 활용하고 창의적인 인재들이 모여들도록 하는 창조도시 전략을 도시발전의 핵심전략으로 추진하고 있는데, 부산의 창조적인 도시발전의 원동력이 바로 영화이다.
우선 부산이 ‘영화도시’로 자리매김하게 된 데에는 물론 부산국제영화제와 부산영상위원회가 거둔 놀라운 성공이 직접적인 출발점이 되었지만, 그 배경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부산과 영화 간의 긴밀하고도 깊은 역사가 배경으로 작용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부산은 아시아 지역의 영화문화와 영상산업의 발전과 교류에서 수행해온 구심적 역할을 토대로 부산은 2014년 12월에 유네스코에 의해 ‘영화창조도시’로 지정되었다. 이제 부산은 문화와 영상산업을 중심으로 한 아시아 지역 연대에 있어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해가는 동시에 국제적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첨단기지의 역할을 해 나가야 한다.
그러나 현재 ‘영화도시’로서의 부산의 위상은 국내외적으로, 산업적․정치적 맥락에서 여러 가지 위기와 도전에 직면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영화도시’로 시작된 부산의 도시 이미지와 정체성이 현재 ‘아시아영화의 허브’라는 역할을 해나가는 데에 있어서,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유네스코 영화창조도시’의 비전으로 나아가는 데에 있어서 어떤 가능성과 과제를 안고 있는지에 대하여 모색해보고자 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종국, "한국영화 블랙박스:부산은 쪼다"
2 사사키 마사유키, "창조하는 도시:사람, 문화, 산업의 미래" 소화 2014
3 임정덕, "창조도시:부산을 향한 성찰과 모색" 부산대 동북아지역발전연구원 2010
4 라도삼, "창조도시의 의의와 사례" (317) : 2008
5 임상오, "창조도시" 해남 2005
6 김형곤, "창조관광의 개념과 전략" (52) : 2013
7 전병태, "유네스코 창조도시 네트워크 가입 지원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8
8 전택수,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 가입 의의와 과제" 2011
9 주유신, "영화도시 부산, 아시아 영화의 심장과 영화 창조 도시로" 신라대학교 부산학센터 11 (11): 2013
10 부산광역시, "영화·영상산업 발전방안 워크숍 자료집"
1 조종국, "한국영화 블랙박스:부산은 쪼다"
2 사사키 마사유키, "창조하는 도시:사람, 문화, 산업의 미래" 소화 2014
3 임정덕, "창조도시:부산을 향한 성찰과 모색" 부산대 동북아지역발전연구원 2010
4 라도삼, "창조도시의 의의와 사례" (317) : 2008
5 임상오, "창조도시" 해남 2005
6 김형곤, "창조관광의 개념과 전략" (52) : 2013
7 전병태, "유네스코 창조도시 네트워크 가입 지원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8
8 전택수,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 가입 의의와 과제" 2011
9 주유신, "영화도시 부산, 아시아 영화의 심장과 영화 창조 도시로" 신라대학교 부산학센터 11 (11): 2013
10 부산광역시, "영화·영상산업 발전방안 워크숍 자료집"
11 강동진, "부산의 꿈, 365일 살아 움직이는 영.화.도.시" 2010
12 주유신, "부산, 아시아 영화의 심장 (UCCN 가입신청서)"
13 홍영철, "부산 근대 영화사" 산지니 2009
14 정병순, "도시경제, 이제는 창조성이다"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3
15 UNESCO, "Towards Sustainable Strategies for Creative Tourism Discussion Report" 2006
16 Randry C., "The Creative City" Comedia 1995
세계-몸을 쓰는 영상-증언으로서의 다큐-매체성:<쓰나미 후에 오는 것들>과 '겨울의 눈빛': 장 뤽 낭시 '영화의 증거'의 관점에서
실험영화 <안더스, 몰루시아>(2001)의 반미적 표상: 무리수적 몽타주와 알레고리의 해체주의적 관점
웹툰 <타이밍>에 나타난 시․공간 재현방식 연구: '박자기' 캐릭터의 '꿈'과 '기억'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18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후보1차)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기타)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5-05-02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Visual Art Society -> Association of Image & Film Studies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6 | 0.46 | 0.3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4 | 0.29 | 0.852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