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반교사의 통합학급 내 장애학생의 수업통합 효율화를 위한 관련 수업 구성요인에 대한 인식 조사 = Recognition Survey on Importance and Performance per Instruction Factor of General Education Teachers for the Efficiency in Class Inclusiv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ithin Inclusive Classroo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70174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ose recognized by general education teachers to be important for enhancing instruction effects and expanding classroom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ithin inclusive classroom per each instruction structural factor and compare those actually practiced by each school process. For this purpose, the common instruction factor(student, instructor, subject, environment) were extracted through related precedent studies and a survey was developed after going through a process to analyze the answers received o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from 114 present instructors in regular classroom. As a result,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had high levels of recognition for the overall structural factors for teaching while showing low levels of performance for actual performance and such differences appeared regardful as the groups moved higher in grade level from elementary school to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Based on such results, measures were prepared for general education teachers to carry both the actual knowledge and theoretical knowledge and also suggested measures for upward equalization of quality standards for inclusive educ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ose recognized by general education teachers to be important for enhancing instruction effects and expanding classroom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ithin inclusive classroom per each in...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ose recognized by general education teachers to be important for enhancing instruction effects and expanding classroom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ithin inclusive classroom per each instruction structural factor and compare those actually practiced by each school process. For this purpose, the common instruction factor(student, instructor, subject, environment) were extracted through related precedent studies and a survey was developed after going through a process to analyze the answers received o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from 114 present instructors in regular classroom. As a result,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had high levels of recognition for the overall structural factors for teaching while showing low levels of performance for actual performance and such differences appeared regardful as the groups moved higher in grade level from elementary school to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Based on such results, measures were prepared for general education teachers to carry both the actual knowledge and theoretical knowledge and also suggested measures for upward equalization of quality standards for inclusive educ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원식, "현대교육심리학" 교육과학사 1994

      2 국립특수교육원, "한국특수교육기관의 운영 실태 및 교육만족도 조사 연구" 2006

      3 이소현, "특수아동교육" 학지사 2010

      4 권요한, "특수교육 교육과정론" 학지사 2010

      5 정주영, "통합학급의 정신지체아 교수적합화" 단국대학교. 2003

      6 정주영, "통합학급내 정신지체 학생의 교수적 지원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과 실제" 한국특수교육학회 38 (38): 219-250, 2003

      7 정희섭, "통합교육 장면에서의 교육과정 실행 방략"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3

      8 권요한, "통합 교욱에서의 교육과정 조정 요인" 한국특수교육학회 37 (37): 249-278, 2002

      9 박승희,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일반교육과정 적용실태:학생 장애정도와 교사 변인에 따른 차이" 한국교육개발원 29 (29): 131-162, 2002

      10 엄미애, "초등 통합학급 교사의 장애학생 교수에 대한 교사효능감과 교수적 수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분석" 한국통합교육학회 6 (6): 137-161, 2011

      1 정원식, "현대교육심리학" 교육과학사 1994

      2 국립특수교육원, "한국특수교육기관의 운영 실태 및 교육만족도 조사 연구" 2006

      3 이소현, "특수아동교육" 학지사 2010

      4 권요한, "특수교육 교육과정론" 학지사 2010

      5 정주영, "통합학급의 정신지체아 교수적합화" 단국대학교. 2003

      6 정주영, "통합학급내 정신지체 학생의 교수적 지원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과 실제" 한국특수교육학회 38 (38): 219-250, 2003

      7 정희섭, "통합교육 장면에서의 교육과정 실행 방략"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3

      8 권요한, "통합 교욱에서의 교육과정 조정 요인" 한국특수교육학회 37 (37): 249-278, 2002

      9 박승희,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일반교육과정 적용실태:학생 장애정도와 교사 변인에 따른 차이" 한국교육개발원 29 (29): 131-162, 2002

      10 엄미애, "초등 통합학급 교사의 장애학생 교수에 대한 교사효능감과 교수적 수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분석" 한국통합교육학회 6 (6): 137-161, 2011

      11 강경숙, "중등 팀 기반 통합지원과정에서 인식된 교수적 수정에 대한 질적 분석" 한국통합교육학회 43-66, 2011

      12 박승희, "장애학생의 교육과정적 통합을 위한 일반학교의 학교수준 교육과정계획 모형" 한국특수교육학회 37 (37): 199-236, 2002

      13 강경숙, "일반초등학교 장애학생의 교육과정적 통합 촉진을 위한 관련변인 간 관계 모형개발 및 검증 -통합학급 담당 일반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41 (41): 107-132, 2007

      14 김재복, "우리 나라 교육과정 연구 개발의 방향.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3-26, 1998

      15 박현주, "교육과정의 특성에서 본 ‘실제성’ 이론의 타당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1

      16 박현주, "교육과정의 재구성 과정: 개별적 교육과정" 34 (34): 231-249, 1996

      17 김두정, "교육과정 운영" 14 (14): 106-125, 1996

      18 Wehmeyer, M. L.,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access to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and students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14 (14): 225-235, 2006

      19 Richey, R. S, "The theoretical & conceptual bases of instructional design" Routledge 1986

      20 Schwab, J. J, "The practical: A language for curriculum. In Curriculum and Evaluation" McCutchan 1969

      21 Wehmeyer, M. L, "Teaching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providing assess to the general curriculum"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2002

      22 Kochhar, C. A., "Successful inclusion: Practical strategies for a shared responsibility" Prentice-Hall, Inc 2000

      23 Snell, M. E., "Inclusion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6th ed.)" Merrill/Prentice-Hall 2006

      24 Alper, S., "Curriculum and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significant disabilities in inclusive settings" Pearson Education, Inc 2003

      25 Hoover, J. J., "Curriculum adaptations for students with learnung and behavior problems: principles and practices(2nd ed.)" PRO-ED 1997

      26 Posner,G.J, "Analyzing the curriculum" 교육과학사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8-2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Association on Intellectual Disabilities
      KCI등재
      2008-06-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정신지체연구 -> 지적장애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Mental Retardation ->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10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신지체아교육연구회 ->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Education On Mental Retard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the Education on Mental Retard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 1.3 1.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 1.34 1.719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