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국형 재난현장 통합대응 표준체계 개발연구 = A Study On Developing Korean Standardized Integrated Response System For Disaster Sit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566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재난은 점차 복합, 대형화되고 있다. 이러한 재난 발생 시에는 기관 간 상호협업을 통해 신속하게 대응해야한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재난 대응 시 각 분야(기관)별로 지휘체계를 분리해서 운영하고 있어 통합적인 재난대응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난유형 및 규모에 관계없이 적용 가능한 ‘한국형 재난현장 통합대응 표준체계’를 개발하였다. 다수기관들이 공통적으로 사용 가능한 표준편제, 표준행동요령(SOP), 표준용어를 개발하였으며, 표준체계를 실현하기 위한 법/제도적 뒷받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통합대응 표준체계의 활용을 통해 재난현장의 일원화된 지휘/통제, 기관들의 대응 업무 명확화,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해지며, 재난대응 및 수습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재난은 점차 복합, 대형화되고 있다. 이러한 재난 발생 시에는 기관 간 상호협업을 통해 신속하게 대응해야한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재난 대응 시 각 분야(기관)별로 지휘체계를 분리해서 운...

      재난은 점차 복합, 대형화되고 있다. 이러한 재난 발생 시에는 기관 간 상호협업을 통해 신속하게 대응해야한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재난 대응 시 각 분야(기관)별로 지휘체계를 분리해서 운영하고 있어 통합적인 재난대응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난유형 및 규모에 관계없이 적용 가능한 ‘한국형 재난현장 통합대응 표준체계’를 개발하였다. 다수기관들이 공통적으로 사용 가능한 표준편제, 표준행동요령(SOP), 표준용어를 개발하였으며, 표준체계를 실현하기 위한 법/제도적 뒷받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통합대응 표준체계의 활용을 통해 재난현장의 일원화된 지휘/통제, 기관들의 대응 업무 명확화,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해지며, 재난대응 및 수습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very year, the complexity and scale of disasters are growing. Cooperation between institutions must occur in order to adequately respond to urgent situations caused by these disasters. However, agencies and institutions tend to operate separately, which impose limitations to an integrated disaster response. To combat this problem, the subject of this study: ‘Korean standardized integrated response system For disaster site’ proposes to develop a response system that is applicable to disasters of all types and scales. Standard Formation, SOP (Standard Operation Procedure), and Standard Terms have been developed to be applicable to various institutions and agencies. The necessity for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to actualize the standardized system is focused on. Utilizing a standardized integrated response system will enable a unified command and control structure at disaster sites, clarify each institution’s response tasks, and allow clear and efficient communication among response entities. Ultimately, these benefits will improve efficiency and performance in disaster response efforts.
      번역하기

      Every year, the complexity and scale of disasters are growing. Cooperation between institutions must occur in order to adequately respond to urgent situations caused by these disasters. However, agencies and institutions tend to operate separately, wh...

      Every year, the complexity and scale of disasters are growing. Cooperation between institutions must occur in order to adequately respond to urgent situations caused by these disasters. However, agencies and institutions tend to operate separately, which impose limitations to an integrated disaster response. To combat this problem, the subject of this study: ‘Korean standardized integrated response system For disaster site’ proposes to develop a response system that is applicable to disasters of all types and scales. Standard Formation, SOP (Standard Operation Procedure), and Standard Terms have been developed to be applicable to various institutions and agencies. The necessity for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to actualize the standardized system is focused on. Utilizing a standardized integrated response system will enable a unified command and control structure at disaster sites, clarify each institution’s response tasks, and allow clear and efficient communication among response entities. Ultimately, these benefits will improve efficiency and performance in disaster response effor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Abstract
      • 1. 서 론
      • 2. 한국형 재난현장 통합대응 표준체계 개발
      • 3. 결 론
      • 국문요약
      • Abstract
      • 1. 서 론
      • 2. 한국형 재난현장 통합대응 표준체계 개발
      • 3. 결 론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