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2000년대 초기 대법원판례의 동향: 형법총칙 관련 대법원판례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763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ooking at the 2000s, the Supreme Court has no detailed research on legal issues, leave the judgment of the past and the trend seems to quote. For example, errors of law in the judgment of a legitimate reason, joint principal offender the functional activity of the dominant theory of criminal law theory, Studies of accumulated information, we accept them gradually is moving in the direction. But the Supreme Court include the specific criteria are difficult to understand the concept and are using them. Nevertheless, the fact that by missing arguments for the inclusion of judgment comes to the conclusion lacks a logical basis for a problem that is leaving. The concept of morals and social standards for the presentation of an abstract interpretation and judgment, collusion joint principal offender beliefs about the uncritical criticism of scholars for the future through careful research accumulated in Criminal Justice Studies, by accepting the theory and practice of will have to endeavor to harmonize. Thinking and knowledge learned in courses to apply it in practice will need to prevent useless. Korean Association of Criminal Case Studies is celebrating its 20th anniversary, criticism of the theory and practice through the mutual development to be able to look forward to continue to evolve.
      번역하기

      Looking at the 2000s, the Supreme Court has no detailed research on legal issues, leave the judgment of the past and the trend seems to quote. For example, errors of law in the judgment of a legitimate reason, joint principal offender the functional a...

      Looking at the 2000s, the Supreme Court has no detailed research on legal issues, leave the judgment of the past and the trend seems to quote. For example, errors of law in the judgment of a legitimate reason, joint principal offender the functional activity of the dominant theory of criminal law theory, Studies of accumulated information, we accept them gradually is moving in the direction. But the Supreme Court include the specific criteria are difficult to understand the concept and are using them. Nevertheless, the fact that by missing arguments for the inclusion of judgment comes to the conclusion lacks a logical basis for a problem that is leaving. The concept of morals and social standards for the presentation of an abstract interpretation and judgment, collusion joint principal offender beliefs about the uncritical criticism of scholars for the future through careful research accumulated in Criminal Justice Studies, by accepting the theory and practice of will have to endeavor to harmonize. Thinking and knowledge learned in courses to apply it in practice will need to prevent useless. Korean Association of Criminal Case Studies is celebrating its 20th anniversary, criticism of the theory and practice through the mutual development to be able to look forward to continue to evolv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는 글
      • Ⅱ. 위법성 분야
      • 1. 정당행위의 성립요건
      • 2. 노동쟁의가 정당행위가 되기 위한 요건
      • 3.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아니하는 행위의 의미
      • Ⅰ. 들어가는 글
      • Ⅱ. 위법성 분야
      • 1. 정당행위의 성립요건
      • 2. 노동쟁의가 정당행위가 되기 위한 요건
      • 3.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아니하는 행위의 의미
      • Ⅲ. 책임 분야
      • 1. 심신장애의 판단
      • 2. 법률의 착오
      • 3. 기대가능성
      • Ⅳ. 미수범 분야
      • 1. 예비 ․ 음모죄
      • 2. 실행의 착수
      • 3. 미수와 기수의 판단 기준
      • 4. 불능미수범의 위험성 판단
      • Ⅴ. 공범 분야
      • 1. 대향적 공범에 대한 형법 총칙의 임의적 공범 규정의 적용 여부
      • 2. 공모공동정범의 인정 여부
      • 3. 공동정범의 성립요건
      • 4. 공모관계에서 이탈한 자
      • Ⅵ. 결과적 가중범 분야
      • Ⅶ. 부작위범 분야
      • Ⅶ. 나 오 며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상기, "형법전 시행 반세기의 회고 - 형법 제정 50년과 공범론의 전개" 한국형사법학회 (18) : 157-180, 2002

      2 이상문, "형법 제27조의 결과발생의 불가능요건 -특히 규범적 해석에 대한 비판적으로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형사법학회 21 (21): 185-208, 2009

      3 한상훈, "형법 제27조(불능범)에서 “결과발생의 불가능”과 “위험성”표지의 구별기준" 한국형사법학회 20 (20): 79-109, 2008

      4 이승준, "형법 제27조(불능범) 논의의 재검토"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8 (18): 29-60, 2007

      5 양화식, "형법 제20조의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아니하는 행위에 대한 고찰" 한국형사법학회 (19) : 175-199, 2003

      6 이상용, "형법 제20조의 사회상규 규정의 입법연혁과 사회상규의 의미" 한국형사법학회 (20) : 162-190, 2003

      7 김성돈, "형법 제16조의 개정방안" 한국형사법학회 (22) : 2004

      8 하태훈, "형벌법규의 해석과 죄형법정주의" 한국형사판례연구회 11 : 2003

      9 손동권, "형벌 조항에 대한 헌법불합치결정의 문제점 - 특히 제3의 한시법? -" 한국형사법학회 23 (23): 87-112, 2011

      10 김성돈, "침해범·위험범, 결과범·거동범, 그리고 기수·미수의 구별기준" 한국형사판례연구회 17 : 1-24, 2009

      1 박상기, "형법전 시행 반세기의 회고 - 형법 제정 50년과 공범론의 전개" 한국형사법학회 (18) : 157-180, 2002

      2 이상문, "형법 제27조의 결과발생의 불가능요건 -특히 규범적 해석에 대한 비판적으로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형사법학회 21 (21): 185-208, 2009

      3 한상훈, "형법 제27조(불능범)에서 “결과발생의 불가능”과 “위험성”표지의 구별기준" 한국형사법학회 20 (20): 79-109, 2008

      4 이승준, "형법 제27조(불능범) 논의의 재검토"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8 (18): 29-60, 2007

      5 양화식, "형법 제20조의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아니하는 행위에 대한 고찰" 한국형사법학회 (19) : 175-199, 2003

      6 이상용, "형법 제20조의 사회상규 규정의 입법연혁과 사회상규의 의미" 한국형사법학회 (20) : 162-190, 2003

      7 김성돈, "형법 제16조의 개정방안" 한국형사법학회 (22) : 2004

      8 하태훈, "형벌법규의 해석과 죄형법정주의" 한국형사판례연구회 11 : 2003

      9 손동권, "형벌 조항에 대한 헌법불합치결정의 문제점 - 특히 제3의 한시법? -" 한국형사법학회 23 (23): 87-112, 2011

      10 김성돈, "침해범·위험범, 결과범·거동범, 그리고 기수·미수의 구별기준" 한국형사판례연구회 17 : 1-24, 2009

      11 김성룡, "치료행위중단에 있어서 작위와 부작위의 구별" 한국형사판례연구회 13 : 2005

      12 이천현, "준강도죄의 기수 및 미수의 판단기준" 한국형사판례연구회 14 : 2006

      13 김성룡, "준강도죄 해석론의 몇 가지 문제점" 한국형사법학회 21 (21): 315-334, 2009

      14 이정원, "제조업자의 염산날부핀 판매행위와 필요적 공범 - 대법원 2001.12.28. 선고, 2001도5158 판결 -" 한국형사법학회 20 (20): 239-257, 2008

      15 최병각, "정당행위와 사회상규" 한국형사판례연구회 10 : 2002

      16 한영수, "재벌그룹회장에 대한 집행유예의 선고 ―경합범가중처벌규정의 문제점을 포함하여 사회봉사명령의 개념에 대한 해석론―" 한국형사판례연구회 17 : 118-161, 2009

      17 이정원, "의학적 권고에 반한 퇴원으로 사망한 환자에 대한 형사책임 - 대판 2004.6.24, 2002도995: 소위 보라매병원사건 -" 한국비교형사법학회 6 (6): 361-388, 2004

      18 김우진, "운동경기중 발생한 상해와 형사책임" 한국형사판례연구회 18 : 39-83, 2010

      19 박미숙, "심신장애 판단과 감정" 한국형사판례연구회 19 : 107-137, 2011

      20 김혜정, "소아기호증과 책임판단문제" 한국형사판례연구회 16 : 2008

      21 천진호, "사회적 상당성 이론에 대한 재고" 경북대학교법학연구소 13 : 1997

      22 이인영, "사회상규의 의미와 정당행위의 포섭범위 - 체벌의 허용요건과 정당행위" 한국형사판례연구회 13 : 2005

      23 천진호, "사회상규에 위배되지 아니하는 행위’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비교형사법학회 3 (3): 2001

      24 이규훈, "사회봉사명령의 의의 및 한계" 한국형사판례연구회 17 : 162-233, 2009

      25 홍영기, "불능미수의 가능성 표지 - 장애미수와 불능미수의 구별 요건 -" 한국형사법학회 20 (20): 55-74, 2008

      26 김호기, "불능미수에서의 착오, 결과발생의 불가능, 위험성" 한국비교형사법학회 9 (9): 73-96, 2007

      27 이정원, "불능미수에서 범죄실현의 불가능과 위험성"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8 (18): 5-28, 2007

      28 임웅, "불능미수에 있어서 ‘착오로 인한 결과발생불가능’과 ‘위험성’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법학회 22 (22): 151-182, 2010

      29 천진호, "불능미수범의 '결과발생 불가능’과 관련한 해석상의 문제점" 법학연구소 (42) : 91-116, 2008

      30 정도희, "본질적 기여를 고려한 공모공동정범" 한국형사법학회 23 (23): 127-150, 2011

      31 김영환, "법률의 부지의 형법해석학적 문제점" 한국형사법학회 (21) : 185-210, 2004

      32 천진호, "독일 형법학에서 책임개념의 변화와 회피가능성이론" 한국비교형사법학회 9 (9): 433-458, 2007

      33 조국, "대향범 중 불가벌적 대향자에 대한 공범규정 적용" 한국형사판례연구회 11 : 2003

      34 이원경, "기능적 행위지배와 공모공동정범의 정범성" 한국형사법학회 22 (22): 59-86, 2010

      35 하태훈, "기능적 범행지배의 의미" 한국형사판례연구회 12 : 2004

      36 이용식, "공동자 중 1인의 실행착수 이전 범행이탈 - 공동정범의 처벌한계 -" 한국형사판례연구회 11 : 2003

      37 최호진, "공동의 가공사실과 본질적 기여행위판단" 한국형사법학회 (21) : 211-231, 2004

      38 천진호, "결과적 가중범의 중지미수" 한국형사법학회 (26) : 47-72, 2006

      39 변종필, "결과적 가중범에서 기본범죄가 미수인 경우의 법해석" 한국비교형사법학회 6 (6): 347-366, 2004

      40 이진국, "對向犯의 構造에 관한 一考" 한국비교형사법학회 4 (4): 4-108, 2002

      41 박상기, "共同正犯論과 現代的 課題" 한국형사법학회 21 (21): 47-66, 2009

      42 천진호, "‘공모’공동정범에 있어서 공모의 정범성" 한국형사판례연구회 9 : 2001

      43 천진호, "<형사법연구 20년>을 통해서 본 공범론의 변화와 발전" 한국형사법학회 20 (20): 65-84, 2008

      44 오영근, "1990년대의 형사판례 - 책임 . 미수 . 공범론을 중심으로 -" 한국형사판례연구회 9 :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1-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 1 0.8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2 0.79 1.043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