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발효음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한방감주의 젖산발효를 유도하였다. 이를 위해 각종 시료로부터 다양한 젖산균을 순수 분리하여 발효적성을 검토한 결과 최적균주로서 LAB19 균주를 선별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683349
2008
Korean
594
SCOPUS,KCI등재
학술저널
649-655(7쪽)
1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방발효음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한방감주의 젖산발효를 유도하였다. 이를 위해 각종 시료로부터 다양한 젖산균을 순수 분리하여 발효적성을 검토한 결과 최적균주로서 LAB19 균주를 선별하...
한방발효음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한방감주의 젖산발효를 유도하였다. 이를 위해 각종 시료로부터 다양한 젖산균을 순수 분리하여 발효적성을 검토한 결과 최적균주로서 LAB19 균주를 선별하였다. LAB19 균주는 곶감으로부터 분리하였으며 생리 화학적 특성 및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Leuconostoc mesenteroides로 동정되었다. 한방감주에 종배양한 LAB19 균주를 2.5%(v/v) 접종하고 25oC에서 60시간 발효시켰을 때, 한방감주는 141.3 g/L의 환원당과 5.33 g/L의 유기산, 그리고 1.19 g/L의 가용성 페놀을 함유하고 있었다. 당과 유기산 구성을 살펴보면 당의 약 90%는 맥아당이었으며, 유기산의 58%는 젖산이었다. 수용성 phenolics 성분 등에 기인하는 라디칼 소거 활성은 L-ascorbic acid의 92.4% 보다 낮은 76.6-75.7% 범위를 유지하고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ctic fermentation of gamju manufactured using a medicinal herb decoction were assessed. A bacterial strain, LAB19, which is used for the induction of lactic fermentation into gamju, was isolated from dried p...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ctic fermentation of gamju manufactured using a medicinal herb decoction were assessed. A bacterial strain, LAB19, which is used for the induction of lactic fermentation into gamju, was isolated from dried persimmon and identified as Leuconostoc mesenteroides on the basis of morphological, physiological, and chemotaxonomical features, and 16S rRNA sequencing analysis. After 60 hours of lactic fermentation with Leuconostoc mesenteroides LAB19 at 25℃, the gamju was determined to contain 141.3 g/L of reducing sugar, 5.33 g/L of acids, and 1.19 g/L of soluble phenolics. Approximately 90% of reducing sugar and 58% of acids were maltose and lactic acid, respectively.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retained at levels between 76.6 to 75.7% during the lactic fermentation of gamju.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찬성, "한약재 추출물의 항산화작용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2 (12): 631-636, 2005
2 김수연, "젓산발효에 의한 혼합과채음료 제조의 최적화" 한국식품과학회 34 (34): 303-310, 2002
3 정성제, "약용 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검색"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7 (47): 135-140, 2004
4 조계만, "단감(Diospyros kaki, T) 와인 제조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과학회 38 (38): 785-792, 2006
5 이상원, "국산 한약재 추출물을 이용한 전통 콩된장의 생리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3 (13): 241-245, 2006
6 박신인, "가루녹차를 첨가한 식혜 제조" 한국식품영양학회 19 (19): 227-233, 2006
7 ler GL,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the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31 : 426-428, 1959
8 Choi C, "Traditional andong sikhe preparation using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 30 : 948-956, 1998
9 이 호, "Probiotics로서의 젖산균주의 특성 및 면역활성" 한국식품과학회 39 (39): 681-687, 2007
10 Ann YG, "Preparation of traditional malt sikhe. Preparation by malt and amylolytic enzymes" 12 : 164-170, 1999
1 박찬성, "한약재 추출물의 항산화작용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2 (12): 631-636, 2005
2 김수연, "젓산발효에 의한 혼합과채음료 제조의 최적화" 한국식품과학회 34 (34): 303-310, 2002
3 정성제, "약용 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검색"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7 (47): 135-140, 2004
4 조계만, "단감(Diospyros kaki, T) 와인 제조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과학회 38 (38): 785-792, 2006
5 이상원, "국산 한약재 추출물을 이용한 전통 콩된장의 생리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3 (13): 241-245, 2006
6 박신인, "가루녹차를 첨가한 식혜 제조" 한국식품영양학회 19 (19): 227-233, 2006
7 ler GL,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the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31 : 426-428, 1959
8 Choi C, "Traditional andong sikhe preparation using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 30 : 948-956, 1998
9 이 호, "Probiotics로서의 젖산균주의 특성 및 면역활성" 한국식품과학회 39 (39): 681-687, 2007
10 Ann YG, "Preparation of traditional malt sikhe. Preparation by malt and amylolytic enzymes" 12 : 164-170, 1999
11 Lee HB, "Phys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from mixed culture of medical herbs and mycelia of Tricholoma matsutake and Cordyceps militaris by fermentation" 23 : 1-8, 2008
12 Jin HS, "Lactic acid fermentation of chestnut broth" 29 : 162-168, 2001
13 Reid G, "Is there a role for lactobacilli in prevention of urogenital and intestinal infections" 3 : 335-344, 1990
14 Lidbeck JG, "Impact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on the normal intestinal flora after administration of two antibiotic agents" 16 : 329-336, 1987
15 Suzuki Y, "Effect of cultured milk on serum cholesterol concentration in rats which were fed high-cholesterol diets" 62 : 565-567, 1991
16 Singleton VL,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 with phosphomolybdic 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16 : 144-158, 1965
17 Abee T, "Bacteriocins: Modes of action and potentials in food preservation and control of food poisoning" 28 : 169-185, 1995
18 Weon Taek Seo, "Bacterial Diversity in a Korean Traditional Soybean Fermented Foods (Doenjang and Ganjang) by 16S rRNA Gene Sequence Analysis" 한국식품과학회 16 (16): 320-324, 2007
19 Kim HK, "Antioxidative activity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some Korean medicinal plants" 27 : 80-85, 1995
20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181 : 119-200, 1958
21 Shin DH, "A yogurt like product development from rice by lactic acid bacteria" 21 : 686-690, 1989
22 Lee HJ, "A study on the making of sikhe" 14 : 685-693, 1976
23 Ann YG, "A study on sugars in Korean sweet rice drink sikhe (1). Sugar content and its composition" 10 : 82-86, 1997
인간 HepG2 세포에서 더덕 및 도라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에 의한 세포보호 효과
열충격 Salmonella Typhimurium의 산과 산화제에서 생존력 증가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
2010-11-23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1-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3 | 1.03 | 1.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1 | 1.08 | 2.013 | 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