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ㆍ일 양 언어의 부차언어정보 발화와 청취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366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인과 일본인의 모어를 사용한 부차언어정보발화에 대한 양 모어화자의 청취와, 일본인이 발화한 일본어 부차언어정보발화에 대한 한국인의 지각 특징을 비교·대조하고, 각 발화의 음성적 특성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 방법으로 먼저, 모어의 성취성향을 살피기 위하여 한·일 양 모어화자가 각자의 모어로 녹음한 부차언어정보 발화를 청취자의 모어별로 각각 들려주고 발화의도를 판정하게 하였다. 또한, 모어와 일본어의 청취 성향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일본인의 일본어 발화를 한국인에게 들려준 결과를 모어 청취결과와 비교한 후, 각 발화에 대한 음향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우선, 일본인과 한국인은 모두 모어의 부차언어정보를 판단할 때, 발화문의 종류보다는 발화의도에 따른 영향을 받지만 한국인이 일본어를 판정할 때에는 발화문의 종류와 발화의도 모두의 영향을 받는 경향이 있다. 다음으로, 일본어와 한국어의 감탄 발화는 억양이나 발화지속시간 면에서는 유사성을 확인할 수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청취자 조건에 상관없이 높은 정답률을 기록하였다. 마지막으로, 실망, 의심, 무관심, 중립의 발화의도에 대하여 혼동이 발생한 이유로는 문말 억양과 발화지속시간의 유사성을 들 수 있는데, 유사성이 높을수록 혼동의 발생률이 높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인과 일본인의 모어를 사용한 부차언어정보발화에 대한 양 모어화자의 청취와, 일본인이 발화한 일본어 부차언어정보발화에 대한 한국인의 지각 특징을 비교·대조하고, 각 ...

      본 연구는 한국인과 일본인의 모어를 사용한 부차언어정보발화에 대한 양 모어화자의 청취와, 일본인이 발화한 일본어 부차언어정보발화에 대한 한국인의 지각 특징을 비교·대조하고, 각 발화의 음성적 특성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 방법으로 먼저, 모어의 성취성향을 살피기 위하여 한·일 양 모어화자가 각자의 모어로 녹음한 부차언어정보 발화를 청취자의 모어별로 각각 들려주고 발화의도를 판정하게 하였다. 또한, 모어와 일본어의 청취 성향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일본인의 일본어 발화를 한국인에게 들려준 결과를 모어 청취결과와 비교한 후, 각 발화에 대한 음향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우선, 일본인과 한국인은 모두 모어의 부차언어정보를 판단할 때, 발화문의 종류보다는 발화의도에 따른 영향을 받지만 한국인이 일본어를 판정할 때에는 발화문의 종류와 발화의도 모두의 영향을 받는 경향이 있다. 다음으로, 일본어와 한국어의 감탄 발화는 억양이나 발화지속시간 면에서는 유사성을 확인할 수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청취자 조건에 상관없이 높은 정답률을 기록하였다. 마지막으로, 실망, 의심, 무관심, 중립의 발화의도에 대하여 혼동이 발생한 이유로는 문말 억양과 발화지속시간의 유사성을 들 수 있는데, 유사성이 높을수록 혼동의 발생률이 높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지〉
      • 1. 머리말
      • 2. 선행연구
      • 3. 한ㆍ일 양 언어 부차언어정보 발화에 대한 한국인과 일본인의 지각
      • 4. 발화의도별 음향분석 결과 대조 및 고찰
      • 〈요지〉
      • 1. 머리말
      • 2. 선행연구
      • 3. 한ㆍ일 양 언어 부차언어정보 발화에 대한 한국인과 일본인의 지각
      • 4. 발화의도별 음향분석 결과 대조 및 고찰
      • 5. 맺음말
      • 【참고문헌】
      • 〈要旨〉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민광준, "한국인학습자의 일본어 부차언어정보의 생성과 지각" 한국일본어학회 27 (27): 31-47, 2010

      2 고유진, "한국어화자에 의한 일본어 발화의 부차언어정보 지각에 관한 연구 - 한국인 학습자와 일본어 모어화자를 대상으로 -" 일본어문학회 63 (63): 1-22, 2013

      3 이호영, "한국어의 억양체계"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13) : 129-151, 1991

      4 정명숙, "한국어 억양의 기본 유형과 교육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3 (13): 10-242, 2002

      5 이한규, "한국어 담화 표지어 ‘그래’의 의미 연구" 담화인지언어학회 3 : 1-26, 1996

      6 前川喜久雄, "韻律によるパラ言語情報の表出に関する準備的考察" 13 (13): 13-16, 1996

      7 前川喜久雄, "音声はパラ言語情報をいかに伝えるか" 9 (9): 46-66, 2002

      8 三木理, "韓国語を母語とする日本語学習者の「これじゃない」の発話意図とイントネーション" 9 : 321-341, 2008

      9 이범석, "韓国人日本語学習者の発音学習における自己評価" 日本教育心理学会 25 : 157-174, 2009

      10 福岡昌子, "表現意図とアクセント核を含むモーラの基本周波数に関する習得研究:パラ言語情報の視点から" (27) : 64-76, 2004

      1 민광준, "한국인학습자의 일본어 부차언어정보의 생성과 지각" 한국일본어학회 27 (27): 31-47, 2010

      2 고유진, "한국어화자에 의한 일본어 발화의 부차언어정보 지각에 관한 연구 - 한국인 학습자와 일본어 모어화자를 대상으로 -" 일본어문학회 63 (63): 1-22, 2013

      3 이호영, "한국어의 억양체계"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13) : 129-151, 1991

      4 정명숙, "한국어 억양의 기본 유형과 교육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3 (13): 10-242, 2002

      5 이한규, "한국어 담화 표지어 ‘그래’의 의미 연구" 담화인지언어학회 3 : 1-26, 1996

      6 前川喜久雄, "韻律によるパラ言語情報の表出に関する準備的考察" 13 (13): 13-16, 1996

      7 前川喜久雄, "音声はパラ言語情報をいかに伝えるか" 9 (9): 46-66, 2002

      8 三木理, "韓国語を母語とする日本語学習者の「これじゃない」の発話意図とイントネーション" 9 : 321-341, 2008

      9 이범석, "韓国人日本語学習者の発音学習における自己評価" 日本教育心理学会 25 : 157-174, 2009

      10 福岡昌子, "表現意図とアクセント核を含むモーラの基本周波数に関する習得研究:パラ言語情報の視点から" (27) : 64-76, 2004

      11 福岡昌子, "日本語教育の過去·現在·未来 第4巻音声" 凡人社 70-97, 2009

      12 橋本慎吾, "パラ言語情報の音声的特徴抽出に関する一考察:異る演者が発する‘俺は遊びじゃ歌わない’の定量分析" 3-9, 2005

      13 前川喜久雄, "パラ言語情報の生成と知覚-多次元尺度法による布置と音響特徴の関係" 99 (99): 9-16, 1999

      14 Fujisaki, H., "Computing Prosody:Computational Models for Processing Spontaneous Speech" Springer 27-42,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8 0.25 0.519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