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비트코인은 증권인가? = 증권에 대한 정의와 투자자보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533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증권법상 증권에 대한 정의는 증권으로서 첫발을 내딛는 데 있어서 필수적이다. 증권의 정의를 충족하지 못한 증권의 유통은 있을 수 없다. 시민권이 없으면 시민으로서의 정당한 권리와 의...

      증권법상 증권에 대한 정의는 증권으로서 첫발을 내딛는 데 있어서 필수적이다. 증권의 정의를 충족하지 못한 증권의 유통은 있을 수 없다. 시민권이 없으면 시민으로서의 정당한 권리와 의무를 행할 수 없는 것과 같다. 미국 증권법과 국내 자본시장법상 투자계약과 관련한 증권의 정의가 본질적으로 다르지는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과 국내 감독당국은 비트코인과 ICO Token에 대하여 서로 다른 결정을 내렸다. 즉, 미국 감독당국은 “비트코인은 증권이 아니지만 ICO Token은 증권”이라고 정의하는 법적 판단을 행한 반면, 국내 감독당국은 법적 판단 없이 ICO 자체를 전면금지하였다. 왜 이러한 차이가 발생한 것인가? 이유는 크게 두 가지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 자본시장법은 포괄주의의 이름으로 미국 증권법상 증권의 정의를 수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동시에 증권유형화이론을 채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증권은 특정하게 제한된 형식을 갖추어야 하고, 투자자금을 조달하고자 하는 자와 제공하는 자 간의 관계 ‘이전에’ 증권이 존재하여야 하는 것처럼 정의된다. 이러한 증권유형화이론에 의하면, ICO Token은 특정하게 제한된 형식을 충족하지 못하므로 증권의 정의에 부합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둘째, 설령 ICO Token을 증권으로 판단하더라도, 규제집행단계에서 감독당국이 충분한 사후규제수단을 보유하지 못하면 사기, 시세조작 등의 위험요인에 대한 적절한 대응을 할수가 없으므로 ICO의 활동을 허용하는 것이 쉽지 않을 수 있다. 미국 감독당국은 투자자보호를 위하여 행정적 및 민사적 제재수단을 포함한 사법적 권한 등 사후규제를 행할 수 있는 정책수단을 지니고 있다. 이에 따라 가상통화 및 ICO에 대한 규제체계가 완전히 준비될 때까지 기다리기보다는 초기 단계부터 ICO Token을 증권으로 정의하여 유통을 허용하고 규제체계를 만들어 가는 방법론을 취하고 있다. 하지만 충분한 사후규제 수단을 갖지 못한 우리로서는 미국과 같은 선택을 하기가 곤란할 수 있다.
      본고는 위의 두 가지 가능성 가운데 첫째 가능성에 대하여 법리적으로 논의한다. 규제 적용은 증권의 정의를 대상으로 시작하는 것이 자연스럽고, 더구나 ICO 자체를 전면 금지하면서 ICO 토큰을 증권이라고 판단하였다면 응당 있어야 하는 증권의 등록과 관련한 자본시장법상 의무이행을 보완요건으로 요구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ICO 토큰을 증권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였을 것이라는 추론을 배제하기 어렵다. 만일 그렇다면 증권법과 자본시장법상 증권의 정의에 대하여 면밀한 비교 검토가 필요한바, 두 법의 증권에 대한 정의를 비교하면, SEC v. Howey의 본래 취지는 증권의 특정 유형과는 무관한 증권의 보편적 특성을 정의하는 것인 반면, 국내 자본시장법은 증권유형화이론에 따라 SEC v. Howey를 충족하는 특정 유형의 증권, 이를 테면 ‘Howey-type 증권’을 따로 정의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증권유형화이론은 증권의 보편적 정의와 상충될 뿐만 아니라 필요하지도 않으며 증권의 범위를 과도하게 사전 제한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자본시장법상 증권의 정의에서 증권유형화이론의 최소화 내지는 배제가 바람직하다고 판단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efinition of security is a starting point of the security law. Without satisfying the definition, security cannot distribute. The definition of security is a like-kind of citizenship in a country without which no man can hold rights and duties as a c...

      Definition of security is a starting point of the security law. Without satisfying the definition, security cannot distribute. The definition of security is a like-kind of citizenship in a country without which no man can hold rights and duties as a citizen. Securities regulation in the U.S. and Korea share a common in the definitions of security: SEC v. Howey. However, two countries’s regulatory authorities have reached at different regulatory decisions on ICO (initial coin offering) Token. While SEC approves ICO Token to be a security, Korean regulatory authority disapproves. Why? There can be two possibilities. First, even though Korean Capital Market Act embraces SEC v. Howey, the Act narrows the definition of security and suggests ‘allowable types of securities’ (ATS) under which SEC v. Howey validates as a Howey-type security. Therefore, ICO Token may not satisfy the allowable definition of security. Second, in the enforcement dimension, Korean financial supervisory authorities does not have strong ex post enforcement powers that SEC has in promulgating legislative rule, judicial and administrative enforcement actions. Due to the lack of the enforcement powers, the Korean supervisory authorities may have concerns about misconducts or arguable misconducts of ICO that need timely and investigative examination as SEC enforcement power. This paper mostly focuses on the first issue, but this does not deny the importance of the second issue. In order to understand the decision differences of the two regulatory authorities, we may need some legal theory discussions especially about SEC v. Howey, that is, whether SEC v. Howey defines a general security or a specific type of security. As a result of discussion, this paper conclusively suggests ATS to be minimized or excluded from the definition of security in the Capital Market Ac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Ⅰ. 서론
      • Ⅱ. 비트코인과 ICO
      • Ⅲ. 미국 증권법상 증권에 대한 정의
      • Ⅳ. 국내 자본시장법상 ICO 토큰에 대한 평가
      • 【초록】
      • Ⅰ. 서론
      • Ⅱ. 비트코인과 ICO
      • Ⅲ. 미국 증권법상 증권에 대한 정의
      • Ⅳ. 국내 자본시장법상 ICO 토큰에 대한 평가
      • Ⅴ. 정책과제
      • Ⅵ.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용재, "자본시장법상 원칙중심규제 도입의 필요성 및 방향" 한국증권법학회 19 (19): 159-186, 2018

      2 심인숙,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상 ‘투자계약증권’ 개념에 대한 검토 - 미국 연방증권법상 ‘투자계약’(investment contract)과의 비교법적 검토 -" 한국비교사법학회 15 (15): 53-100, 2008

      3 "https://www.sec.gov/news/testimony/testimony-virtual-currencies-oversight-role-us-securities-andexchange-commission"

      4 "United States v. Sumeru, 449 Fed. Appx. 617(2011)"

      5 Nowak, Eric, "The German Financial System"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6 Bates, George E., "The Federal Securities Act of 1933" 43 : 1933

      7 "Silver Hills Country Club v. Sobieski , 55 Cal.2d 811(1961)"

      8 Choi, Stephen J., "Securities Regulation" Wolters Kluwer 2008

      9 Cox, James, "Securities Regulation" Wolters Kluwer 2017

      10 "Salameh v. Tarsadia Hotel, 726 F. 3d 1124(2013)"

      1 김용재, "자본시장법상 원칙중심규제 도입의 필요성 및 방향" 한국증권법학회 19 (19): 159-186, 2018

      2 심인숙,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상 ‘투자계약증권’ 개념에 대한 검토 - 미국 연방증권법상 ‘투자계약’(investment contract)과의 비교법적 검토 -" 한국비교사법학회 15 (15): 53-100, 2008

      3 "https://www.sec.gov/news/testimony/testimony-virtual-currencies-oversight-role-us-securities-andexchange-commission"

      4 "United States v. Sumeru, 449 Fed. Appx. 617(2011)"

      5 Nowak, Eric, "The German Financial System"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6 Bates, George E., "The Federal Securities Act of 1933" 43 : 1933

      7 "Silver Hills Country Club v. Sobieski , 55 Cal.2d 811(1961)"

      8 Choi, Stephen J., "Securities Regulation" Wolters Kluwer 2008

      9 Cox, James, "Securities Regulation" Wolters Kluwer 2017

      10 "Salameh v. Tarsadia Hotel, 726 F. 3d 1124(2013)"

      11 "SEC v. Lauer, 52 F.3d 667(1995)"

      12 "SEC v. Infinity Group, 212 F.3d 180(2000)"

      13 "SEC v. Howey Co., 328 U.S. 293(1946)"

      14 "SEC v. Edwards, 540 U.S. 389(2004)"

      15 "SEC v. ETS Payphones, Inc., 408 F.3d 727(2005)"

      16 "Reves v. Ernst & Young , 494 U.S. 56(1990)"

      17 SEC, "Report of Investigation Pursuant to Section 21(a) of the Securities Exchange Act of 1934:The DAO" 2017

      18 "Marini v. Adamo, 995 F. Supp. 2d 155(2014)"

      19 La Porta, R., "Legal Determinant of External Finance" 52 : 1131-1150, 1997

      20 La Porta, R., "Law and Finance" 106 : 1113-1155, 1998

      21 Albrechts, Jeffrey E., "Is bitcoin a security?"

      22 Shleifer, Andrei, "Investor protection and equity markets" 66 : 2002

      23 La Porta, R., "Investor protection and corporate governance" 58 : 3-28, 2000

      24 "Hocking v. Dubois, 885 F. 2d 1449(1989)"

      25 "Halliburton Co. v. Erica P. John Fund, Inc ., 134 S.Ct. 2398(2014)"

      26 SEC, "Chairman’s Testimony on Virtual Currencies: The Roles of the SEC and CFTC"

      27 "Bebo v. SEC, 799 F. 3d 765(2015)"

      28 "Basic Inc. v. Levinson, 108 S.Ct. 978(1988)"

      29 "Bamert v. Pulte Home Corp., 445 Fed. Appx. 250(2011)"

      30 "Arnson v. My Investing Place L.L.C. , 2013 WL 5724048(U.S. District Court, D. Utah, Central Division, 2013)"

      31 Pound, Roscoe,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Law" Yale Univ. Press 1921

      32 Chu, Chien-Chi,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vestor Protection, Government Behavior, and Financial Development" 2017

      33 Scalia, Antonin, "A Matter of Interpretation" Princeton Press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3-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ecurities Law Association -> Korea Securities Law Associatio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8 1.08 1.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15 1.36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