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콘텐츠 개념에 대한 비교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540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콘텐츠의 개념과 시대적 가치를 검토하기 위한 목적으로 서술되었다. 인터넷 기술의 발전과 함께 등장한 콘텐츠라는 신조어는 한국과 일본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그 ...

      이 논문은 콘텐츠의 개념과 시대적 가치를 검토하기 위한 목적으로 서술되었다. 인터넷 기술의 발전과 함께 등장한 콘텐츠라는 신조어는 한국과 일본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그 의미가 너무나도 다양해서 어떤 대상을 지칭하는지 불분명한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현상에 문제의식을 갖고, 한국과 일본에서 사용되고 있는 콘텐츠 개념의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학문적으로 어떻게 정의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첫 번째, 한국과 일본의 법률에서 콘텐츠를 공식적으로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한국 법률에서 콘텐츠는 ‘구성요소’라는 의미가 강조된 용어였다면, 일본 법률에서는 영화, 음악, 사진, 만화와 같은 ‘완성된 창작물’로서 콘텐츠를 규정하고 있었다.
      두 번째, 산업으로서 콘텐츠의 특징은 무엇이며, 콘텐츠 산업은 어떤 분야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콘텐츠의 매출액 통계를 살펴보면, 한국과 일본의 콘텐츠 핵심 분야는 거의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콘텐츠의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과 일본의 콘텐츠 연구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한국에서는 ?문화콘텐츠? 라는 용어가 콘텐츠를대표하는 개념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었다. 일본에서는 콘텐츠를 ‘엔터테인먼트계의 정보재(情報財)’로 규정하고, 대중들이 선호하는 ‘즐거움’의 가치를 중요시하는 특징이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ain the concept of "content" its value in the current era. First, I looked at the legal definition of content in both Japan and Korea. In Korean law, the "compositional aspect" of the term content has been stress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ain the concept of "content" its value in the current era. First, I looked at the legal definition of content in both Japan and Korea. In Korean law, the "compositional aspect" of the term content has been stressed. In contrast, the word content has the meaning of "a finished work" such as a film, piece of music, picture or comic in Japanese law.
      Next, I looked into the characteristics and field of content as an industry. The content industry has been recognized as a promising, core next-generation industry in both Korea and Japan. Furthermore, upon examining the sales figures for the content industries in Korea and Japan, I found that the core of the content field in the two countries is almost identical.
      Finally, I examined research on content done in both Korea and Japan, mostly by looking at previous studies on content in these two countries. In Korea, "cultural content" is particularly widely used as a concept that represents content. Meanwhile, content is defined as "entertainment related intellectual property" in Japan, and carries the idea that it grants the "right to reproduce the origina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법률 용어로서 콘텐츠
      • 3. 산업적 가치와 산업으로서의 콘텐츠
      • 4. 콘텐츠의 선행연구와 관련 용어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법률 용어로서 콘텐츠
      • 3. 산업적 가치와 산업으로서의 콘텐츠
      • 4. 콘텐츠의 선행연구와 관련 용어
      • 5.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심상민, "콘텐트비지니스의 새 흐름과 대응전략" 삼성경제연구소 1-3, 2002

      2 김기덕, "콘텐츠의 개념과 인문콘텐츠" 인문콘텐츠학회 1 : 2003

      3 박상한, "철학, 문화콘텐츠를 말하다" 도서출판 상 2011

      4 김기덕, "정보화시대의 역사학:영상역사학을 제창한다" 역사교육연구회 75 : 2000

      5 유영대, "전주대사습놀이의 전통과 콘텐츠의 확장" 한국학연구소 (37) : 89-112, 2011

      6 김원열, "인문콘텐츠의 학적 성립 가능성에 대한 연구"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 (20): 43-71, 2009

      7 김현, "인문콘텐츠를 위한 정보학 연구 추진 방향" 인문콘텐츠학회 1 : 2003

      8 박상천, "예술의 변화와 문화콘텐츠의 의의" 인문콘텐츠학회 2 : 2003

      9 박상천, "문화콘텐츠학의 학문 영역과 연구 분야 설정에 관한 연" 인문콘텐츠학회 (10) : 59-84, 2007

      10 신방흔, "문화콘텐츠를 위한 시각예술과 대중문화" 진한도서 2002

      1 심상민, "콘텐트비지니스의 새 흐름과 대응전략" 삼성경제연구소 1-3, 2002

      2 김기덕, "콘텐츠의 개념과 인문콘텐츠" 인문콘텐츠학회 1 : 2003

      3 박상한, "철학, 문화콘텐츠를 말하다" 도서출판 상 2011

      4 김기덕, "정보화시대의 역사학:영상역사학을 제창한다" 역사교육연구회 75 : 2000

      5 유영대, "전주대사습놀이의 전통과 콘텐츠의 확장" 한국학연구소 (37) : 89-112, 2011

      6 김원열, "인문콘텐츠의 학적 성립 가능성에 대한 연구"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 (20): 43-71, 2009

      7 김현, "인문콘텐츠를 위한 정보학 연구 추진 방향" 인문콘텐츠학회 1 : 2003

      8 박상천, "예술의 변화와 문화콘텐츠의 의의" 인문콘텐츠학회 2 : 2003

      9 박상천, "문화콘텐츠학의 학문 영역과 연구 분야 설정에 관한 연" 인문콘텐츠학회 (10) : 59-84, 2007

      10 신방흔, "문화콘텐츠를 위한 시각예술과 대중문화" 진한도서 2002

      11 최연구, "문화콘텐츠란 무엇인가" 살림 2006

      12 이기상, "문화콘텐츠 학의 이념과 방향 - 소통과 공감의 학 -" 인문콘텐츠학회 (23) : 9-40, 2011

      13 임학순, "문화콘텐츠 접근성, 그 의미와 정책과제" 한국예술경영학회 3 : 2003

      14 "국가법령 정보센타의 「콘텐츠산업 진흥법」의 원문 참조"

      15 "국가법령 정보센타의 「문화산업진흥 기본법」의 원문 참조"

      16 "韓国のコンテンツ振興策と海外市場における直接効果・間接効果の分析" 日本貿易振興機構(JETRO) 2011

      17 "著作物等の流通促進に関する調査研究事業, 日本のコンテンツの海外展開促進に関する基礎調査(報告書)" 三菱UFJリサーチ&コンサルティング 2011

      18 水鳥川和夫, "日本発のコンテンツは世界を変える, In コンテンツ・ビジネスが地域を変える" NTT出版 2005

      19 境真良, "日本のコンテンツ政策, In コンテンツ学" 世界思想社 2007

      20 "平成22年度クール・ジャパン戦略推進事業(メディア・コンテンツ分野における戦略構築及び他分野への波及効果調査)" 経済産業省 2011

      21 三矢惠子, "世論調査からみた「冬ソナ」現象−「冬のソナタ」に関する世論調査から" NHK 放送文化研究所 2004

      22 "デジタルコンテンツ白書 2012" 一般財団法人デジタルコンテンツ協会 2012

      23 田中辰雄, "コンテンツ産業の経済・経営分析, In ゲーム産業の経済分析" 東洋経済新報社 2003

      24 出口弘, "コンテンツ産業のプラットフォーム構造と超多様性市場, In コンテンツ産業論―混淆と伝播の日本型モデル" 東京大学出版会 2009

      25 田中 秀幸, "コンテンツ産業とは何か, In コンテンツ産業論" 東京大学出版会 2009

      26 長谷川 文雄, "コンテンツ学" 世界思想社 2007

      27 岡本健, "コンテンツツーリズム研究序説―情報社会における観光の新たなあり方とその研究概念の構築" コンテンツツーリズム研究会 1 : 2011

      28 "コンテンツの創造、保護及び活用の促進に関する法律"

      29 杉山知之, "クール・ジャパン 世界が買いたがる日本" 祥伝社 2006

      30 박상천, "‘문화콘텐츠’ 개념 정립을 위한 시론" 한국언어문화학회 (33) : 183-214, 2007

      31 박상천, "Culture Technology와 문화콘텐츠" 한국언어문화학회 22 : 5-28, 2002

      32 小山友介, "2つのコンテンツ産業システム, In コンテンツ産業論―混淆と伝播の日本型モデル" 東京大学出版会 2009

      33 "2010 콘텐츠 산업백서" 문화체육관광부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1-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TUDIES INSTITUTE -> Center for Korean Studies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1-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71 1.169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