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동북아 고대 해상무역제도에 관한 고찰  :  장보고의 통상네트워크와 관련하여 = Ancient Marine Trade System in Northeast Asian Area and Changbogo`s Commerce Networ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0889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통상사적 측면과 무역상무론적 관점에서 9세기 동북아 해상교역환경과 장보고의 해상무역의 실체를 규명함으로써 오늘날 동북아지역간의 통상협력을 통한 발전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9세기 통일신라, 중국의 당나라 및 일본을 중심으로 한 동북아지역의 해상교역제도의 일반환경과 발전요소를 분석하고, 장보고 해상무역의 특성 및 교역관행 그리고 물적·인적 네트워크를 통한 동북아 통상네트워크 기반을 분석하고 있다.
      특히 동북아지역 통상네트워크의 구축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장보고 해상교역의 특성으로 우선 지리적으로는 고대 동북아지역을 중심으로 한 통일신라의 청해진과 중국 당대의 산동성 법화원 그리고 일본의 하까다지점을 연결하는 해상교역네트워크를 구축한 점이고 둘째, 해상교역관행으로 주로 중계무역형태와 선불제도관행, 통상정책적 제반활동을 수행한 점과 셋째, 해상교역의 주요 수단으로 신라의 항해술과 당대의 발달된 조선술을 기초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은 해상교역을 통하여 새로운 시장과 제품, 신사고라는 국제교역의 동기를 바탕으로 하여, 오늘날에도 여전히 국제무역의 주요 요인으로서 향후 동북아지역의 새로운 통상환경의 기반을 더욱 촉진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통상사적 측면과 무역상무론적 관점에서 9세기 동북아 해상교역환경과 장보고의 해상무역의 실체를 규명함으로써 오늘날 동북아지역간의 통상협력을 통한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본 연구는 통상사적 측면과 무역상무론적 관점에서 9세기 동북아 해상교역환경과 장보고의 해상무역의 실체를 규명함으로써 오늘날 동북아지역간의 통상협력을 통한 발전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9세기 통일신라, 중국의 당나라 및 일본을 중심으로 한 동북아지역의 해상교역제도의 일반환경과 발전요소를 분석하고, 장보고 해상무역의 특성 및 교역관행 그리고 물적·인적 네트워크를 통한 동북아 통상네트워크 기반을 분석하고 있다.
      특히 동북아지역 통상네트워크의 구축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장보고 해상교역의 특성으로 우선 지리적으로는 고대 동북아지역을 중심으로 한 통일신라의 청해진과 중국 당대의 산동성 법화원 그리고 일본의 하까다지점을 연결하는 해상교역네트워크를 구축한 점이고 둘째, 해상교역관행으로 주로 중계무역형태와 선불제도관행, 통상정책적 제반활동을 수행한 점과 셋째, 해상교역의 주요 수단으로 신라의 항해술과 당대의 발달된 조선술을 기초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은 해상교역을 통하여 새로운 시장과 제품, 신사고라는 국제교역의 동기를 바탕으로 하여, 오늘날에도 여전히 국제무역의 주요 요인으로서 향후 동북아지역의 새로운 통상환경의 기반을 더욱 촉진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rvey the ancient marine trade in Northeast Asian Area and present the directions for developing through the economical cooperations among Korea, China and Japan in Northeast Asian district.
      In order to achieve of above purposes, this paper investigated the environments of marine trade and the practices of Changbogo's marine trade focus on Silla, Tang in China and Japan in the 9th century.
      The features of Changbogo's marine trade are as follows: First, geographically, Changbogo constructed marine trade network linking in Silla, Tang, Japan, in the center of ancient Northeast Asian areas Second, Types of marine trade is largely today's intermediary trade Third, His marine trade depended on the technical improvement of navigation and shipbuilding.
      These things are also central factors of today's international trade and they are necessary to open up a new market through the marine trad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rvey the ancient marine trade in Northeast Asian Area and present the directions for developing through the economical cooperations among Korea, China and Japan in Northeast Asian district. In order to achieve of ab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rvey the ancient marine trade in Northeast Asian Area and present the directions for developing through the economical cooperations among Korea, China and Japan in Northeast Asian district.
      In order to achieve of above purposes, this paper investigated the environments of marine trade and the practices of Changbogo's marine trade focus on Silla, Tang in China and Japan in the 9th century.
      The features of Changbogo's marine trade are as follows: First, geographically, Changbogo constructed marine trade network linking in Silla, Tang, Japan, in the center of ancient Northeast Asian areas Second, Types of marine trade is largely today's intermediary trade Third, His marine trade depended on the technical improvement of navigation and shipbuilding.
      These things are also central factors of today's international trade and they are necessary to open up a new market through the marine trad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序論
      • Ⅱ. 古代 東北亞 海上交易制度 分析
      • 1. 東北亞의 古代 海上交易環境
      • 2. 古代 東北亞 海上交易制度의 發展要素
      • Ⅲ. 張保皐의 東北亞의 通商네트워그 構築 및 評價
      • Ⅰ. 序論
      • Ⅱ. 古代 東北亞 海上交易制度 分析
      • 1. 東北亞의 古代 海上交易環境
      • 2. 古代 東北亞 海上交易制度의 發展要素
      • Ⅲ. 張保皐의 東北亞의 通商네트워그 構築 및 評價
      • 1. 張保皐 海上貿易의 特性과 交易慣行
      • 2. 張保皐 東北亞 通商네트워크의 構築 및 評價
      • Ⅳ. 結論
      • -張保皐 通商네트워크의 通商史的 意義-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