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2000년대 초기 대법원판례의 동향: 주요 재산범죄 관련 대법원판례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763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article, I have investigated the major property criminal cases(i.e. embezzlement, breach of trust, fraud and theft cases) sentenced in the Supreme Court since 2000, and have analyzed the n otable importance and the implications of the judgement. I have tried to examine closely, how the Supreme Court has come to apply the judicial interpretation especially in academia to discuss issues or newly emerging types of crimes as the socio-economic situations change. In summary, it could be evaluated that the Supreme Court has emphasized on the principle of “nulla poena sine lege” to protect people from the punishment without law and the arbitrary exercise of state police power, and has made an effort to make the criminal law function at its best to defend liberty and legal benefit in property rights, in response to social and economic changes.
      번역하기

      In this article, I have investigated the major property criminal cases(i.e. embezzlement, breach of trust, fraud and theft cases) sentenced in the Supreme Court since 2000, and have analyzed the n otable importance and the implications of the judgemen...

      In this article, I have investigated the major property criminal cases(i.e. embezzlement, breach of trust, fraud and theft cases) sentenced in the Supreme Court since 2000, and have analyzed the n otable importance and the implications of the judgement. I have tried to examine closely, how the Supreme Court has come to apply the judicial interpretation especially in academia to discuss issues or newly emerging types of crimes as the socio-economic situations change. In summary, it could be evaluated that the Supreme Court has emphasized on the principle of “nulla poena sine lege” to protect people from the punishment without law and the arbitrary exercise of state police power, and has made an effort to make the criminal law function at its best to defend liberty and legal benefit in property rights, in response to social and economic chang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글 머리에
      • Ⅱ. 횡령죄에 관한 중요 판례
      • 1. 불법영득의사의 추단과 그 요건
      • 2. 금융실명제 이후 수탁자 계좌로 예치한 위탁금전의 소유자와 형사책임
      • 3. 착오송금된 금전의 임의소비와 형사죄책
      • Ⅰ. 글 머리에
      • Ⅱ. 횡령죄에 관한 중요 판례
      • 1. 불법영득의사의 추단과 그 요건
      • 2. 금융실명제 이후 수탁자 계좌로 예치한 위탁금전의 소유자와 형사책임
      • 3. 착오송금된 금전의 임의소비와 형사죄책
      • 4. 명의신탁부동산의 처분행위와 형사죄책
      • Ⅲ. 배임죄에 관한 중요 판례
      • 1. 동산의 이중매매와 배임죄 성립 여부
      • 2. 차입매수(LBO)와 배임죄 성립 여부
      • 3. 경영판단 원칙과 배임죄의 고의
      • 4. 동일인 대출한도 초과와 배임죄의 성립 여부
      • Ⅳ. 사기죄에 관한 중요 판례
      • 1. 특경법(사기)죄가 적용되는 편취부동산 가액의 산정
      • 2. 기망행위에 의한 조세포탈과 사기죄
      • 3. 업무상 배임행위에 사기행위가 수반된 경우 사기죄와 업무상 배임죄의 관계
      • 4. 절취한 친족 소유 예금통장에 의한 컴퓨터 등 사용사기죄와 친족상도례
      • Ⅴ. 절도죄에 관한 중요 판례
      • 1. 절도미수와 준강도의 기수 여부
      • 2. 등록을 요하는 자동차 등의 소유권 귀속과 절도죄
      • Ⅵ. 마치며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성근, "준강도죄의 기수 . 미수의 판단기준"

      2 박이규, "절취한 친족 소유의 예금통장을 현금자동지급기에 넣고 조작하여 예금 잔고를 다른 금융기관의 자기 계좌로 이체하는 방법으로 저지른 컴퓨터 등 사용사기죄에 있어서의 피해자(=친족 명의 계좌의 금융기관)"

      3 김태업, "용도가 추상적으로 정해진 보관금과 업무상횡령죄의 불법영득의사에 관한 입증책자(=검사) 및 입증방법"

      4 이창한, "업무상배임행위에 사기행위가 수반된 경우, 사기죄와 업무상배임죄의 관계"

      5 오영준, "송금의뢰인의 착오송금시 수취은행의 수취인에 대한 상계의 가부" (43) : 2010

      6 박형준, "법정관리기업 인수 . 합병(M&A)의 실무와 전망" 44 : 2007

      7 유헌종, "동일인대출한도 초과대출행위와 업무상배임죄에서의 재산상 손해"

      8 서경환, "기망행위에 의한 조세포탈과 사기죄의 성립 여부"

      9 오영준, "금융실명제하에서 예금계약의 당사자 확정 방법" 사법발전재단 1 (1): 217-288, 2009

      10 전현정, "LBO와 배임죄 : 손해를 중심으로" (24) : 2007

      1 임성근, "준강도죄의 기수 . 미수의 판단기준"

      2 박이규, "절취한 친족 소유의 예금통장을 현금자동지급기에 넣고 조작하여 예금 잔고를 다른 금융기관의 자기 계좌로 이체하는 방법으로 저지른 컴퓨터 등 사용사기죄에 있어서의 피해자(=친족 명의 계좌의 금융기관)"

      3 김태업, "용도가 추상적으로 정해진 보관금과 업무상횡령죄의 불법영득의사에 관한 입증책자(=검사) 및 입증방법"

      4 이창한, "업무상배임행위에 사기행위가 수반된 경우, 사기죄와 업무상배임죄의 관계"

      5 오영준, "송금의뢰인의 착오송금시 수취은행의 수취인에 대한 상계의 가부" (43) : 2010

      6 박형준, "법정관리기업 인수 . 합병(M&A)의 실무와 전망" 44 : 2007

      7 유헌종, "동일인대출한도 초과대출행위와 업무상배임죄에서의 재산상 손해"

      8 서경환, "기망행위에 의한 조세포탈과 사기죄의 성립 여부"

      9 오영준, "금융실명제하에서 예금계약의 당사자 확정 방법" 사법발전재단 1 (1): 217-288, 2009

      10 전현정, "LBO와 배임죄 : 손해를 중심으로" (24) :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 1 0.8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2 0.79 1.043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